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스트코로나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언택트 어버니즘 전략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77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사회 변화상에 대한 미래예측을 통해 적용 가능한 건
      축 및 도시공간의 대응 원리를 도출하고, 사회적 위기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건축 및 도시 공간의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코로나19와 관련된 다양한 문헌들을 고찰하고, 텍스트분석과 델파이 분석을 활용하여 위드코로나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한 주요 이슈 및 미래예측 대상이 될 건축·도시 공간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 나
      아가 개별 공간의 단위 공간별 전략들을 제안함으로써 코로나 시대 건축·도시 공간 측면
      에서의 대응 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사회 변화상에 대한 미래예측을 통해 적용 가능한 건 축 및 도시공간의 대응 원리를 도출하고, 사회적 위기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건축 및 도시 공...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사회 변화상에 대한 미래예측을 통해 적용 가능한 건
      축 및 도시공간의 대응 원리를 도출하고, 사회적 위기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건축 및 도시 공간의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코로나19와 관련된 다양한 문헌들을 고찰하고, 텍스트분석과 델파이 분석을 활용하여 위드코로나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한 주요 이슈 및 미래예측 대상이 될 건축·도시 공간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 나
      아가 개별 공간의 단위 공간별 전략들을 제안함으로써 코로나 시대 건축·도시 공간 측면
      에서의 대응 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 목적 3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 제1장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 목적 3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 1) 연구내용 4
      • 2) 연구방법 6
      • 3) 연구의 흐름 7
      •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8
      • 제2장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는 건축· 도시의 방향성 정립 9
      • 1.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기존 국내·외 대응 방안 9
      • 1)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10
      • 2)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H1N1) 13
      • 3)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16
      • 4) 소결 19
      • 2.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요인 21
      • 1) 고밀 환경이 가지는 위험성 21
      • 2) 밀폐된 공간 이용에 따른 확산 25
      • 3) 소결 26
      • 3.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변화 27
      • 1) 온라인 활성화에 따른 공간에 변화와 초근린생활권 대두 27
      • 2) 대중교통의 감소, 개인형 이동수단의 증가 등 이동수단 이용률 변화 32
      • 3) 코로나19확산에 따른 건축․도시공간 수요 변화와 이에 대한 대응 35
      • 4) 코로나19 취약계층을 위한 공간대응 방안 요구 42
      • 5) 소결 44
      • 제3장 코로나19 이후 건축설계 공모전 분석을 통한 건축공간 변화상 고찰 47
      • 1. 분석 개요 48
      • 1) 분석 방법 48
      • 2) 분석자료 50
      • 3) 분석자료 정제 52
      • 2. 공모전 내용 분석 결과 54
      • 1) 공모전 설명서 단어 빈도 54
      • 2) 공모전 설명서 단어의 연결망 55
      • 3. 작품별 분석 결과: 키워드 중심으로 57
      • 1) 시기별 키워드 빈도 분석 57
      • 2) 시기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60
      • 3) LDA 분석 62
      • 4. 용도별 키워드 분석 66
      • 1) 용도별 키워드 빈도 분석 66
      • 2) 용도별 네트워크 분석 68
      • 3) LDA 분석 결과 70
      • 5. 소결 72
      • 제4장 포스트코로나 시대 미래 공간변화 예측 75
      • 1. 미래예측 방법론 검토 77
      • 1) 미래예측 방법론 개요 77
      • 2) 주요 미래예측 방법론 79
      • 2. 미래예측 연구 모델설정 및 자료 구축 85
      • 1) 미래예측 연구 모델 선정 배경 85
      • 2) 델파이 주요 절차 및 내용 86
      • 3. 미래예측 결과 분석 97
      • 1) 단계별 델파이 조사 및 분석 결과 97
      • 2) 분석 결과 종합 및 예상 시나리오 123
      • 4. 소결 126
      • 1) 포스트코로나 시대 키워드와 주요 시설 및 공간 126
      • 2) 포스트코로나 시대 변화 시나리오 129
      • 제5장 포스트코로나 시대 공간별 가이드라인 133
      • 1. 국내외 가이드라인 분석 135
      • 1) 국내외 가이드라인 135
      • 2) 가이드라인 분석 결과 147
      • 2. 포스트코로나 대응 가이드라인(안) 검증 150
      • 1) 주요 키워드에 대한 시설별 가이드라인(안) 도출 150
      • 2) 주요 키워드에 대한 시설별 가이드라인(안) 검증 결과 155
      • 3.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응 시설별 가이드라인 165
      • 1) 가이드라인 수립 개요 및 원칙 165
      • 2) 공통(일반사항) 171
      • 3) 주거시설(공동주택) 173
      • 4) 교육시설(학교) 179
      • 5) 업무시설 191
      • 6) 도로공간 197
      • 제6장 결론 201
      • 1. 연구요약 201
      • 1)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과 사회변화 201
      • 2) 포스트코로나 시대 건축·도시공간의 변화 예측 202
      • 3) 포스트코로나 시대 공간별 개선 방안 203
      •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 205
      • 참고문헌 207
      • SUMMARY 2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