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국내 보도사진의 게이트키핑 관행을 구체적으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내 보도사진의 관행은 ‘상투적 틀’이라는 큰 개념으로 수렴되었으며, 그 틀은 상황 설명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10987
2005
Korean
학술저널
5-1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국내 보도사진의 게이트키핑 관행을 구체적으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내 보도사진의 관행은 ‘상투적 틀’이라는 큰 개념으로 수렴되었으며, 그 틀은 상황 설명적 ...
이 논문은 국내 보도사진의 게이트키핑 관행을 구체적으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내 보도사진의 관행은 ‘상투적 틀’이라는 큰 개념으로 수렴되었으며, 그 틀은 상황 설명적 사진, 사실전달 사진, 정답사진, 연출사진 등 네 가지로 구분됐다.
사진기자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게이트키퍼들은 지나치게 상투적인 틀에 얽매인 채 상황설명적 사진에 치중해, 보도사진의 소재는 식상하고 구도와 내용도 정형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연출사진을 포함하는 일종의 정답사진이 만연한 것은 게이트 키퍼와 조직 내부의 묵시적 합의 및 동료 사진기자들 간의 영향관계에 기인한다.
사진기자들은 게이트키퍼들이 정보전달형 객관주의 사진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관행에 반발해 사진의 주관성이 허용되고 예술성이 강조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런 사진이 보도사진으로서 가치가 있고 사진으로서의 완성도도 높으며 독자에게 호소력이 있을 것으로 이들은 보고 있다.
지역신문 뉴스의 다양성과 사회후생(social welfare)
한국 TV의 ‘미국-이라크’ 전쟁 보도 경향과 담론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