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에게 있어서 시각중심주의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주인공의 인지와 판단, 도덕 및 윤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난다. 그들은 보이는 것만을 맹목적으로 믿고 그것에 가치를 부여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5659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톨스토이에게 있어서 시각중심주의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주인공의 인지와 판단, 도덕 및 윤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난다. 그들은 보이는 것만을 맹목적으로 믿고 그것에 가치를 부여하...
톨스토이에게 있어서 시각중심주의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주인공의 인지와 판단, 도덕 및 윤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난다. 그들은 보이는 것만을 맹목적으로 믿고 그것에 가치를 부여하거나 자신이 본 것을 근거로 하여 보이지 않는 것까지 보려고 노력하고 상상한다. 그들에게 보았던 것(과거)과 보이는 것(현재)은 분명한 것이요, 보이지 않는 미래는 불안한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고 상상한다. 하지만 그러한 상상과 보이는 것에 근거한 속단 때문에 그들은 죄를 범하게 되고 인간관계에 실패하고 만다. 인간관계에 있어 톨스토이의 주인공들은 자신이 본 것(사람)을 근거로 하여 그것이 전적으로 옮음을 과신하여 타자를 평가하고 단죄하려 한다. 그리고 그러한 자신의 행동이 늘 정당함을 입증하려 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인공의 시각 중심주의적인 태도는 그들의 도덕적인 각성을 통해 수정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잠시 언급한 두 소설 『가정의 행복』과 『신부 세르게이』에서 주인공들은 시각에 근거한 이성적인 판단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점차 그것에서 벗어나 타인과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고 진정 주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며 타인의 행복을 위해 희생하는 삶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두 소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시각 중심주의에 근거한 시각의 로고스의 특성과 문제점을 살펴봄과 동시에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작가적인 비전이 어디에 있는지도 살펴보게 될 것이다. 특히 『가정의 행복』은 소설 『안나 카레니나』와 대척점에 놓인다. 『안나 카레니나』가 불행한 가정들의 이야기인 반면에 『가정의 행복』은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는 것처럼 독자들에게 행복한 가정을 보여주리라는 기대감을 가지게 한다. 하지만 소설은 가정의 행복을 찾기까지의 쉽지 않은 과정, 시각에 근거한 인지와 판단이 오류였음을 자각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간의 관계 형성에 있어 진정 주요한 것은 시각에 근거한 판단과 독선이 아니라 타인의 변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임을 역설하고 있다.
한편 『신부 세르게이』는 시각에 근거한 이성적인 판단과 오만함, 도덕적인 우월감이 인간을 얼마나 타락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오만과 시각중심주의와 이성 중심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무엇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두 소설 모두 인간의 시각과 이성은 불완전한 것이며 그것에 근거하여 타인을 판단하거나 정죄하지 말 것과 진정한 행복은 타인과의 소통과 자기 희생을 근거로 한 선의 실천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에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