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寄軒 曺秉善의 삶과 詩世界 = A Study on the Life and Poetry World of Kiheon Jo Byeong-seon(寄軒 曺秉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4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헌 조병선(1873~1956)은 대구 칠곡에서 태어나 살다간 문인지식인이다. 조선 시대 대구는 감영이 있었던 행정중심도시로써 영남을 통할하였다. 시인들과 학자들이 많지는 않지만 경상도에서 대구의 위상을 생각해볼 때 한문학의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기헌은 한말과 일제강점기 시대 대구 지역의 시사활동과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 연구가 필요한 인물이다. 또 그가 조성하고 경영한 心遠亭이라는 공간 역시 대구 문화에서 유심히 살펴볼 만한 가치가 있는 문화공간이다. 본고는 기헌에 대한 첫 연구이므로 그의 생애, 저술, 교유 인물, 저술 등에 대한 기초정보를 조사하여 학계에 제공하고, 일제강점기를 살다간 그의 삶과 시대 의식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리고 초기 시작품을 중심으로 나라를 잃은 문인지식인의 좌절과 희망, 그리고 역사의식과 민족의식 등을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기헌 조병선(1873~1956)은 대구 칠곡에서 태어나 살다간 문인지식인이다. 조선 시대 대구는 감영이 있었던 행정중심도시로써 영남을 통할하였다. 시인들과 학자들이 많지는 않지만 경상도에서...

      기헌 조병선(1873~1956)은 대구 칠곡에서 태어나 살다간 문인지식인이다. 조선 시대 대구는 감영이 있었던 행정중심도시로써 영남을 통할하였다. 시인들과 학자들이 많지는 않지만 경상도에서 대구의 위상을 생각해볼 때 한문학의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기헌은 한말과 일제강점기 시대 대구 지역의 시사활동과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 연구가 필요한 인물이다. 또 그가 조성하고 경영한 心遠亭이라는 공간 역시 대구 문화에서 유심히 살펴볼 만한 가치가 있는 문화공간이다. 본고는 기헌에 대한 첫 연구이므로 그의 생애, 저술, 교유 인물, 저술 등에 대한 기초정보를 조사하여 학계에 제공하고, 일제강점기를 살다간 그의 삶과 시대 의식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리고 초기 시작품을 중심으로 나라를 잃은 문인지식인의 좌절과 희망, 그리고 역사의식과 민족의식 등을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heon Jo Byeong-seon(1873~1956) is a literary intellectual who was born and lived in Chilgok, Daegu(漆谷 大邱). During the Joseon Dynasty, Daegu was an administrative center city that governed the Yeongnam region as Gamyeong(監營) was located. Although there are not many poets and scholar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literature is required considering Daegu s status in the Yeongnam region. Kiheon is a person who needs research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and literature of the poet club(詩社) in Daegu. In addition, the space called Shimwonjeong(心遠亭), which he built and managed, is also a cultural space worth a close look at in Daegu culture.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of Kiheon. Therefore, basic information on his life, writing, companionship characters, and writing was investigated and provided to the academic world. And I briefly looked at his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when he lived in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this, the frustration, hop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consciousness of literary intellectuals who lost their country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initial prototype.
      번역하기

      Kiheon Jo Byeong-seon(1873~1956) is a literary intellectual who was born and lived in Chilgok, Daegu(漆谷 大邱). During the Joseon Dynasty, Daegu was an administrative center city that governed the Yeongnam region as Gamyeong(監營) was located. ...

      Kiheon Jo Byeong-seon(1873~1956) is a literary intellectual who was born and lived in Chilgok, Daegu(漆谷 大邱). During the Joseon Dynasty, Daegu was an administrative center city that governed the Yeongnam region as Gamyeong(監營) was located. Although there are not many poets and scholar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literature is required considering Daegu s status in the Yeongnam region. Kiheon is a person who needs research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and literature of the poet club(詩社) in Daegu. In addition, the space called Shimwonjeong(心遠亭), which he built and managed, is also a cultural space worth a close look at in Daegu culture.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of Kiheon. Therefore, basic information on his life, writing, companionship characters, and writing was investigated and provided to the academic world. And I briefly looked at his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when he lived in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this, the frustration, hop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consciousness of literary intellectuals who lost their country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initial prototyp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2. 기헌 조병선의 삶과 저술 및 교유 3. 시대 의식과 처세 4. 망국선비의 좌절과 희망, 역사의식과 민족의식 5. 나오며
      • 1. 들어가며 2. 기헌 조병선의 삶과 저술 및 교유 3. 시대 의식과 처세 4. 망국선비의 좌절과 희망, 역사의식과 민족의식 5. 나오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병선, "국역 寄軒集" 기헌집국역간행소, 삼광출판사 2009

      2 장승택, "農山集, 목판본"

      3 이종기, "晩求集"

      4 채병달, "愚堂集"

      5 송준필, "恭山集"

      6 조긍섭, "巖棲集"

      7 박영로, "巖居集"

      8 장복추, "寄軒集"

      9 조병선, "寄軒集"

      1 조병선, "국역 寄軒集" 기헌집국역간행소, 삼광출판사 2009

      2 장승택, "農山集, 목판본"

      3 이종기, "晩求集"

      4 채병달, "愚堂集"

      5 송준필, "恭山集"

      6 조긍섭, "巖棲集"

      7 박영로, "巖居集"

      8 장복추, "寄軒集"

      9 조병선, "寄軒集"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