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을 돌보는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검증 =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5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instruction program to help social workers and nurses improving their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ased on the ISD(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The process of this program development is consists of four steps; needs analysis, competency analysis, design, development. The goal of this program was focused on improving the potentiality for the good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the field. The program text on the web consists of three areas which are MOVIE, SLIDE, and INDEX.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one group before and after study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two groups, students group(89 people) and specialist group(16 people). Data that is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will for collaboration in both groups after intervention with the instruction program.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cceptableness on the shared duties in the student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cceptableness on the shared duties in the specialist group.
      In conclusion, the instruc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appropriate to promote the will for cooperation. if the contents of this instruction program upgrade further based upon applying of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tool to promote the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instruction program to help social workers and nurses improving their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ased on the ISD(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The process of this program develop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instruction program to help social workers and nurses improving their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ased on the ISD(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The process of this program development is consists of four steps; needs analysis, competency analysis, design, development. The goal of this program was focused on improving the potentiality for the good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the field. The program text on the web consists of three areas which are MOVIE, SLIDE, and INDEX.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one group before and after study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two groups, students group(89 people) and specialist group(16 people). Data that is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will for collaboration in both groups after intervention with the instruction program.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cceptableness on the shared duties in the student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cceptableness on the shared duties in the specialist group.
      In conclusion, the instruc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appropriate to promote the will for cooperation. if the contents of this instruction program upgrade further based upon applying of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tool to promote the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을 돌보는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을 위해 앞으로 일선에서 일하게 될 사회복지학과 및 노인복지학과 학생뿐 아니라 사회복지사 또는 간호사 자격을 가진 전문가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대조군이 없는 단일군 사전-사후 비교연구(one group before and after study)이며 학생집단 89명과 전문가집단 16명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ISD(Instructional Systems design)모델을 근간으로 요구분석, 직무과제분석, 설계, 개발의 단계를 밟았으며, 이 프로그램을 일개 사이버대학교 사이트에 2주간에 걸쳐 오픈하였다. 제공한 교육프로그램이 대상자의 보건복지협력의지 및 공유가능역할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학생집단의 경우 Paired T-test를, 전문가 집단의 경우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집단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중재 후에 보건복지협력의지가 증가하였으며, 공유가능역할인식에 있어 보다 열린 태도를 취한 것으로 통계적으로 입증되었다. 전문가 집단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중재 후에 보건복지협력의지가 증가하였으나, 공유가능역할인식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입증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보건복지인력으로 하여금 분야간 협력에 대한 의지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재라고 볼 수 있으므로, 지역사회 노인실무 현장 뿐 아니라 대학교육부문에서도 적극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을 돌보는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을 위해 앞으로 일선에서 일하게 될 사회복지학과 및 노인복지학과 학생뿐 아니라 사회복지사 또는 간호사 자격을 가진 전문가를 대상으...

      본 연구는 노인을 돌보는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을 위해 앞으로 일선에서 일하게 될 사회복지학과 및 노인복지학과 학생뿐 아니라 사회복지사 또는 간호사 자격을 가진 전문가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대조군이 없는 단일군 사전-사후 비교연구(one group before and after study)이며 학생집단 89명과 전문가집단 16명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ISD(Instructional Systems design)모델을 근간으로 요구분석, 직무과제분석, 설계, 개발의 단계를 밟았으며, 이 프로그램을 일개 사이버대학교 사이트에 2주간에 걸쳐 오픈하였다. 제공한 교육프로그램이 대상자의 보건복지협력의지 및 공유가능역할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학생집단의 경우 Paired T-test를, 전문가 집단의 경우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집단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중재 후에 보건복지협력의지가 증가하였으며, 공유가능역할인식에 있어 보다 열린 태도를 취한 것으로 통계적으로 입증되었다. 전문가 집단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중재 후에 보건복지협력의지가 증가하였으나, 공유가능역할인식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입증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보건복지인력으로 하여금 분야간 협력에 대한 의지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재라고 볼 수 있으므로, 지역사회 노인실무 현장 뿐 아니라 대학교육부문에서도 적극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 "춘계 전문가 직무교육 워크샵 토론 자료집"

      2 김미주,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 프로그램 개발" 35 : 107-128, 2007

      3 함철호, "재가복지사업에 있어서 조직간 연계에 관한 연구" 22 : 135-155, 1998

      4 보건복지가족부, "인터넷 홈페이지 장기요양보험 홍보자료"

      5 조은영, "의사와 간호사들이 갖는 노인에 대한 태도와 지식" 한서대 대학원 2006

      6 이성임, "시범보건복지사무소에 있어서 보건업무와 복지업무의 통합에 관한 연구-기능적 통합을 중심으로"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1999

      7 박경숙,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보건소의 서비스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중소도시" 30 : 48-76, 1996

      8 박경숙,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 12 (12): 265-302, 1996

      9 함철호, "보건복지사무소의 조직효과성 평가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8

      10 김미주, "보건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간의 지역사회 보건ㆍ복지 협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4

      1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 "춘계 전문가 직무교육 워크샵 토론 자료집"

      2 김미주,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 프로그램 개발" 35 : 107-128, 2007

      3 함철호, "재가복지사업에 있어서 조직간 연계에 관한 연구" 22 : 135-155, 1998

      4 보건복지가족부, "인터넷 홈페이지 장기요양보험 홍보자료"

      5 조은영, "의사와 간호사들이 갖는 노인에 대한 태도와 지식" 한서대 대학원 2006

      6 이성임, "시범보건복지사무소에 있어서 보건업무와 복지업무의 통합에 관한 연구-기능적 통합을 중심으로"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1999

      7 박경숙,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보건소의 서비스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중소도시" 30 : 48-76, 1996

      8 박경숙,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 12 (12): 265-302, 1996

      9 함철호, "보건복지사무소의 조직효과성 평가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8

      10 김미주, "보건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간의 지역사회 보건ㆍ복지 협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4

      11 함철호, "보건ㆍ의료ㆍ복지 통합적 접근의 사례연구" 21 : 193-252, 1998

      12 이현기, "보건ㆍ복지의 연계와 적용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175-207, 2001

      13 안소윤, "물리치료사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 및 직장애착" 14 (14): 233-244, 2002

      14 김미주, "노인을 돌보는 보건복지 인력간 협력증진을 위한 웹기반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학술진흥재단 박사후 국내연수지원 연구보고서 2007

      15 이인수,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소진(消盡)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55-69, 2006

      16 오인경, "교육프로그램 개발방법론" 학지사 2005

      17 대한사회복지개발원, "계간" 복지시대 1994

      18 辛奉春(신봉춘), "地域における保健ㆍ?療と福祉の連携に?する?究" 日本社?事業大? 碩士?位論文 2006

      19 前田信雄(마에다), "保健醫療福祉의 統合" 勁草書房 1990

      20 高山忠雄(타카야마), "保健?療福祉の統合" 京極高宣(監) 現代福祉?レキシコン 雄山閣出版 76-77, 1993

      21 松岡千代(마쯔오카), "ヘルスケア領域における?門職間連携~ソシャルワクの視点からの理論的整理" 40 (40): 17-37, 1999

      22 Abramson,J, "When Social Workers and Physicians Collaborate:Positive and Negative Interdisciplinary Experience" 41 (41): 270-281, 1996

      23 Abramson,J, "Strategies for Enhancing Collaboration between Social Workers and Physician" 12 (12): 1-21, 1986

      24 Mizrahi,T, "Sources of Strain between Physicians and Social Workers:Implications for Social Workers in Health Care Settings" 10 (10): 33-51, 1985

      25 Germain,C, "Social Work Practice in Health Care" Free Press 199-, 1984

      26 Hokenstad.,M.C, "Introduction, Linking Helath Care and Social Service: International Persopective" SAGE 1982

      27 Abramson,J.and Rosenthal,B, "Interdisciplinary and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1479-1489, 1995

      28 Mizrahi,T, "Collaboration between Social Workers and Physicians:Perspectives on a Shared Case" 31 (31): 1-24, 2000

      29 American Association of Homes for the Aged, "Annual Reports on Housing Projections"

      30 山中京子(야마나카), "?療保健福祉における連携?念と再構成" 53 (53): 1-2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