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배우자 사별노인의 종교참여와 대처자원 및 우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ligious Participation, Coping Resources and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5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religious participation, coping resources and depression of the bereaved elderly. The verified causal model in the current study hypothesized that religious participation and coping resources affect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and that coping resources mediate between religious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testing,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nationwide on the bereaved. The sample was restricted to 65 year old bereaved persons. 415 samples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follow. First, the group difference test(t-test) demonstrated that 1) the elderly men were higher in level of depression than the women, 2) the elderly men were lower in level of religious participation and social coping resources than women, 3) no religion group were lower level of religious participation and social coping resources than religion group. Second, to find out how religious participation affect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direct and indirect through coping resourc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As a result, 1) religious participation negatively affected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2) psychological coping resources and social coping resources mediated between religious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but physical coping resources did not . We could get evidence that religious participation is effective way to reduce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through psychological coping resources and social coping resources.
      번역하기

      The object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religious participation, coping resources and depression of the bereaved elderly. The verified causal model in the current study hypothesized that religious participation and coping resou...

      The object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religious participation, coping resources and depression of the bereaved elderly. The verified causal model in the current study hypothesized that religious participation and coping resources affect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and that coping resources mediate between religious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testing,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nationwide on the bereaved. The sample was restricted to 65 year old bereaved persons. 415 samples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follow. First, the group difference test(t-test) demonstrated that 1) the elderly men were higher in level of depression than the women, 2) the elderly men were lower in level of religious participation and social coping resources than women, 3) no religion group were lower level of religious participation and social coping resources than religion group. Second, to find out how religious participation affect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direct and indirect through coping resourc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As a result, 1) religious participation negatively affected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2) psychological coping resources and social coping resources mediated between religious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but physical coping resources did not . We could get evidence that religious participation is effective way to reduce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through psychological coping resources and social coping resour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과 종교참여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종교참여가 신체적 대처자원, 심리적 대처자원, 사회적 대처자원을 매개로 하여 사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65세 이상의 배우자 사별 노인 41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및 종교 유무에 따른 변인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배우자 사별 노인 중 남성들이 여성들에 비해 우울 수준이 높았으며, 종교참여와 사회적 대처자원 보유 수준에 있어서도 여성들에 비해 남성들이 낮았다. 또한 종교 유무에 있어서도 종교를 갖지 않은 노인들이 종교를 가진 노인들에 비해 우울 수준과 사회적 대처자원의 보유 수준이 낮았다.
      둘째, 분석 모형의 검증을 통해 종교참여가 사별 노인의 우울을 낮추는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사별 대처자원 가운데 심리적 대처자원과 사회적 대처자원을 매개로 하여 사별 노인의 우울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별 노인의 종교참여와 대처자원을 통한 우울 경감의 경로를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과 종교참여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종교참여가 신체적 대처자원, 심리적 대처자원, 사회적 대처자원을 매개로 하여 사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

      본 연구는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과 종교참여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종교참여가 신체적 대처자원, 심리적 대처자원, 사회적 대처자원을 매개로 하여 사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65세 이상의 배우자 사별 노인 41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및 종교 유무에 따른 변인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배우자 사별 노인 중 남성들이 여성들에 비해 우울 수준이 높았으며, 종교참여와 사회적 대처자원 보유 수준에 있어서도 여성들에 비해 남성들이 낮았다. 또한 종교 유무에 있어서도 종교를 갖지 않은 노인들이 종교를 가진 노인들에 비해 우울 수준과 사회적 대처자원의 보유 수준이 낮았다.
      둘째, 분석 모형의 검증을 통해 종교참여가 사별 노인의 우울을 낮추는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사별 대처자원 가운데 심리적 대처자원과 사회적 대처자원을 매개로 하여 사별 노인의 우울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별 노인의 종교참여와 대처자원을 통한 우울 경감의 경로를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 표준화 예비 연구" 35 (35): 298-307, 1996

      2 김동배, "한국 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25 (25): 167-187, 2005

      3 김미숙,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 (20): 29-47, 2000

      4 김신열, "종교 활동 참여가 미주 한인 노인들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25 : 147-168, 2004

      5 전미애, "논문 / 종교와 노인의 정신 건강과의 관계" 종교문제연구소 5 (5): 83-98, 1999

      6 김태현, "노인이 지각한 세대간 결속과 우울에 관한 연구" 16 (16): 110-129, 1996

      7 김도환,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연구" 13 : 113-144, 2001

      8 김태현,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 4 : 3-19, 1984

      9 김수정, "노인의 종교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33 : 29-50, 2006

      10 최영희, "노인의 건강행위 평가 연구" 19 (19): 119-130, 1999

      1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 표준화 예비 연구" 35 (35): 298-307, 1996

      2 김동배, "한국 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25 (25): 167-187, 2005

      3 김미숙,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 (20): 29-47, 2000

      4 김신열, "종교 활동 참여가 미주 한인 노인들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25 : 147-168, 2004

      5 전미애, "논문 / 종교와 노인의 정신 건강과의 관계" 종교문제연구소 5 (5): 83-98, 1999

      6 김태현, "노인이 지각한 세대간 결속과 우울에 관한 연구" 16 (16): 110-129, 1996

      7 김도환,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연구" 13 : 113-144, 2001

      8 김태현,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 4 : 3-19, 1984

      9 김수정, "노인의 종교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33 : 29-50, 2006

      10 최영희, "노인의 건강행위 평가 연구" 19 (19): 119-130, 1999

      11 이선교,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영적안녕 및 신체기능과의 관계 연구" 5 (5): 127-137, 2003

      12 한내창, "노인들에게 있어서 종교와 삶의 질" 26 : 43-61, 2002

      13 박남희,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동기요소 건강증진행위 우울에 미치는 효과" 3 (3): 186-195, 2001

      14 김수연, "노인 종교참여도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20 (20): 55-68, 1988

      15 김주희, "노인 우울 척도를 이용한 노인의 우울 성향과 근골격계 만성동통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18 (18): 90-102, 1998

      16 전혜정, "노년기 종교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5 : 169-186, 2004

      17 Lund,D.A, "Widowhood:The Coping Resourse,537-541,In R.Kastenbaum(Ed.),Encyclopedia of Adult Development" Oryx 1993

      18 Rando,T.A, "Treatment of Complicated Mourning" Research Press. 1993

      19 Barron,M, "The Role of Religion and Religious Institutions in Creating the Milieu of Older People.In D.Scudder(Ed.),Organized Religion and Older People,Gainsville" University of Florida Press. 1958

      20 Lenski,G, "The Religious Factor,Garden City" Doubleday. 1961

      21 Batson,C.D, "The Religious Experience:A Social-Psychological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22 Kart,C.S, "The Realities on Aging:An Introdution to Gerontology(Fifth Edition)" Allyn and Bacon. 1997

      23 Hobfoll,S.E, "The Influence of Culture,Community,and the Nested Self in the Stress Process:Advancing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50 : 337-370, 2001

      24 Blazer,D.G,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an Elderly Community Population" 27 : 281-287, 1987

      25 Lazarus,R.S, "Stress,Appraisal and the Coping Process" Springer. 1984

      26 Krause,N, "Stress and Isolation from Close Ties in Later Life" 46 (46): 183-94, 1991

      27 Bankoff,E.A,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Widowhood" 45 : 827-839, 1983

      28 Atchley,R.C, "Social Forces and Aging(7th ed.)" Wadsworth. 1994

      29 Sanders,C.M, "Risk Factors in Bereavement Outcome,In M.S.Stroebe,W.Stroebe,and R.O.Hansson(Eds.),Handbook of Bereavement:Theory,Research,and Interven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43, 1993

      30 Warner,S,K, "Religious Influences on Health and Well-Being in the Elderly" Springer Pub.Co. 2004

      31 Bellah,R.N, "Religious Evolution" 29 : 358-374, 1964

      32 Krause,N, "Religiosity and Self-esteem among Older Adults" 50B : 236-246, 1995

      33 Krause,N, "Religion,aging,and health: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52B (52B): 291-293, 1997

      34 Maton,K.I, "Religion as a Community Resource for Well-being:Prevention,Healing,and Empowerment Pathways" 51 : 177-193, 1995

      35 Witter,R.A, "Religion and Subjective Well-being:A Quantitative Synthesis" 26 : 332-342, 1985

      36 Koenig,H.G, "Religion and Health in Later Life,M.A.Kimble,S.H.McFadden,J.W.Ellor,and J.J.Seeber(Eds.),Aging,Spirituality" Minneapolis:Fortress Press 9-29, 1995

      37 Murray,K.A, "Religion and Divorce: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Counseling" 10 (10): 19-194, 2002

      38 Koenig,H.G, "Religion and Anxiety Disorder:An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Associations in Young,Middle-aged,and Elderly Adults" 7 : 321-342, 1993

      39 Blazer,D.G, "Religion and Aging in a Longitudal Panel" 16 : 82-85, 1976

      40 Idler,E.L, "Religion among Disabled and Non-disabled Elderly Persons:II.Attendance at Religious Services as a Predictor of the Course of Disability," 52B : 306-316, 1997

      41 Idler,E.L, "Patterns of Religious Practice and Belief in the Last Year of Life" 56B : 326-334, 2001

      42 Levin,J, "Panel Religious Involvement and Well-being in African Americans:Contemporaneous and Longitudinal Effects" 37 : 695-709, 1998

      43 Pierce,A.G, "Older Adults,In C.S.Edelman and C.L.Mandle(Eds.),Health Promotion through the Life Span,St" Mosby. 1994

      44 Pargament,K.I, "Merely a defense? The variety of religious means and ends" 51 : 13-22, 1995

      45 Wykle,M.L, "Mental Health of the Older Person,In M.Smyer(Ed.),Mental Health and Aging:Progress and Prospects" Springer. 3-12, 1993

      46 Frankle,V.E, "Man's Search for Meaning" Beacon Press. 1963

      47 Siegel,J.M, "Loss,Widowhood,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the Elderly" 58 : 519-524, 1990

      48 Keith,P.M, "Life Change and Perceptions of Life and Deathamong Older Men and Women" 34 : 870-878, 1979

      49 Moody,H.R, "Is Religion Good for Your Health?" 46 (46): 147-149, 2006

      50 Gilewski,M.J, "Interaction of Depression and Bereavement on Mental Health in the Elderly." 6 (6): 67-75, 1991

      51 Lund,D.A, "Impact of Spousal Bereavemen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dults,In D.A.Lund(Ed.),Older Bereaved Spouses:Research with Practical Implications" Hemisphere. 3-15, 1989

      52 Levin,J.S, "How Religion Influences Morbidity and Health:Reflections on Natural History,Salutogenesis and Host Resistance" 43 : 849-864, 1996

      53 Pender,N.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2nd ed.)" Appleton-Lange 1987

      54 Hobfoll,S.E, "Conservation of Resources: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44 (44): 513-524, 1989

      55 Krause,N.M, "Church-based Emotional Support,Negative Interaction,and Psychological Well-Being:Findings from a National Sample of Presbyterians" 37 : 725-741, 1998

      56 Bellah,R.N, "Beyond Belief" Harper. 1970

      57 Stroebe,W, "Bereavement and Health:Processes of Adjusting to the Loss of a Partner,In L.Montana,S.Filipp,and J.L.Melvin(Eds.),Life crisis and experiences of loss in adulthood 8" Cambridge University. 1989

      58 Stroebe M.S, "Bereavement Research and Theory:An Historical Introduction" 44 : 1-18, 1988

      59 Musick,M.A, "Attendance at Religious Services and Mortality in a National Sample" 45 (45): 198-213, 2004

      60 Sobel,M.E,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In S.Leinhart(Ed.),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290-312, 1982

      61 Weissman,M.M, "Assessing Depressive Symptoms in Five Psychiatric Populations:A Validation Study" 106 : 203-214, 1977

      62 Ainlay,S.C, "Aging and Religious Participation" 39 (39): 357-363, 1984

      63 Lawton,M.P, "A two-factor model of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46 (46): 181-189, 1991

      64 Allen,S.E, "A Model for Predicting Bereavement Outcome in Widowhood" University of North Texas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