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교 미술과 서예지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87422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02. 2

      • 발행연도

        200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050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 71 p. ; 26 cm

      • 소장기관
        • 국립경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예는 동양적인 특수한 성격을 지닌 예(藝)와 도(道)를 겸한 특유의 예술로써 오늘날과 같이 전통예술의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는 사회에서는 서예교육이 더욱 절실할 것이며, 또한 자라나는 청소년에게는 서예를 통하여 체험하게 되는 창의적 경험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서 함양으로 이루게 되는 인성형성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등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서예교육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서예교육의 현실적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첫째, 서예교육시간이 교육 과정의 시간 배정이 소요 시수에 극히 부족하고, 입시위주의 교육실시로 서예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 미술과의 일부로 서예교육이 편성되어 있다 하드라도,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이 지속되는 한 정상적인 서예교육은 힘들 것이다. 그러므로, 일선 학교에서 입시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전인교육을 위한 분위기와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의 서예교육을 위한 교육기자재와 환경이 미비한 것에 대해서는 각 일선하교 및 교육당국은 서예교육이 우리전통 문화를 계승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서예교육을 위한 기자재 및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의 서예교육에 대한 학교의 관심과 지원이 불충분한 것은 입시위주로 교육환경이 설정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이 낮은 예능교육은 학교의 관심과 지원의 대상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그에 따라 미술과 교육의 일부로 편성된 서예교육은 더더욱 학교의 관심 밖이다. 따라서 일선 학교 및 교육당국은 우리 전통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서예교육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넷째, 대부분의 미술과 지도교사들이 자신의 지식과 능력이 서예를 지도하기에 모자란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교육대학, 사범대학, 미술대학 등에서의 서예관련 교육이 부족하여 서예교육관련 교사양성이 되지 않는 것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교육대학, 사범대학, 미술대학 등에서 서예교육과정을 개설하거나 확충하여, 일선교사를 대상으로 서예관련 사후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시되고, 서예지도법 및 자료가 보충 개발되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준비물의 번거러움, 지루함 등으로 인하여 서예교육에 대한 선호도는 낮다. 이는 향후 학생들에게 전통문화 계승 및 정서함양차원에서 서예교육의 중요성 및 당위성을 인식시키고, 단순한 필법교육의 1차원적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서예교육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 및 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효율적인 서예교육은 과학문명과 물질문화에 매 말라 가는 정서를 순화시키고, 전통문화를 수호, 계승하려는 마음을 싹트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논자가 제시하는 개선방향과 같이 바람직한 서예교육이 조속히 이루어지기 바란다.
      번역하기

      서예는 동양적인 특수한 성격을 지닌 예(藝)와 도(道)를 겸한 특유의 예술로써 오늘날과 같이 전통예술의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는 사회에서는 서예교육이 더욱 절실할 것이며, 또한 자라나...

      서예는 동양적인 특수한 성격을 지닌 예(藝)와 도(道)를 겸한 특유의 예술로써 오늘날과 같이 전통예술의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는 사회에서는 서예교육이 더욱 절실할 것이며, 또한 자라나는 청소년에게는 서예를 통하여 체험하게 되는 창의적 경험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서 함양으로 이루게 되는 인성형성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등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서예교육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서예교육의 현실적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첫째, 서예교육시간이 교육 과정의 시간 배정이 소요 시수에 극히 부족하고, 입시위주의 교육실시로 서예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 미술과의 일부로 서예교육이 편성되어 있다 하드라도,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이 지속되는 한 정상적인 서예교육은 힘들 것이다. 그러므로, 일선 학교에서 입시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전인교육을 위한 분위기와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의 서예교육을 위한 교육기자재와 환경이 미비한 것에 대해서는 각 일선하교 및 교육당국은 서예교육이 우리전통 문화를 계승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서예교육을 위한 기자재 및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의 서예교육에 대한 학교의 관심과 지원이 불충분한 것은 입시위주로 교육환경이 설정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이 낮은 예능교육은 학교의 관심과 지원의 대상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그에 따라 미술과 교육의 일부로 편성된 서예교육은 더더욱 학교의 관심 밖이다. 따라서 일선 학교 및 교육당국은 우리 전통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서예교육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넷째, 대부분의 미술과 지도교사들이 자신의 지식과 능력이 서예를 지도하기에 모자란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교육대학, 사범대학, 미술대학 등에서의 서예관련 교육이 부족하여 서예교육관련 교사양성이 되지 않는 것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교육대학, 사범대학, 미술대학 등에서 서예교육과정을 개설하거나 확충하여, 일선교사를 대상으로 서예관련 사후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시되고, 서예지도법 및 자료가 보충 개발되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준비물의 번거러움, 지루함 등으로 인하여 서예교육에 대한 선호도는 낮다. 이는 향후 학생들에게 전통문화 계승 및 정서함양차원에서 서예교육의 중요성 및 당위성을 인식시키고, 단순한 필법교육의 1차원적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서예교육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 및 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효율적인 서예교육은 과학문명과 물질문화에 매 말라 가는 정서를 순화시키고, 전통문화를 수호, 계승하려는 마음을 싹트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논자가 제시하는 개선방향과 같이 바람직한 서예교육이 조속히 이루어지기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aching calligraphy unique arts of art and discipline will be urgent to the society in which the value of traditional arts are newly considered important, and help to raise creativity the growing young people will experience and to form character by cultivation of emotion through calligraphy.
      Thus, this study is focused on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of calligraphic education performed in junior high schools, finding its actual problems, and seeking methods to solve them.
      First,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time allotment to calligraphic education are far short of its need with little calligraphic education due to the educational system centering on entrance exams, normal calligraphic education will be difficult as long as such educational environment keeps continuing even though calligraphic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us atmosphere and conditions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not centering on entrance exams, should be made in schools.
      Second, the front schools and the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acknowledge that calligraphic education plays a major role in succeeding and understanding our traditional culture, and construct an educational environment equipped with instruments and materials for calligraphic education
      Third, the current insufficient concern of and support from schools for arts education due to such an educational environment centering on entrance examinations made artistic education relatively lower in its importance alienated from school education. And calligraphic education organized as part of an artistic education are still farther from concern of and support from schools. Thus schools and the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concentrate their special attention on calligraphic education,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our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Fourth, most fine arts teachers think their knowledge and ability lack a level needed to teach calligraphy. This originated basically from the lack of calligraphy-related education in educational colleges for cultu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eges of education for culturing high school teachers, and colleges of fine arts. Therefore in the future calligraphy-related education targeting the incumbent teachers should be actively performed by opening or expanding calligraphy education program in educational colleges for cultu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eges of education for culturing high school teachers, and colleges of fine arts, and how to teach calligraphy an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additionally developed.
      Fifth, most students have lower preference for calligraphy learning due to the troublesome preparation of calligraphic materials and borednes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awaken students from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alligraphic education on a dimension of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cultivation of their character. And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o they could be interested in calligraphic education, escaped from the simple primary education of how to use brushes.
      More efficient calligraphy education would purify the drying emotion due to scientific civilization and material culture, and sprout minds to protect and succeed our traditional culture. Thus a desirable calligraphy education should be soon performed as this writer suggest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번역하기

      Teaching calligraphy unique arts of art and discipline will be urgent to the society in which the value of traditional arts are newly considered important, and help to raise creativity the growing young people will experience and to form character by ...

      Teaching calligraphy unique arts of art and discipline will be urgent to the society in which the value of traditional arts are newly considered important, and help to raise creativity the growing young people will experience and to form character by cultivation of emotion through calligraphy.
      Thus, this study is focused on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of calligraphic education performed in junior high schools, finding its actual problems, and seeking methods to solve them.
      First,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time allotment to calligraphic education are far short of its need with little calligraphic education due to the educational system centering on entrance exams, normal calligraphic education will be difficult as long as such educational environment keeps continuing even though calligraphic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us atmosphere and conditions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not centering on entrance exams, should be made in schools.
      Second, the front schools and the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acknowledge that calligraphic education plays a major role in succeeding and understanding our traditional culture, and construct an educational environment equipped with instruments and materials for calligraphic education
      Third, the current insufficient concern of and support from schools for arts education due to such an educational environment centering on entrance examinations made artistic education relatively lower in its importance alienated from school education. And calligraphic education organized as part of an artistic education are still farther from concern of and support from schools. Thus schools and the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concentrate their special attention on calligraphic education,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our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Fourth, most fine arts teachers think their knowledge and ability lack a level needed to teach calligraphy. This originated basically from the lack of calligraphy-related education in educational colleges for cultu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eges of education for culturing high school teachers, and colleges of fine arts. Therefore in the future calligraphy-related education targeting the incumbent teachers should be actively performed by opening or expanding calligraphy education program in educational colleges for cultu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eges of education for culturing high school teachers, and colleges of fine arts, and how to teach calligraphy an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additionally developed.
      Fifth, most students have lower preference for calligraphy learning due to the troublesome preparation of calligraphic materials and borednes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awaken students from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alligraphic education on a dimension of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cultivation of their character. And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o they could be interested in calligraphic education, escaped from the simple primary education of how to use brushes.
      More efficient calligraphy education would purify the drying emotion due to scientific civilization and material culture, and sprout minds to protect and succeed our traditional culture. Thus a desirable calligraphy education should be soon performed as this writer suggest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 II. 서예교육의 의의 = 5
      • 목차
      • I.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 II. 서예교육의 의의 = 5
      • 1. 서예와 우리문화 = 5
      • 2. 서예교육의 가치 = 6
      • III. 우리나라 서예교육의 변천 = 8
      • 1. 제1시기(1910∼1945. 일제점령 식민교육시기) = 8
      • 2. 제2시기(1945∼1961. 교수요목.제1차 교과과정 시기) = 11
      • 3. 제3시기(1962∼1981. 제2.3차 교육과정시기) = 15
      • 4. 제4시기(1982∼1990. 제4.5차 교육과정시기) = 17
      • IV. 외국의 서예교육 = 20
      • 1. 중국 = 20
      • 2. 일본 = 24
      • V. 서예교육의 현황 = 33
      • 1. 조사분석의 틀 설정 = 33
      • 2. 자료수집 및 자료처리 = 34
      • 3. 표본의 일반적 특성= 35
      • (1) 교사의 일반적 특성 = 35
      • (2) 학생의 일반적 특성 = 40
      • 4. 서예교육의 실태 = 41
      • (1) 서예교육시간 = 41
      • (2) 서에교육환경 = 45
      • (3) 서예교육에 대한 인식 = 47
      • (4) 서예교육에 대한 지원 = 51
      • (5) 서예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 55
      • VI. 결론 = 58
      • 차고문헌 = 61
      • 영문초록(ABSTRACT)
      • 설문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