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초적 자기서사의 형성과 마더 텔러 -문학예방치료를 위한 시론- = Shaping a basic epic of self and Mother-teller -An essay for literary preventive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7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문학연구에서 문학치료라는 개념이 구상된 지 20년이 지났으며, 정식으로 문학치료학회를 만들어 본격적 학문의 장을 형성한 지도 10년이 넘었다. 이론 구축과 진단 도구 개발 측면에서 이룩한 문학치료학의 성과는 상당하다. 문학치료학은 `문학의 본질이 치료`라는 점을 명시하고, `원초적 사건을 다시 경험하게 함으로써 경험을 반복 조정하는` 치료 과정을 제안하며, `자기서사의 발견과 개선`을 목적으로 삼는다. “자기서사를 온전하고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일”을 위해 `작품서사`를 핵심도구로 사용한다. 문학치료학의 핵심은 `변화`이다. 이 `변화`는 `현재 건강하지 않은 자기서사`를 전제로 한다.
      지금의 문학치료는 건강하지 않은 마음을 관심의 주된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제는 문학치료의 범주를 문학 예방치료로 확대할 때라고 생각한다. 인간의 초기 자기서사 형성에 작품서사가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서사적 지지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문학의 치료적 강점은 일반 사람들의 건강한 자기서사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기에 이루어지는 원초적 자기서사 형성에 참여하는 작품에 대한 새로운 독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독법이 장르론적, 사회사적 시각에 경도된 것이라면, 새로 발견할 독법은 자기서사의 형성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준 높고 건강한 서사일 것이다. 이러한 서사의 발견을 위해 문학치료 연구자는 `부모서사`를 내면화해야 한다. 강한 `부모서사`를 내면화한 문학치료 연구자를 `마더 텔러`라 부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인간이 서사적 존재라는 사실에 공감한다. 인간이 그 자체로 하나의 `책`이 된다는 인식도 늘어나고 있다. 작품서사나 다른 사람의 자기서사는 나의 자기서사가 형성되고 성장하는 데 깊게 관여한다. 이제 자기서사 형성기에 작품서사가 가동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단계에 이른 것이다. 이것은 문학치료연구자의 자세를 치료자가 아닌 예방가로 넓히는 일이다. 문학치료연구자는 아이들이 접하는 작품에 대한 기존 해석을 성찰하고 아이의 자기서사에 유용한 새로운 독법을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문학연구자, 문학교육자와 연계하여 새로 발견한 독법이 실제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이야기`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문학연구에서 문학치료라는 개념이 구상된 지 20년이 지났으며, 정식으로 문학치료학회를 만들어 본격적 학문의 장을 형성한 지도 10년이 넘었다. 이론 구축과 진단 도구 개발 측면에서 ...

      한국문학연구에서 문학치료라는 개념이 구상된 지 20년이 지났으며, 정식으로 문학치료학회를 만들어 본격적 학문의 장을 형성한 지도 10년이 넘었다. 이론 구축과 진단 도구 개발 측면에서 이룩한 문학치료학의 성과는 상당하다. 문학치료학은 `문학의 본질이 치료`라는 점을 명시하고, `원초적 사건을 다시 경험하게 함으로써 경험을 반복 조정하는` 치료 과정을 제안하며, `자기서사의 발견과 개선`을 목적으로 삼는다. “자기서사를 온전하고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일”을 위해 `작품서사`를 핵심도구로 사용한다. 문학치료학의 핵심은 `변화`이다. 이 `변화`는 `현재 건강하지 않은 자기서사`를 전제로 한다.
      지금의 문학치료는 건강하지 않은 마음을 관심의 주된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제는 문학치료의 범주를 문학 예방치료로 확대할 때라고 생각한다. 인간의 초기 자기서사 형성에 작품서사가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서사적 지지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문학의 치료적 강점은 일반 사람들의 건강한 자기서사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기에 이루어지는 원초적 자기서사 형성에 참여하는 작품에 대한 새로운 독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독법이 장르론적, 사회사적 시각에 경도된 것이라면, 새로 발견할 독법은 자기서사의 형성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준 높고 건강한 서사일 것이다. 이러한 서사의 발견을 위해 문학치료 연구자는 `부모서사`를 내면화해야 한다. 강한 `부모서사`를 내면화한 문학치료 연구자를 `마더 텔러`라 부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인간이 서사적 존재라는 사실에 공감한다. 인간이 그 자체로 하나의 `책`이 된다는 인식도 늘어나고 있다. 작품서사나 다른 사람의 자기서사는 나의 자기서사가 형성되고 성장하는 데 깊게 관여한다. 이제 자기서사 형성기에 작품서사가 가동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단계에 이른 것이다. 이것은 문학치료연구자의 자세를 치료자가 아닌 예방가로 넓히는 일이다. 문학치료연구자는 아이들이 접하는 작품에 대한 기존 해석을 성찰하고 아이의 자기서사에 유용한 새로운 독법을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문학연구자, 문학교육자와 연계하여 새로 발견한 독법이 실제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이야기`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oncept of literary therapy was formulated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was formally established to shape the arena of study in earnest. Literary therapy has produced considerable results in terms of constructing theories and developing diagnostic tools. Literary therapy specifies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is therapy” and it suggests a therapeutic process to “regulate experience repetitively by making one`s experience a basic event again.” Literary therapy aims to “discover and improve the epic of self.” “The epic of work” is used as a key instrument to “[change] the epic of self to be complete and healthy.” The core of the literary therapy is a “change.” Such a change assumes “the epic of an unhealthy self today.”
      Literary therapy is mainly interested in the unhealthy mind. However, it is now time to expand its definition, to encompass literary preventative therapy, since the epic of work has a great effect on the initial human epic of self, in relation to “narrative support.” Moreover, the advantage of literary therapy is its ability to contribute to shaping a healthy the epic of self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ew reading should therefore be provided for works that participate in shaping a basic epic of self in childhood. While the existing literature is biased toward the genre and social history of literary therapy, new literature should contain healthy narratives, in order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epic of self. To discover such narratives,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have to internalize the “Father and Mother epic.”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who internalizes a strong “Father and Mother epic” may be called a “Mother-teller.”
      Today, many people sympathize with a fact that humans are narrative beings. There is increased recognition that humans become books by themselves. The epic of work or the epics of others` selves are deeply influential on the shaping and growth of one`s own epic of self. Now is the time to establish methods to operationalize the epic of work in the period of the epic of self. This would expand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roles from therapists to preventers.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should reflec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s to which children are exposed, and consider new useful readings for children`s epics of self. Additionally, literary researchers and educators should make an effort to actively “spread” these new readings in the fields of research and education.
      번역하기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oncept of literary therapy was formulated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was formally established to shape the arena of study in earnest. Literary...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oncept of literary therapy was formulated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was formally established to shape the arena of study in earnest. Literary therapy has produced considerable results in terms of constructing theories and developing diagnostic tools. Literary therapy specifies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is therapy” and it suggests a therapeutic process to “regulate experience repetitively by making one`s experience a basic event again.” Literary therapy aims to “discover and improve the epic of self.” “The epic of work” is used as a key instrument to “[change] the epic of self to be complete and healthy.” The core of the literary therapy is a “change.” Such a change assumes “the epic of an unhealthy self today.”
      Literary therapy is mainly interested in the unhealthy mind. However, it is now time to expand its definition, to encompass literary preventative therapy, since the epic of work has a great effect on the initial human epic of self, in relation to “narrative support.” Moreover, the advantage of literary therapy is its ability to contribute to shaping a healthy the epic of self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ew reading should therefore be provided for works that participate in shaping a basic epic of self in childhood. While the existing literature is biased toward the genre and social history of literary therapy, new literature should contain healthy narratives, in order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epic of self. To discover such narratives,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have to internalize the “Father and Mother epic.”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who internalizes a strong “Father and Mother epic” may be called a “Mother-teller.”
      Today, many people sympathize with a fact that humans are narrative beings. There is increased recognition that humans become books by themselves. The epic of work or the epics of others` selves are deeply influential on the shaping and growth of one`s own epic of self. Now is the time to establish methods to operationalize the epic of work in the period of the epic of self. This would expand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roles from therapists to preventers.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should reflec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s to which children are exposed, and consider new useful readings for children`s epics of self. Additionally, literary researchers and educators should make an effort to actively “spread” these new readings in the fields of research and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원열, "학음산고(鶴陰散稿)"

      2 김영진, "조선후기 한시작가론 2" 이회출판사 1988

      3 심노암, "제전산고(悌田散稿)"

      4 정지영, "장화홍련전 ―조선후기 재혼가족 구성원의 지위―" 역사문제연구소 (61) : 422-441, 2002

      5 정운채,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개발에 따른 고전문학 연구와 교육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16 : 201-225, 2010

      6 정운채,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명" 한국문학치료학회 25 : 361-381, 2012

      7 유정열, "심노숭과 심노암 평제에 대하여" 2015

      8 정운채, "서사접속 및 서사능력과 문학연구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24 : 153-170, 2012

      9 정운채, "서사의 다기성(多岐性)과 문학연구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23 : 195-226, 2012

      10 "삼국지"

      1 심원열, "학음산고(鶴陰散稿)"

      2 김영진, "조선후기 한시작가론 2" 이회출판사 1988

      3 심노암, "제전산고(悌田散稿)"

      4 정지영, "장화홍련전 ―조선후기 재혼가족 구성원의 지위―" 역사문제연구소 (61) : 422-441, 2002

      5 정운채,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개발에 따른 고전문학 연구와 교육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16 : 201-225, 2010

      6 정운채,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명" 한국문학치료학회 25 : 361-381, 2012

      7 유정열, "심노숭과 심노암 평제에 대하여" 2015

      8 정운채, "서사접속 및 서사능력과 문학연구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24 : 153-170, 2012

      9 정운채, "서사의 다기성(多岐性)과 문학연구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23 : 195-226, 2012

      10 "삼국지"

      11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세계적 진출방안" 한국문학치료학회 34 : 2015

      12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와 문학연구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21 : 233-252, 2011

      13 정운채, "문학치료의 이론적 기초" 문학과치료 2007

      14 정운채, "문학치료의 이론적 기초" 문학과치료 2007

      15 "내경(內經)"

      16 조현설, "남성지배와 <장화홍련전>의 여성형상" 민족문학사학회 15 : 1999

      17 윤정안, "계모를 위한 변명 - 「장화홍련전」 속 계모의 분노와 좌절 -" 민족문학사학회 (57) : 63-86, 2015

      18 김수연, "‘모성 대상’에 대한 자기서사의 단절과 재건: <장화홍련전>" 한국고소설학회 (40) : 141-168, 2015

      19 권순긍, "<콩쥐팥쥐> 서사의 문학치료학" 한국문학치료학회 30 : 43-72, 2014

      20 김수연, "<이생규장전>의 욕망과 치유적 독법" 한국문학치료학회 18 : 101-13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1.23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