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 1,3-디메틸요소, 아세타미드 및 프로피온아미드에 대한 0.2m 농도까지의 점도와 삼투계수를 25℃와 45℃에서 H₂O, MeOH, EtOH 및 DMSO 용액에서 측정하였다. 점도 B 와 C 계수를 Jones-Dole 방정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40680
1977
Korean
040.000
학술저널
319-331(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요소, 1,3-디메틸요소, 아세타미드 및 프로피온아미드에 대한 0.2m 농도까지의 점도와 삼투계수를 25℃와 45℃에서 H₂O, MeOH, EtOH 및 DMSO 용액에서 측정하였다. 점도 B 와 C 계수를 Jones-Dole 방정식...
요소, 1,3-디메틸요소, 아세타미드 및 프로피온아미드에 대한 0.2m 농도까지의 점도와 삼투계수를 25℃와 45℃에서 H₂O, MeOH, EtOH 및 DMSO 용액에서 측정하였다. 점도 B 와 C 계수를 Jones-Dole 방정식에서 구하였고 이들 값들을 이미 알려진 용매구조의 개념을 기초로 고찰하였다. 용매에 용질이 녹는데 따르는 변화는 그 변화가 양의 값 또는 부의 값인가에 따라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모형 "Sticking-Slipping현상"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iscosity coefficient measurements at concetrations up to 0.2m for urea, 1,3-dimethylurea, acetamide, and propionamide are reported in H₂O, MeOH, EtOH and DMSO at 25˚and 45℃. The viscosity B and C coefficients are obtained from the Jones-Dole equ...
Viscosity coefficient measurements at concetrations up to 0.2m for urea, 1,3-dimethylurea, acetamide, and propionamide are reported in H₂O, MeOH, EtOH and DMSO at 25˚and 45℃. The viscosity B and C coefficients are obtained from the Jones-Dole equation and are discussed, based on the concept of solvent structure. The change that accompanies the dissolution of a solute in solvent can be explained whether that change is positive or negative. The structural change can also be explanied with the new model. "The Sticking-Slipping Phenomena".
Symbolism in Selected Poems of E. E. Cumm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