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도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로봇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피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로봇 교 육의 방향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과정에서 국내외 로봇 교구 및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43345
2014
Korean
370
KCI등재
학술저널
203-225(23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도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로봇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피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로봇 교 육의 방향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과정에서 국내외 로봇 교구 및 ...
이 연구는 대도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로봇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피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로봇 교 육의 방향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과정에서 국내외 로봇 교구 및 교육 연구를 고찰하고 초등학생 로봇 교육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설문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은 교과 교육을 위한 로봇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와 시범 운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둘째, 로봇 교육 지도경력 유무에 따라서는‘로봇교육이 창의․체험 활동 수업과 교과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와 ‘로봇교육은 창의․체험 활동 수업에서 신설 또는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경력에 따라서는 응답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향후 로 봇교육 담당계획 유무에 따라서는‘현재 방과 후 교실의 로봇 수업의 난이도는 매우 적절하다.’와 ‘학생의 미래를 위해 로봇교육을 학교교과교육 안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과 교육을 위한 로봇교육 방안에 대한 연 구와 시범 운영이 더 필요하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향후 로봇 교육에 대해서는 초등학생의 단계를 고려한 기술소양 교육내용의 보완과 교과 통합적 접근에 관 한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현장 교사를 위한 연수와 교육시설 및 교구, 전담교사 양성 프로그램 등이 강화되어야 하고 셋째 정규교육과정 외의 로봇 교육이 산재함을 고려하여 실과 교과에서 로봇교육을 주도하기 위한 이론 및 적용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robot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perceptions by teachers in the field, being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ducation of robot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 ...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robot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perceptions by teachers in the field, being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ducation of robot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for literacy for robot technology education and study on an integrated approach is needed. Second, on-site training courses for teachers and facilities and support programs for education, such as the robot dedicated to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eoretical research and application driven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영권, "학교 주5일제 수업에 대비한 로봇 활용 교육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9): 95-119, 2006
2 박응식,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75-198, 2009
3 강경옥,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주제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01-220, 2008
4 이춘식, "초등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83-96, 2013
5 강종표, "초등학교에서의 로봇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97-113, 2003
6 박광렬, "초등학교 로봇 교육 및 교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의 고찰"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323-343, 2011
7 박정호, "초등학교 교과통합 로봇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35-44, 2010
8 박광렬, "초등 실과교과의 기술영역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 대상의 로봇 활용 교육 과정안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73-296, 2008
9 KERIS, "창의성 증진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2009
10 김미량, "창의성 증진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1 배영권, "학교 주5일제 수업에 대비한 로봇 활용 교육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9): 95-119, 2006
2 박응식,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75-198, 2009
3 강경옥,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주제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01-220, 2008
4 이춘식, "초등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83-96, 2013
5 강종표, "초등학교에서의 로봇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97-113, 2003
6 박광렬, "초등학교 로봇 교육 및 교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의 고찰"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323-343, 2011
7 박정호, "초등학교 교과통합 로봇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35-44, 2010
8 박광렬, "초등 실과교과의 기술영역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 대상의 로봇 활용 교육 과정안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73-296, 2008
9 KERIS, "창의성 증진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2009
10 김미량, "창의성 증진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11 박광렬, "손놀림과 논리 사고력 학습이 포함된 초등학교 로봇 교육 도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2-2, 2005
12 정진현, "로봇키트 만들기 체험이 초등학교 교사의 감성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 (19): 131-149, 2013
13 조혜경, "교육+로봇: 비전과 액션플랜" 26 (26): 55-64, 2008
14 KERIS, "교구로봇 활용수업의 효과분석 연구"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2009
15 이승훈, "‘우주탐사’ 주제중심의 로봇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129-148, 2013
16 Dimitris, A., "Teacher Education on Robotics-Enhanced constructvist Pedagogical Methods" School of Pedagogical and technical Education(ASPETE) 2009
17 강종표,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로봇의 이해’ 단원의 내용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1-22, 2013
실과 교육과정개정을 위한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체계 개발 방안
실과 생명과학 영역의 미래형 목표 및 내용 체제 개발에 관한 연구
핵심역량 중심의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ㆍ인성교육 수업모델개발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1.03 | 1.387 | 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