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VID-19와 유아 재난안전에 대한 사회적 이슈 분석: 유튜브 동영상 댓글을 중심으로 = Social issues analysis of COVID-19 and disaster safety for children: Focusing on YouTube video com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1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튜브 동영상 댓글에 나타난 COVID-19와 유아 재난안전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분석하여 재난안전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단어 빈도 분석과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유아 및 재난안전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2020년 1년 동안 유튜브 동영상의 댓글을 수집한 다음 키워드 분석과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키워드 분석에서는 ‘재난안전+유아’의 경우, 감사, 아이, 대한민국, 노래, 우리의 순으로, ‘코로나19+유아’의 경우, 아이, 진짜, 마스크, 검사, 감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에서 ‘재난안전+유아’의 경우 방역 대응(36.4%), 온라인 수업(31.9%), 의료진 감사(31.8%)의 3개 주제로, ‘코로나19+유아’의 경우 감염 우려(35.8%), 의료진 감사(31.8%), 방역 대응(31.6%)의 3개 주제로 구분되었다.
      결론: 유튜브 동영상의 댓글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COVID-19와 유아 재난안전 관련 사회적 이슈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재난 약자인 아동의 권리 존중을 우선시하는 재난안전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튜브 동영상 댓글에 나타난 COVID-19와 유아 재난안전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분석하여 재난안전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단어 빈도 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튜브 동영상 댓글에 나타난 COVID-19와 유아 재난안전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분석하여 재난안전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단어 빈도 분석과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유아 및 재난안전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2020년 1년 동안 유튜브 동영상의 댓글을 수집한 다음 키워드 분석과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키워드 분석에서는 ‘재난안전+유아’의 경우, 감사, 아이, 대한민국, 노래, 우리의 순으로, ‘코로나19+유아’의 경우, 아이, 진짜, 마스크, 검사, 감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에서 ‘재난안전+유아’의 경우 방역 대응(36.4%), 온라인 수업(31.9%), 의료진 감사(31.8%)의 3개 주제로, ‘코로나19+유아’의 경우 감염 우려(35.8%), 의료진 감사(31.8%), 방역 대응(31.6%)의 3개 주제로 구분되었다.
      결론: 유튜브 동영상의 댓글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COVID-19와 유아 재난안전 관련 사회적 이슈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재난 약자인 아동의 권리 존중을 우선시하는 재난안전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민송, "트윗 데이터를 이용한 재난 간접외상 분석" 75-78, 2018

      2 이새미 ; 유승의 ; 안순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 의제 분석 : ‘마스크 5부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60-469, 2020

      3 곽수정 ; 김현희,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트위터에 나타난 사회적 이슈의 키워드 및 주제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8 (8): 13-18, 2019

      4 성미영 ; 노미나 ; 서병태 ; 김규형,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아동 재난안전정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한국아동권리학회 25 (25): 167-185, 2021

      5 성미영 ; 서병태 ; 최민석 ; 노미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COVID-19와 어린이집 휴원에 관한 주제 분석" 한국보육학회 21 (21): 67-80, 2021

      6 오미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소셜 빅데이터 기반 주요 이슈 분석" 376 : 1-12, 2020

      7 최윤경, "코로나19와 아동돌봄 쟁점" 57 : 63-69, 2020

      8 주현정, "코로나19 팬데믹에서의 유아교육기관 관련 이슈 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85-1111, 2020

      9 서민송, "재난 관련 SNS 데이터를 이용한 감성도 분석" 6 : 3-6, 2017

      10 곽민호 ; 서영진, "잠재디리클레할당(LDA)을 활용한 대학생의 동료평가 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323-337, 2020

      1 서민송, "트윗 데이터를 이용한 재난 간접외상 분석" 75-78, 2018

      2 이새미 ; 유승의 ; 안순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 의제 분석 : ‘마스크 5부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60-469, 2020

      3 곽수정 ; 김현희,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트위터에 나타난 사회적 이슈의 키워드 및 주제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8 (8): 13-18, 2019

      4 성미영 ; 노미나 ; 서병태 ; 김규형,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아동 재난안전정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한국아동권리학회 25 (25): 167-185, 2021

      5 성미영 ; 서병태 ; 최민석 ; 노미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COVID-19와 어린이집 휴원에 관한 주제 분석" 한국보육학회 21 (21): 67-80, 2021

      6 오미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소셜 빅데이터 기반 주요 이슈 분석" 376 : 1-12, 2020

      7 최윤경, "코로나19와 아동돌봄 쟁점" 57 : 63-69, 2020

      8 주현정, "코로나19 팬데믹에서의 유아교육기관 관련 이슈 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85-1111, 2020

      9 서민송, "재난 관련 SNS 데이터를 이용한 감성도 분석" 6 : 3-6, 2017

      10 곽민호 ; 서영진, "잠재디리클레할당(LDA)을 활용한 대학생의 동료평가 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323-337, 2020

      11 김형중 ; 김진화,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가치 인식 연구: 신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22 (22): 123-146, 2017

      12 한국정보산업연합회, "소셜 미디어란 무엇인가"

      13 강욱건 ; 고의석 ; 이학래 ; 김재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패키징에 대한 소비자의주요 인식 조사-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9 (9): 15-22, 2018

      14 김태종,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언론보도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57-466, 2020

      15 Hornik, K., "Topicmodels : An R package for fitting topic models" 40 (40): 1-30, 2011

      16 조정형 ; 김영재, "SNS에 나타나는 여가활동과 미세먼지에 대한 키워드 토픽 분석: 유튜브(Youtube)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8 (58): 301-309, 2019

      17 윤유동 ; 양영욱 ; 임희석,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173-182, 2016

      18 Zhao, Y., "R and Data Mining" Elsevier Inc 2012

      19 Nikita, M., "Package ‘ldatuning’"

      20 Harrison, J., "Package ‘RSelenium’"

      21 Jeon, H., "Package ‘KoNLP’"

      22 Bothe, D. A., "Overview of children and disasters" 39 (39): 652-662, 2018

      23 Zhao, Y., "Mining Applications with R" Elsevier Inc 2014

      24 Blei, D. 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3 : 993-1022, 2003

      25 Feinerer, I., "Introduction to the tm Package Text Mining in R. 4"

      26 Griffiths, T. L., "Finding scientific topics" 101 : 5228-5235, 2004

      27 Yoshikawa, H., "Effects of the global COVID-19 pandemic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 Short-and long-term risks and mitigating program and policy actions" 233 : 188-193, 2020

      28 Furr, J. M., "Disasters and youth :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posttraumatic stress" 78 (78): 75-780, 2010

      29 Kanupriya., "COVID-19 : A Socio-economic perspective" 9 (9): 161-166, 2020

      30 Poteat, V. P., "Addressing inequities in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ow education policy and schools can support historically and currently marginalized children and youth" 2020

      31 Cao, J., "A density-based method for adaptive LDA model selection" 72 : 1775-1781, 2009

      32 닐슨 코리안 클릭, "2018년 포털/SNS 분기 보고서"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6 1.5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