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동일한 한민족 역사와 분단 이후의 이질성을 보이는 남북한의 특수한 관계 속 공통으로 존재하는 아동권리협약에 초점을 두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아동권리인식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41980
2022
Korean
아동권리인식 ; 북한이탈주민 ; 남북한 비교 ; 아동권리협약 ; child rights ; perception ; cross-cultural ; North Korean defectors.
KCI등재
학술저널
83-114(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동일한 한민족 역사와 분단 이후의 이질성을 보이는 남북한의 특수한 관계 속 공통으로 존재하는 아동권리협약에 초점을 두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아동권리인식과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동일한 한민족 역사와 분단 이후의 이질성을 보이는 남북한의 특수한 관계 속 공통으로 존재하는 아동권리협약에 초점을 두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아동권리인식과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남한 주민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아동권리협약의 보편적 실현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의도표집방법과 자기평가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 성인 143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남한 성인은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144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최종 287개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차이검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아동권리인식에는 성별, 연령, 북한탈출시기, 인권교육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아동권리협약인지도는 ‘여성’과 ‘인권교육을 받은 집단’의 인식이 높았다. 둘째, 아동권리중요도는 ‘30-40대’의 인식이 높았고 10-20대가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북한탈출시기 관련 ‘2000-2009년’ 집단의 인식이 높고, ‘1999년 이전’ 집단의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생존권’은 가장 중요하고 잘 지켜지는 권리이며, ‘참여권’은 중요성에 비해 가장 보장되지 않는 권리였다. 넷째, 인권교육경험은 아동권리협약 인지도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아동권리중요도와 아동권리보유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 인권교육기회는 모두가 동등하게 보장받아야 하는 권리이며 특히,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아동권리실현을 지향하는 한국 사회에서 인권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북한이탈주민 대상 인권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북한식 인권개념을 재구조화하여 보편적인 인권 규범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실천지향적 접근이 이뤄져야할 것과 북한이탈주민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및 북한거주시기 등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익중, "한국아동권리의 현주소- 동상이몽, 부모자녀 아동권리인식비교"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20
2 김석향, "통일기반구축을 위한 민간단체(NGO)의 역할모색: 북한 아동복지 현안을 중심으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2015
3 양옥경, "통일과 사회복지" 나남 19-55, 2019
4 김자영, "청소년의 인권의식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3 (3): 5-40, 2012
5 박길수, "천도교소년회 초기 활동 연구 -천도교회월보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3 (3): 67-108, 2021
6 함인희, "집단별 통일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청소년·여성·386세대를 중심으로" 5 : 137-165, 2000
7 통일부, "주요사업통계"
8 조기제, "조선에서의 유교적 아동관과 아동도덕"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5) : 359-388, 2011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제72조"
10 김창근, "인권의 보편성과 북한의 인권관: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윤리학회 1 (1): 203-238, 2014
1 정익중, "한국아동권리의 현주소- 동상이몽, 부모자녀 아동권리인식비교"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20
2 김석향, "통일기반구축을 위한 민간단체(NGO)의 역할모색: 북한 아동복지 현안을 중심으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2015
3 양옥경, "통일과 사회복지" 나남 19-55, 2019
4 김자영, "청소년의 인권의식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3 (3): 5-40, 2012
5 박길수, "천도교소년회 초기 활동 연구 -천도교회월보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3 (3): 67-108, 2021
6 함인희, "집단별 통일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청소년·여성·386세대를 중심으로" 5 : 137-165, 2000
7 통일부, "주요사업통계"
8 조기제, "조선에서의 유교적 아동관과 아동도덕"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5) : 359-388, 2011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제72조"
10 김창근, "인권의 보편성과 북한의 인권관: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윤리학회 1 (1): 203-238, 2014
11 박상준, "인권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이론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5 (35): 6-141, 2003
12 김석향 ; 정익중 ; 김미주 ; 오은찬, "유엔아동권리협약 국가보고서를 통해 본 남북한 아동권리 내용 비교" 한국아동복지학회 (54) : 1-44, 2016
13 하경수, "우리 사회의 인권담론과 어린이 인권교육"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89-100, 2013
14 이영애 ; 곽정인, "영유아권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콘텐츠학회 13 (13): 988-1003, 2013
15 이주영, "어린이 문화 운동사" 보리출판사 2014
16 양옥경, "아동청소년 인권 국제기준 인식도 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7
17 변길희, "아동의 인권에 대한 인식과 실천에 따른 정책 방향 모색-유엔아동권리협약을 중심으로-" 국제개발연구소 8 (8): 1-34, 2018
18 이재연, "아동의 권리에 대한 아동, 부모, 교사의 인식" 2 (2): 25-41, 1998
19 이명순 ; 이은주,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한국아동권리학회 17 (17): 265-284, 2013
20 김진숙 ; 서영숙 ; 서혜정, "아동권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5-60, 2010
21 우진경, "아동권리 관련 연구 동향분석: 부모 및 가정 연구대상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61-187, 2020
22 임세와 ; 양옥경 ; 배은경, "아동·보호자·교사의 아동권리인식 수준 비교 연구 '아동 최선의 이익'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24 (24): 641-664, 2020
23 박병영, "사회문화 통합의 이론과 그 쟁점" 8 (8): 117-146, 2005
24 정상우 ; 강은영, "북한이탈주민의 인권교육 경험에 따른 인권의식 차이 분석"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0 (10): 175-208, 2017
25 이진혁 ; 최정민, "북한이탈주민의 인권감수성에 관한 연구" 다문화평화연구소 14 (14): 73-91, 2020
26 정상우, "북한이탈주민 인권의식 실태조사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6
27 서보혁 ; 정상우 ; 김윤나, "북한이탈주민 인권교육의 당위성 고찰" 교육연구소 23 (23): 49-71, 2017
28 임순희, "북한의 여성권·아동권 관련 법 제정 동향" 통일연구원 2011
29 송인호 ; 강보선, "북한의 아동 관련 법제와 실태에 대한 고찰 –북한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에 대한 제5차 국가보고서’를 중심으로–" 비교법학연구소 59 : 81-113, 2020
30 이윤진, "북한 아동권리보장법 및 아동복지 관련 법제도 분석" 사회복지연구소 50 : 189-219, 2016
31 이은주 ; 정계숙, "부모의 아동 권리 인식과 양육태도와의 관계" 한국생애학회 2 (2): 33-50, 2012
32 이현진 ; 장혜진, "부모의 사회문화적 변인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천" 열린부모교육학회 9 (9): 1-20, 2017
33 구은미 ; 서보순 ; 강인자,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인식 연구: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CCTV에 관한 인식의 영향력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20 (20): 437-457, 2016
34 굿네이버스 아동권리연구소, "대한민국 아동권리지수"
35 굿네이버스 아동권리연구소, "대한민국 아동권리지수"
36 정하윤,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13 (13): 51-70, 2012
37 김국현, "남북한 청소년의 고정관념과 심리적 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53 (53): 10-255, 2003
38 이재연, "권리에 대한 아동의 인식" 1 (1): 65-83, 1997
39 국가인권위원회, "국민인권의식 총괄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2005
40 정진성, "국민인권의식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1
41 Peens, B. J., "children's rights : a review of children's and adults' perceptions" 19 (19): 275-286, 2000
42 Murphy-Berman, V.,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 cross-cultural view" 51 (51): 1231-1233, 1996
43 Starkey, H., "The Challenge of human right education" Cassell 1991
44 Stephan Walter, "Reducing prejudice and stereotyping in Schools" Teachers College Press 1999
45 Cherney, I., "Monitoring children's right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41-250, 1996
46 Ncube, W., "Law, culture, tradition and children's rights in Eastern and Southern Africa" Ashgate publishing 1-10, 1998
47 James, A., "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Childhood: Contemporary Issues in the Sociological Study of Childhood" Falmer Press 1997
48 Cherney, I. D., "Children's nurturance and self-determination rights : A cross-cultural perspective" 64 (64): 835-856, 2008
49 Zellman, G. L., "Childhood Origins of Tolerance for Dissent" 27 (27): 109-136, 1971
50 UNICEF, "Child Rights Education Toolkit: Rooting Child Righ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UNICEF Private Fundraising and Partnerships Division(PFP) 2014
51 Rogers, C. M., "Attitudes toward children's rights : Nurturance or self-determination?" 34 (34): 59-68, 1978
52 Bohrnstedt, G. W., "Adult perspectives on children's autonomy" 45 (45): 443-462, 1981
53 Cherney, I. D., "A Cross-Cultural View of Adults' Perceptions of Children's Rights" 21 : 432-456, 2008
54 국제아동인권센터, "2017 아동권리인식도조사" 보건복지부 2017
55 구정우, "2016년 국민인권의식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6
56 김윤태, "1990년대 식량난 이후 북한주민의 생애경험이 인권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COVID-19와 유아 재난안전에 대한 사회적 이슈 분석: 유튜브 동영상 댓글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캄보디아 아동의 교육권 향상에 관한 국제개발협력 방향성 연구: 초등교사의교수동기, 교수효능감, 교수수행중심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2-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2 | 1.02 | 1.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 | 1.26 | 1.56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