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on problem behavior: Self-esteem as a media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19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problem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whether self-esteem has a mediating effect.
      Method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8), and a total of 707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The study utilized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estimation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with data processing done with SPSS 21.
      Result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cademic stress,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plays a partial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problem behavior in these children. An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depending on the type of problem behavior showed different results. Academic stress affects internalizing problems, with self-esteem appearing in relation to this to play a complete mediating role. On the other hand, although academic stress affects externalizing problems, the role of self-esteem as a mediator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e study found that academic stress felt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their problem behavior overall.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the role of self-esteem as a mediating variable depending on the type of problem behavior in these children calls for proactive support with regard to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child.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problem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whether self-esteem has a mediating effect. Method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8), and...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problem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whether self-esteem has a mediating effect.
      Method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8), and a total of 707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The study utilized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estimation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with data processing done with SPSS 21.
      Result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cademic stress,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plays a partial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problem behavior in these children. An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depending on the type of problem behavior showed different results. Academic stress affects internalizing problems, with self-esteem appearing in relation to this to play a complete mediating role. On the other hand, although academic stress affects externalizing problems, the role of self-esteem as a mediator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e study found that academic stress felt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their problem behavior overall.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the role of self-esteem as a mediating variable depending on the type of problem behavior in these children calls for proactive support with regard to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chi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2 서정민 ; 모지환,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학교부적응의 매개효과를 활용하여 -"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4 (14): 119-149, 2013

      3 보건복지부, "포용국가 아동정책 “내일만큼 오늘이 빛나는 우리”"

      4 김민주 ; 이동귀,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5 (15): 69-89, 2018

      5 고재홍 ; 김미정,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방어기제들의 역할"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161-183, 2009

      6 이상주,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89-114, 2011

      7 백혜정 ; 황혜정,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1-27, 2006

      8 김수영 ; 조민아,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트레스, 우울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3 (33): 295-321, 2021

      9 강명희 ; 박연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가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3 (13): 157-180, 2016

      10 송희승 ; 신희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문제행동 예측 모형" 한국아동간호학회 20 (20): 1-10, 2014

      1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2 서정민 ; 모지환,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학교부적응의 매개효과를 활용하여 -"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4 (14): 119-149, 2013

      3 보건복지부, "포용국가 아동정책 “내일만큼 오늘이 빛나는 우리”"

      4 김민주 ; 이동귀,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5 (15): 69-89, 2018

      5 고재홍 ; 김미정,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방어기제들의 역할"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161-183, 2009

      6 이상주,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89-114, 2011

      7 백혜정 ; 황혜정,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1-27, 2006

      8 김수영 ; 조민아,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트레스, 우울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3 (33): 295-321, 2021

      9 강명희 ; 박연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가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3 (13): 157-180, 2016

      10 송희승 ; 신희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문제행동 예측 모형" 한국아동간호학회 20 (20): 1-10, 2014

      11 조옥선 ; 백진아,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집단따돌림 피해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 8 (8): 233-244, 2014

      12 김현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1 (21): 409-437, 2014

      13 최연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자존감과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6 (6): 75-91, 2012

      14 김도희 ; 박영준 ; 장재원,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연구: 자아존중감, 부모지지, 친구지지의 매개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7) : 67-89, 2017

      15 오동균 ; 권순용, "청소년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 불안, 충동성, 우울, 자살 생각의 인과적 관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6 (16): 29-45, 2019

      16 정미경,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271-290, 2012

      17 이슬아 ; 김근향 ; 육기환,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 평가와 진단에서 K-CBCL과 MMPI-A의 유용성"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391-399, 2012

      18 김준호, "청소년의 긴장과 비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19 장휘숙 ; 한건환 ; 안권순,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경험, 대처방식 및 문제 행동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85-402, 2004

      20 정익중,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127-166, 2007

      21 노충래 ; 김설희,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과 우울불안에 대한 개인요인 및 사회적 지지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9) : 39-68, 2012

      22 이현주, "중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2 (2): 27-44, 2021

      23 조성진 ; 전홍진 ; 김장규 ; 서동우 ; 김선욱 ; 함봉진 ; 서동혁 ; 정선주 ; 조맹제, "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의 유병률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1 (41): 1142-1155, 2002

      24 박윤조 ; 김성현, "유아의 자아존중감, 탄력성 및 문제행동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6 (16): 227-244, 2016

      25 손승희 ; 정지나,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생활과학회 30 (30): 761-770, 2021

      26 박서연 ; 정영숙,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17-32, 2010

      27 김선아, "아동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내면문제 변화와 초기 보호요인(애착, 자아존중, 통제, 양육태도)과의 관계: 초4-중2를 중심으로" 대한아동복지학회 9 (9): 39-66, 2011

      28 이봉주 ; 손선옥 ; 김윤지, "아동청소년 학교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1 : 37-58, 2015

      29 문수연 ; 강지현, "아동의 학업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친구관계질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3323-3339, 2013

      30 채진영, "아동의 학업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71-87, 2012

      31 이주리,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주의통제와 공격성간의 관계: 주의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7 (17): 39-52, 2013

      32 이은영 ; 박양리 ; 현명호, "시험불안에 있어 학업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관련성" 대한스트레스학회 16 (16): 79-84, 2008

      33 국가인권위원회, "사이버인권교육 보조교재「유엔아동권리협약」의 이해" 한학문화 2018

      34 김도희, "부모의 학대와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87-515, 2015

      35 성정혜 ; 김춘경, "부모의 교육열과 아동의 자아존중감,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아동의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육아정책연구소 13 (13): 47-71, 2019

      36 이은주, "내재화 행동문제와 외현화 행동문제의 종단적 공동발달 : 잠재성장모델의 적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171-200, 2010

      37 통계청, "http://www.mogef.go.kr/kor/skin/doc.html?fn=022edcf1b4904849adc7774ac9487f95.pdf&rs=/rsfiles/202108/"

      38 Loeber, R., "Young children who commit crime : Epidemiology, developmental origins, risk factors, early interven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12 (12): 737-762, 2000

      39 Goodman, R.,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 a research note" 38 (38): 581-586, 1997

      40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41 Huan, V., "The impact of adolescent concerns on their academic stress" 60 (60): 169-178, 2008

      42 Achenbach, T. M., "The child behavior profile : I. boys aged 6–11" 46 (46): 478-488, 1978

      43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W. H. Freeman and Company 1967

      44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45 Tram, J.,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ce : Mediator or Moderator?" 109 (109): 753-760, 2000

      46 Metsäpelto, R., "School grades as predictors of self-esteem and changes in internalizing problems : A longitudinal study from fourth through seventh grade" 77 : 101807-, 2020

      47 Burt, C., "Perceived family environment as a moderator of young adolescents' life stress adjustment" 16 (16): 101-122, 1988

      48 MCS, "MCS Child Paper Self Completion Questionnaire"

      49 Auerbach, R., "A prospective examination of depressive symptomology :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vents, self-esteem, and neuroticism" 29 (29): 438-461, 2010

      50 Butler, A., "A comparison of self-esteem lability and low trait self-esteem as vulnerability factors for depression" 66 (66): 166-177,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6 1.5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