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 Cross-Linguistic Investigation on the process of spelling-sound correspondence  :  Some relations between oral language and reading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111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음성언어와 읽기 초기 과정과의 관계를 밝혀보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
      하면 언어간 비교를 통해서 음성언어의 특성과 철자-발음간의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언어의 특성이 음운인식 능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언어에
      따라서 철자-발음 대응과정의 발달양상이나 속도가 다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또한
      언어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과정이나 기제가 있을 것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
      을 검토하기 위해서 같은 자모문자에 속하면서도 상이한 음운적 철자적 특성을 지닌 영어와
      한글의 두 언어를 선택하였다.

      문자터득의 초기 과정 피험자들의 철자-발음 대응과정에 대한 언어간 비교를 통해서 두 종
      류의 언어활동 즉 음성언어와 문자언어가 상호작용을 하며 이 상호작용에 내재된 보편적인
      기제를 볼 수 있었다. 즉 음절보다는 크며 음소보다는 작은 중간정도의 크기에 해당하는
      음운 단위가 표상된다. 그러나 모국어가 영어인 피험자들은 3성음절(CVC)을 초두자음-각
      운(C+VC)으로, 모국어가 한국어인 피험자들은 음절체-말미자음(CV+C)으로 분절한 후 발음
      과 대응시키는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이것은 두 언어의 음절구조의 차이 즉 영어의 경우
      초두자음/각운, 한국어의 경우 음절체/말미자음이라는 것이 철자-발음 대응과정에 반영되는
      것이라고 해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두 언어권 피험자들의 수행 차이가 과제요인이나
      피험자요인 등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이 있어서 이러한 요인들을 통제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
      구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language and the reading. Move specifically we want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ral language and the development of spelling-sound
      correspondence through the cross-language comparison. Considering the effect of oral
      and written language on the development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we can infer
      that there might be the possibility of the different developmental pattern or speed in the
      process of spelling-sound correspondence in different languages and there might be also
      the possibility of a common process or mechanism in spite of language differences. In
      order to examine these possibilities we chose to compare two languages, English and
      Korean, which are the same alphabetic scripts but each language has a different
      phonological, orthographic feature.

      Through this cross-Linguistic comparisons we expect to see the interactive figure of
      two kind of human language activity - oral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 and the
      universal mechanism which is embedded in these interaction. There were common
      processes that the phonological intermediate unit is represented in the process of
      spelling-sound correspondence. However English-speaking subjects showed the early
      orthographic recognition unit in onset-rime (C1-VC2) level and Korean-speaking
      beginners showed the orthographic recognition unit in syllable
      body-coda(C1V-C2) level. These data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yllable structure in verbal language is represented in the print-sound
      correspondence. But there are some possibilities that the differences of the performance
      pattern between two language subjects may be due to task factor, subject factor etc.
      Therefore additional systematic studies must be done to control some factor and to get
      a certain conclusion.
      번역하기

      이 연구는 음성언어와 읽기 초기 과정과의 관계를 밝혀보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 하면 언어간 비교를 통해서 음성언어의 특성과 철자-발음간의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는 음성언어와 읽기 초기 과정과의 관계를 밝혀보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
      하면 언어간 비교를 통해서 음성언어의 특성과 철자-발음간의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언어의 특성이 음운인식 능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언어에
      따라서 철자-발음 대응과정의 발달양상이나 속도가 다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또한
      언어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과정이나 기제가 있을 것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
      을 검토하기 위해서 같은 자모문자에 속하면서도 상이한 음운적 철자적 특성을 지닌 영어와
      한글의 두 언어를 선택하였다.

      문자터득의 초기 과정 피험자들의 철자-발음 대응과정에 대한 언어간 비교를 통해서 두 종
      류의 언어활동 즉 음성언어와 문자언어가 상호작용을 하며 이 상호작용에 내재된 보편적인
      기제를 볼 수 있었다. 즉 음절보다는 크며 음소보다는 작은 중간정도의 크기에 해당하는
      음운 단위가 표상된다. 그러나 모국어가 영어인 피험자들은 3성음절(CVC)을 초두자음-각
      운(C+VC)으로, 모국어가 한국어인 피험자들은 음절체-말미자음(CV+C)으로 분절한 후 발음
      과 대응시키는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이것은 두 언어의 음절구조의 차이 즉 영어의 경우
      초두자음/각운, 한국어의 경우 음절체/말미자음이라는 것이 철자-발음 대응과정에 반영되는
      것이라고 해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두 언어권 피험자들의 수행 차이가 과제요인이나
      피험자요인 등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이 있어서 이러한 요인들을 통제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
      구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language and the reading. Move specifically we want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ral language and the development of spelling-sound
      correspondence through the cross-language comparison. Considering the effect of oral
      and written language on the development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we can infer
      that there might be the possibility of the different developmental pattern or speed in the
      process of spelling-sound correspondence in different languages and there might be also
      the possibility of a common process or mechanism in spite of language differences. In
      order to examine these possibilities we chose to compare two languages, English and
      Korean, which are the same alphabetic scripts but each language has a different
      phonological, orthographic feature.

      Through this cross-Linguistic comparisons we expect to see the interactive figure of
      two kind of human language activity - oral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 and the
      universal mechanism which is embedded in these interaction. There were common
      processes that the phonological intermediate unit is represented in the process of
      spelling-sound correspondence. However English-speaking subjects showed the early
      orthographic recognition unit in onset-rime (C1-VC2) level and Korean-speaking
      beginners showed the orthographic recognition unit in syllable
      body-coda(C1V-C2) level. These data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yllable structure in verbal language is represented in the print-sound
      correspondence. But there are some possibilities that the differences of the performance
      pattern between two language subjects may be due to task factor, subject factor etc.
      Therefore additional systematic studies must be done to control some factor and to get
      a certain co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