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중세사학계에서는『고려사』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의 限界를 많이 補完하고 있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렇지만『고려사』의 記事內容에 대한 校勘, 校訂, 補完, 追加 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2704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국중세사학계에서는『고려사』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의 限界를 많이 補完하고 있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렇지만『고려사』의 記事內容에 대한 校勘, 校訂, 補完, 追加 등...
현재 한국중세사학계에서는『고려사』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의 限界를 많이 補完하고 있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렇지만『고려사』의 記事內容에 대한 校勘, 校訂, 補完, 追加 등의 작업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申請者는『고려사』世家篇에는 記事가 전혀 없는 두개의 年度 중에서 이미 補完한 적이 있는 光宗 18년(967)에 이어서, 忠肅王 復位 3년(1334)의 記事를 復元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當該年度에 관련된 韓國側의 모든 資料를 網羅하여 餘他의『高麗史』世家篇에 收錄되어 있는 方式과 같이 史料를 整理하여야 할 것이다. 또 당시의 高麗王朝가 처해 있던 形便 곧 蒙古帝國의 支配秩序內에 編入되어 그들의 강한 政治的인 壓制를 받은 現實的인 狀況도 配慮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해에 蒙古帝國에서 이루어진 各種 事件과 儀禮, 그리고 蒙古帝國의 中華域內에서 活躍하고 있었던 高麗人의 樣態도 調査되어 言及되어야 할 것이다. 또 日食[日蝕], 月食[月蝕] 그리고 각종 天災地變의 모습을 보기 위해『元史』의 해당 志와 年代記가 없이 각종 日記資料만이 남겨져 있는 日本側의 資料도 수습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現存하는 忠肅王世家(충목왕 2년 10월 이래 李齊賢․安軸 등에 의해 편찬된『忠肅王實錄』을 크게 縮約하였을 것으로 추측됨)의 構成과 性格에 대한 검토, 1334年 前後의 政治的 狀況의 분석, 그리고 內外의 各種資料를 통해 當該年度에 관련된 記錄이 收拾․整理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충숙왕 복위3년의 기사를 餘他 年度의 體制와 記述方式에 依據하여 修撰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