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자산을 활용한 연안정주지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영도대교 주변 수변지역 자산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8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도심형 연안정주지역은 전통적인 산업기능 쇠퇴와 부동산경기 침체로 전면개발방식보다는 역사적?문화적 가 치를 활용한 재생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영도구 영도대교 주변 수변지역의 지역자산을 조사하여 물리적?사회적?경제적 자산으로 분류한 후, 이지역의 장소가치를 높일 수 있는 통합적 재생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물리 적 재생은 장소와 문화적 특성을 둘째, 사회적 재생은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역브랜드를 셋째, 경제적 재생은 역사?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한 문화관광 인프라 구축으로 지역자산 기반형 문화체험을 제공하 고, 연안정주지 일원의 도시 활력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와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번역하기

      최근 도심형 연안정주지역은 전통적인 산업기능 쇠퇴와 부동산경기 침체로 전면개발방식보다는 역사적?문화적 가 치를 활용한 재생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영도구 ...

      최근 도심형 연안정주지역은 전통적인 산업기능 쇠퇴와 부동산경기 침체로 전면개발방식보다는 역사적?문화적 가 치를 활용한 재생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영도구 영도대교 주변 수변지역의 지역자산을 조사하여 물리적?사회적?경제적 자산으로 분류한 후, 이지역의 장소가치를 높일 수 있는 통합적 재생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물리 적 재생은 장소와 문화적 특성을 둘째, 사회적 재생은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역브랜드를 셋째, 경제적 재생은 역사?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한 문화관광 인프라 구축으로 지역자산 기반형 문화체험을 제공하 고, 연안정주지 일원의 도시 활력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와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due to a decline in traditional industrial function and recession of the real estate business, urban coastal settlement areas have been promoted in a regeneration way using historical?cultural values rather than overall development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gional assets of water-front area around Yeongdodaegyo Bridge in Yeongdo-gu, Busan and classified them into physical?social?economic assets and then, presented the integrated regeneration approach that can increase the place value of this area. First, physical regeneration proposed a regional revitalization plan by considering plac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econd, social regeneration by considering the regional brand through storytelling and third, economic regeneration by considering historical?cultural characteristics. Regional assets-based culture experience can be provided by building cultural tourism infrastructure through this and local economy and local community activation can be expected by providing urban vitality base of coastal settlement areas.
      번역하기

      Recently, due to a decline in traditional industrial function and recession of the real estate business, urban coastal settlement areas have been promoted in a regeneration way using historical?cultural values rather than overall development approach....

      Recently, due to a decline in traditional industrial function and recession of the real estate business, urban coastal settlement areas have been promoted in a regeneration way using historical?cultural values rather than overall development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gional assets of water-front area around Yeongdodaegyo Bridge in Yeongdo-gu, Busan and classified them into physical?social?economic assets and then, presented the integrated regeneration approach that can increase the place value of this area. First, physical regeneration proposed a regional revitalization plan by considering plac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econd, social regeneration by considering the regional brand through storytelling and third, economic regeneration by considering historical?cultural characteristics. Regional assets-based culture experience can be provided by building cultural tourism infrastructure through this and local economy and local community activation can be expected by providing urban vitality base of coastal settlement area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