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과 보험약관상 자사(自死)보험금 지급에 관한 연구 - 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Suicide Due to Depression and Self-Insane Suicide Benefits under Insurance Terms and Conditions - Based on Court Jud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332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통계청에서 2023년 10월 발표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고의적 자해(자살)는 인구 10만명 당 12,906명으로 25.2%를 기록했다. 이는 OECD 평균 10.6%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며 10대-30대까지 1위, 40대-50대 2위를 차지하는 등 전체적인 연령대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경찰청에서 제공한 2022년 변사자 통계에 의하면 자살원인은 정신적·정신과적 문제가 5,011명(39.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생명보험 및 질병·상해보험 표준약관은 피보험자의 고의자살을 보상하지 않지만 정신질환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이 어려운 상태에서 자신을 해친 경우는 각각 재해사망보험금 및 상해사망보험금을 지급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같은 규정을 자살면책제외조항 또는 실무상 자사라고 한다. 문제는 표준약관상 자유로운 의사결정이 어려운 상태에 대한 판단기준이 불명확하여 우울증 등 정신과적 문제로 자살한 경우 동일한 사실관계에도 불구하고 하급심과 대법원의 태도가 상이하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표준약관상 자살과 자사의 의미를 살펴보고 우울증 등 정신질환으로 자살한 경우 하급심 및 대법원의 태도를 비교한 후 표준약관상 자살면책제외조항의 적용범위 및 수정 필요성 등 시사점 및 개선안을 제시했다.
      번역하기

      통계청에서 2023년 10월 발표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고의적 자해(자살)는 인구 10만명 당 12,906명으로 25.2%를 기록했다. 이는 OECD 평균 10.6%를 크게 상회...

      통계청에서 2023년 10월 발표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고의적 자해(자살)는 인구 10만명 당 12,906명으로 25.2%를 기록했다. 이는 OECD 평균 10.6%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며 10대-30대까지 1위, 40대-50대 2위를 차지하는 등 전체적인 연령대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경찰청에서 제공한 2022년 변사자 통계에 의하면 자살원인은 정신적·정신과적 문제가 5,011명(39.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생명보험 및 질병·상해보험 표준약관은 피보험자의 고의자살을 보상하지 않지만 정신질환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이 어려운 상태에서 자신을 해친 경우는 각각 재해사망보험금 및 상해사망보험금을 지급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같은 규정을 자살면책제외조항 또는 실무상 자사라고 한다. 문제는 표준약관상 자유로운 의사결정이 어려운 상태에 대한 판단기준이 불명확하여 우울증 등 정신과적 문제로 자살한 경우 동일한 사실관계에도 불구하고 하급심과 대법원의 태도가 상이하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표준약관상 자살과 자사의 의미를 살펴보고 우울증 등 정신질환으로 자살한 경우 하급심 및 대법원의 태도를 비교한 후 표준약관상 자살면책제외조항의 적용범위 및 수정 필요성 등 시사점 및 개선안을 제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22” publish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October 2023, the rate of intentional selfharm (suicide) is 12,906 per 100,000 people, showing a mortality rate of 25.2%,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of 10.6%. It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of all age groups, ranking first among those in their teens and 30s and second among those in their 40s and 50s. According to suicide statistics from the 2022 unnatural death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mental and psychiatric problem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suicides, totaling 5,011 people (39.4%). Meanwhile,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of life insurance and disease/accident insurance do not compensate for the insured's intentional suicide. However, they stipulate that in cases where the insured harms themselves while unable to make free decisions due to mental illness, accidental death benefits will be paid. Such regulations are called suicide exemption exclusion clauses or, in practice, self-insane suicide clauses. The problem is that the standards for conditions in which free decision-making is difficult under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are unclear. As a result, in cases of suicide due to psychiatric problems such as depression, the attitudes of the lower courts and the Supreme Court differ based on the same fac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suicide and self-insane suicide according to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compared the attitudes of the lower courts and the Supreme Court in cases of suicide due to depression, and presented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such as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the need for revising the suicide exemption exclusion clause in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번역하기

      According to the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22” publish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October 2023, the rate of intentional selfharm (suicide) is 12,906 per 100,000 people, showing a mortality rate of 25.2%, which ...

      According to the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22” publish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October 2023, the rate of intentional selfharm (suicide) is 12,906 per 100,000 people, showing a mortality rate of 25.2%,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of 10.6%. It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of all age groups, ranking first among those in their teens and 30s and second among those in their 40s and 50s. According to suicide statistics from the 2022 unnatural death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mental and psychiatric problem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suicides, totaling 5,011 people (39.4%). Meanwhile,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of life insurance and disease/accident insurance do not compensate for the insured's intentional suicide. However, they stipulate that in cases where the insured harms themselves while unable to make free decisions due to mental illness, accidental death benefits will be paid. Such regulations are called suicide exemption exclusion clauses or, in practice, self-insane suicide clauses. The problem is that the standards for conditions in which free decision-making is difficult under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are unclear. As a result, in cases of suicide due to psychiatric problems such as depression, the attitudes of the lower courts and the Supreme Court differ based on the same fac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suicide and self-insane suicide according to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compared the attitudes of the lower courts and the Supreme Court in cases of suicide due to depression, and presented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such as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the need for revising the suicide exemption exclusion clause in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