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가를 대상으로 금연정책 통합지수를 산출하여, 우리나라의 금연정책 실행의 현 위치를 분석하고 향후 금연정책 수행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금연정책을 담배가격정책, 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30114
2014
-
300
학술저널
70-84(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금연정책 통합지수를 산출하여, 우리나라의 금연정책 실행의 현 위치를 분석하고 향후 금연정책 수행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금연정책을 담배가격정책, 담...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금연정책 통합지수를 산출하여, 우리나라의 금연정책 실행의 현 위치를 분석하고 향후 금연정책 수행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금연정책을 담배가격정책, 담배건강경고정책, 금연치료지원정책, 금연구역정책, 금연정보정책, 담배광고 규제정책으로 구분하여, 각 정책별로 우리나라의 위치를 분석한 결과, 가격정책, 건강경고정책, 금연치료지원정책은 OECD 국가 중에 하위권에 머물러 있었다. 그리고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금연정책 통합지수를 산출한 결과, 우리나라는 OECD 국가 27개국 중에서 25위인 것으로 나타나, OECD 국가 중에서 금연정책이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에 위치해 있었다. 흡연의 폐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보다 강력하고 적극적인 금연정책이 요구되며, 우선 담배가격인상, 그림경고 도입이 필요하다.
노인의 가족 형태 변화에 따른 정책과제: 1994~2011년의 변화
싱가포르의`Marriage and Parenthood Package` 현황과 시사점
영국 NICE 2007/2014 개인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