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슬람금융의 확산과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협력이슈 = Globalization of Islamic Finance and Korea-Indonesia Cooperation Iss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49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은 중동으로부터 석유와 가스의 90%이상을 수입하고 해외건설공사의 70% 이상을 수주하고 있다. 이제 한국과 중동은 이러한 경제적 밀착관계를 넘어 한류를 통한 양국의 문화부문까지 교류가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세계 최대의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는 다양한 신흥경제그룹에 모두 포함되는 잠룡으로 평가되는 한국의 뉴프론티어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정치, 문화, 사회 각 부문에서는 이슬람 금융, 특히 이슬람 채권(수쿠크)의 도입에 대한 찬반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수쿠크 도입에 대한 찬반논란은 종교의 자유와 정경분리라는 원칙에서 보면 매우 소모적인 논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주요한 경제협력 파트너인 중동의 이슬람 금융시장, 안정적인 신흥경제대국인 인도네시아의 무슬림 소비시장을 한국의 경제협력과 연결하는, 소위 삼각협력의 강화는 한국의 이슬람 금융인프라 구축을 통하여 금융산업의 세계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은 중동으로부터 석유와 가스의 90%이상을 수입하고 해외건설공사의 70% 이상을 수주하고 있다. 이제 한국과 중동은 이러한 경제적 밀착관계를 넘어 한류를 통한 양국의 문화부문까지 교...

      한국은 중동으로부터 석유와 가스의 90%이상을 수입하고 해외건설공사의 70% 이상을 수주하고 있다. 이제 한국과 중동은 이러한 경제적 밀착관계를 넘어 한류를 통한 양국의 문화부문까지 교류가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세계 최대의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는 다양한 신흥경제그룹에 모두 포함되는 잠룡으로 평가되는 한국의 뉴프론티어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정치, 문화, 사회 각 부문에서는 이슬람 금융, 특히 이슬람 채권(수쿠크)의 도입에 대한 찬반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수쿠크 도입에 대한 찬반논란은 종교의 자유와 정경분리라는 원칙에서 보면 매우 소모적인 논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주요한 경제협력 파트너인 중동의 이슬람 금융시장, 안정적인 신흥경제대국인 인도네시아의 무슬림 소비시장을 한국의 경제협력과 연결하는, 소위 삼각협력의 강화는 한국의 이슬람 금융인프라 구축을 통하여 금융산업의 세계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이슬람금융의 글로발리제이션
      • Ⅱ. 한국의 무슬림과 이슬람 금융
      • Ⅲ. 인도네시아의 경제와 이슬람 금융
      • Ⅳ. 한· 인니의 이슬람금융 협력이슈
      • 국문요약
      • Ⅰ. 이슬람금융의 글로발리제이션
      • Ⅱ. 한국의 무슬림과 이슬람 금융
      • Ⅲ. 인도네시아의 경제와 이슬람 금융
      • Ⅳ. 한· 인니의 이슬람금융 협력이슈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의섭, "한국에서의 이슬람 금융: 회고와 전망" 2008

      2 국민일보, "한국경제 해외 영토 넓힌다, 한국계 은행 서비스 최고, 중국서 거세지는 ‘금융한류’"

      3 서울신문, "중동의 한류열풍과 이슬람포비아" 2011

      4 홍성민, "중동경제와 이슬람금융" 세창출판사 2010

      5 한국경제, "인도네시아, 한국 금융의 새 성장동력 급부상" 2010

      6 민경국, "인도네시아 경제 및 무역보험현황" The Korean Academy for Trade Credit Insurance 2011

      7 한국금융투자협회 조사통계팀, "이슬람채권의 이해와 국내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방향" 한국금융투자협회 (2) : 2009

      8 임병화, "이슬람채권법은 경제논리로 풀자, in KERI 칼럼" 한국경제연구원 2011

      9 김상호, "이슬람채권법 제정을 기대하며, in KERI 칼럼" 한국경제연구원 2011

      10 이찬수, "이슬람채권법 논란, 떳떳하지 못한 개신교" 오마이뉴스 2011

      1 심의섭, "한국에서의 이슬람 금융: 회고와 전망" 2008

      2 국민일보, "한국경제 해외 영토 넓힌다, 한국계 은행 서비스 최고, 중국서 거세지는 ‘금융한류’"

      3 서울신문, "중동의 한류열풍과 이슬람포비아" 2011

      4 홍성민, "중동경제와 이슬람금융" 세창출판사 2010

      5 한국경제, "인도네시아, 한국 금융의 새 성장동력 급부상" 2010

      6 민경국, "인도네시아 경제 및 무역보험현황" The Korean Academy for Trade Credit Insurance 2011

      7 한국금융투자협회 조사통계팀, "이슬람채권의 이해와 국내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방향" 한국금융투자협회 (2) : 2009

      8 임병화, "이슬람채권법은 경제논리로 풀자, in KERI 칼럼" 한국경제연구원 2011

      9 김상호, "이슬람채권법 제정을 기대하며, in KERI 칼럼" 한국경제연구원 2011

      10 이찬수, "이슬람채권법 논란, 떳떳하지 못한 개신교" 오마이뉴스 2011

      11 조선일보, "이슬람채권법 ‘강경발언' 조용기 목사 심려 끼쳐 죄송" 2011

      12 이달순, "이슬람채권 도입에 종교계 두려워 말라" 수원일보 2011

      13 김종원, "이슬람금융의 현황과 활용 방안" 금융 2010

      14 이선호, "이슬람금융의 최근 동향과 우리의 활용방안" 산업은행 2009

      15 한국은행, "이슬람금융의 최근 동향 및 전망" (2011-17) : 2011

      16 홍성민, "이슬람금융의 이해와 실무" 한국금융융연수원 2010

      17 김중관, "이슬람금융의 도입사례분석 및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2011

      18 이지언, "이슬람금융 활성화 방안" 19 (19): 19-, 2010

      19 홍순재, "이슬람금융 그것이 궁금하다 下, [이슬람금융] 신성장동력 · 벤처투자 유치산업, in 이코노믹리뷰" 2011

      20 김중관, "이슬람 보험시장 평가를 위한 개념적 접근" 한국무역보험학회 11 (11): 66-70, 2010

      21 조선일보, "이슬람 머니에 기댈 이유가 없다" 2011

      22 조선닷컴, "이슬람 돈 창구 말레이시아, 한국에 대출 거부" 2011

      23 요시다 에츠야키, "이슬람 금융이 뜬다" 예지 2008

      24 심의섭, "이슬람 금융의 확산과 한국의 대응" 한국중동학회 29 (29): 51-77, 2009

      25 심의섭, "이슬람 금융의 현황과 확산전망" 한국수출보험학회 7 (7): 3-20, 2006

      26 남명수, "이슬람 금융의 발전사적 고찰과 우리의 대응전략" 한국경영사학회 24 (24): 131-156, 2009

      27 크리스천투데이, "이슬람 금융 과세특례 문제 있다., in 한국교회언론회 논평" 2011

      28 헤랄드경제, "이슬람 경제와 금융" KUISPress 2009

      29 김중관, "이슬람 경제 이론과 현실적 적용:무이자 금융 제도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 (21-1) : 2000

      30 아시아경제, "유가 오르니 '오일머니' 이슬람채권 다시 뜬다" 2010

      31 이정순, "우리 안의 이슬람,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국민일보 2009

      32 인터넷한국일보, "오피니언[발언대] 이슬람채권법 통과를 기대하며" 2011

      33 조은뉴스, "열린 대한민국에 감명 받은 인도네시아 장관" 2010

      34 한국경제, "수쿠크로 부상한 이슬람 자본, 화교자본에 도전장" 2010

      35 지강유철, "상상된 적, 이슬람" (851) : 2011

      36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인도네시아 경제의 중요성 및 시사점" 2011

      37 매일경제, "말레이, 한국 이슬람채권 발행 돕겠다" 2011

      38 인터넷한국일보, "뜨거운 논란 이슬람채권법… 개신교, 반대 운동 본격화" 2011

      39 한국일보, "뜨거운 논란 이슬람채권법… 개신교, 반대 운동 본격화" 2011

      40 이민형, "떠오르는 이슬람 금융과 국내 금융기관의 대응방안, in 제2회 에프앤가이드 대학생 증권논문 공모전" 2008

      41 삼성경제연구소(SERI-Korea Knowledge Creation), "http://www.seri.org/forum/ifpro/"

      42 Bloomberg, "South Korea Sukuk Bill Triggers Backlash From Christian Groups"

      43 헤랄드경제, "<한국금융, 글로벌시대 연다>한국인 고객중심 탈피 철저 현지화 ‘금융 한류’ 새 바람"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무역보험연구 -> 무역금융보험연구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7-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수출보험학회 -> 한국무역보험학회
      영문명 : The Academy For Export Credit Insurance -> The Korean Academy for Trade Credit Insuranc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1 0.87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