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뮈엘 베케트의 「나는 아니야 Pas moi」와 이인성의 「한없이 낮은 숨결」의 문장 부호를 통해 살펴본 두 텍스트의 유령성 = The Spectrality of the Two texts, Not I by Samuel Beckett and Breath Eternally Low by In-Seong Yi, examined through Their Punctu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thesis aims to examine the artistic conception of two writers, Samuel Beckett and In-Seong Yi, who have tried, in various ways, to exploit their new writings, by analyzing their works through which we come to understand that art, indefinable and indeterminable, must constantly surpass what it i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care of the form in order to realize true art. And to reveal the specificity of their artistic texts whose ghosts, constantly wandering between word and silence, form and content, beginning and end, impose, through their invisible gaze and their inaudible voice, the duty to create. Our first step is therefore to examine their hantological writing, through punctuation, generally regarded as an auxiliary element of writing.
      번역하기

      Our thesis aims to examine the artistic conception of two writers, Samuel Beckett and In-Seong Yi, who have tried, in various ways, to exploit their new writings, by analyzing their works through which we come to understand that art, indefinable and i...

      Our thesis aims to examine the artistic conception of two writers, Samuel Beckett and In-Seong Yi, who have tried, in various ways, to exploit their new writings, by analyzing their works through which we come to understand that art, indefinable and indeterminable, must constantly surpass what it i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care of the form in order to realize true art. And to reveal the specificity of their artistic texts whose ghosts, constantly wandering between word and silence, form and content, beginning and end, impose, through their invisible gaze and their inaudible voice, the duty to create. Our first step is therefore to examine their hantological writing, through punctuation, generally regarded as an auxiliary element of wri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예술은 규정될 수 없는 것으로서 늘 새로운 시도의 장이 되어야 하며 문학이 진정한 예술로 승화되기 위해서 작가는 내용 이상으로 형식에 집중해야 한다는 예술관을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를 실험한 두 작가 사뮈엘 베케트와 이인성의 작품을 통해서 살펴보고, 또 그와 같은 그들의 글쓰기에서 말과 침묵, 내용과 형식, 혹은 시작과 끝. 상반된 두 요소 사이를 끊임없이 떠돌며 들리지 않는 목소리로 또는 보이지 않는 시선으로 창작의 의무를 부과하는 유령들을 드러냄으로써 이 두 작가의 유령성을 나타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우리는 먼저 글쓰기의 보조 수단으로 취급되는 문장 부호가 텍스트에서 유령을 지시하며 단어처럼 극적 효과를 냄으로써 기존 문법을 뛰어 넘는 새로운 차원의 글쓰기, 탈-단어 중심적 글쓰기, 즉 유령에 사로잡힌 글쓰기를 가능하게 만드는 지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예술은 규정될 수 없는 것으로서 늘 새로운 시도의 장이 되어야 하며 문학이 진정한 예술로 승화되기 위해서 작가는 내용 이상으로 형식에 집중해야 한다는 예술관을 다양...

      이 논문의 목적은 예술은 규정될 수 없는 것으로서 늘 새로운 시도의 장이 되어야 하며 문학이 진정한 예술로 승화되기 위해서 작가는 내용 이상으로 형식에 집중해야 한다는 예술관을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를 실험한 두 작가 사뮈엘 베케트와 이인성의 작품을 통해서 살펴보고, 또 그와 같은 그들의 글쓰기에서 말과 침묵, 내용과 형식, 혹은 시작과 끝. 상반된 두 요소 사이를 끊임없이 떠돌며 들리지 않는 목소리로 또는 보이지 않는 시선으로 창작의 의무를 부과하는 유령들을 드러냄으로써 이 두 작가의 유령성을 나타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우리는 먼저 글쓰기의 보조 수단으로 취급되는 문장 부호가 텍스트에서 유령을 지시하며 단어처럼 극적 효과를 냄으로써 기존 문법을 뛰어 넘는 새로운 차원의 글쓰기, 탈-단어 중심적 글쓰기, 즉 유령에 사로잡힌 글쓰기를 가능하게 만드는 지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성, "한없이 낮은 숨결" 문학과 지성사 1989

      2 줄리 파고, "한국과 프랑스의 실험적 소설" 국제비교한국학회 26 (26): 15-31, 2018

      3 김윤식, "전위의 기원과 행로—이인성 소설의 앞과 뒤" 문학과지성사 2012

      4 니콜러스 로일, "자크 데리다의 유령들" 앨피 2007

      5 홍정희, "이인성 소설 ≪한없이 낮은 숨결≫의 음조(音調)와 어조(語調) -아도르노의 음악 미학을 경유하여-" 한국언어문화학회 (68) : 407-428, 2019

      6 표현석, "연극으로서의 텍스트—ꡔ난 아니야ꡕ" 21세기영어영문학회 19 (19): 195-212, 2006

      7 자크 데리다, "에코그라피 ; 텔레비전에 관하여" 민음사 1996

      8 전승화, "사뮈엘 베케트의 『그게 어떤지 COMMENT C'EST』에서 드러나는 상호텍스트성에 의한 중첩, 얽힘과 연속" 한국불어불문학회 (120) : 269-308, 2019

      9 이인성, "베케트의 존재인식과 연극 형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10 최영주, "베케트 연극 속 침묵의 시학- “침묵하는 것을 듣다” -" 한국연극학회 (22) : 323-358, 2004

      1 이인성, "한없이 낮은 숨결" 문학과 지성사 1989

      2 줄리 파고, "한국과 프랑스의 실험적 소설" 국제비교한국학회 26 (26): 15-31, 2018

      3 김윤식, "전위의 기원과 행로—이인성 소설의 앞과 뒤" 문학과지성사 2012

      4 니콜러스 로일, "자크 데리다의 유령들" 앨피 2007

      5 홍정희, "이인성 소설 ≪한없이 낮은 숨결≫의 음조(音調)와 어조(語調) -아도르노의 음악 미학을 경유하여-" 한국언어문화학회 (68) : 407-428, 2019

      6 표현석, "연극으로서의 텍스트—ꡔ난 아니야ꡕ" 21세기영어영문학회 19 (19): 195-212, 2006

      7 자크 데리다, "에코그라피 ; 텔레비전에 관하여" 민음사 1996

      8 전승화, "사뮈엘 베케트의 『그게 어떤지 COMMENT C'EST』에서 드러나는 상호텍스트성에 의한 중첩, 얽힘과 연속" 한국불어불문학회 (120) : 269-308, 2019

      9 이인성, "베케트의 존재인식과 연극 형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10 최영주, "베케트 연극 속 침묵의 시학- “침묵하는 것을 듣다” -" 한국연극학회 (22) : 323-358, 2004

      11 김도훈, "문장 부호의 번역학" 한국문화사 2011

      12 자크 데리다, "마르크스의 유령들" 그린비 2017

      13 백상현, "라캉 미술관의 유령들" 책세상 2014

      14 김보현, "데리다와 문학" 문예출판사 2019

      15 이인성, "김유정 문학사 수장작 작품집: 2007-2013" 은행나무 205-253, 2014

      16 이인성, "강 어귀에 섬 하나" 문학과지성사 107-156, 1999

      17 최진아, "‘리좀학(Rhizomatique)’의 가능성 - 들뢰즈 철학의 학문적 원리와 확장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30 (30): 55-87, 2019

      18 Beckett, Samuel, "Watt" Les Editions de Minuit 1968

      19 Tournier, Michel,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Gallimard 1972

      20 Rongier, Sébastien, "Théories des fantômes: Pour une archéologie des images" Les Belles Lettres 2016

      21 Derrida, Jacques, "Spectres de Marx" Editions Galilée 1993

      22 Germoni, Karine, "Samuel Beckett Today" Brill 547-558, 2004

      23 Knowlson, James, "Samuel Beckett" Solin/Actes Sud 1999

      24 Beckett, Samuel, "Quad et Trio du Fantôme, ... que nuages..., Nacht une Träume" Les Editions de Minuit 20-36, 1992

      25 Beckett, Samuel, "Oh les beaux jours" Editions Minuit 81-95, 1974

      26 Beckett, Samuel, "Nouvelles et Textes pour rien" Les Editions de Minuit 1946

      27 Beckett, Samuel, "Nouvelles et Textes pour rien" Les Editions de Minuit 1950

      28 Freud, Sigmund, "Métapsychologie" Gallimard 1968

      29 Abraham, Nicolas, "L’écorce et le noyau" Aubier-Flammarion 1978

      30 Beckett, Samuel, "L’Innommable" Les Editions de Minuit 1953

      31 Le Poulichet, Sylvie, "L’Identification inconsciente au fantôme" 86 : 21-32, 2012

      32 Vera, Adolfo, "Le cinéma ou l’art de laisser revenir les fantômes: une approche à partir de J. Derrida"

      33 Dürrenmatt, Jacques, "La ponctuation en français" Editions Ophrys 2015

      34 Montini, Chiara, "La bataille du soliloque: Genèses de la poétique bilingue de Samuel Beckett (1929-1946)" Rodopi 2007

      35 Espigolé, Cécile, "Guide rédactionnel du français en Océanie" CPS 2005

      36 Knowlson, James, "Frescoes of the Skull: The Recent Prose and Drama of Samuel Beckett" John Calder 1979

      37 Beckett, Samuel, "Eleutheria" Editions de Minuit 1995

      38 Derrida, Jacques, "Echographies de la télévision" Editions Galilée 1996

      39 Deleuze, Gilles, "Dialogues" Flammarion 1977

      40 Beckett, Samuel, "Comment c’est" Les Editions de Minuit 1961

      41 Le Maléfan, Pascal, "Clinique lacanienne du «fantôme»chez un adolescent en deuil: Lacanian clinic of “ghost” in a teenager in mourning" 78 : 233-242, 2013

      42 Delueze, Gilles,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 2: Mille plateaux" Éditions de Minuit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7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