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기 화이트헤드에 있어서 신체적 경험의 문제 = Whiteheads Verständnis von körperlichen Erfahrungen in seiner frühen naturphilosophischen Ph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6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 Charakteristische an Alfred North Whiteheads Arbeiten liegt darin, dass sie eine besondere metaphysische Betrachtung zwischen dem Körper und der Natur anstellen. Whitehead kritisiert, dass die klassische Wahrnehmungstheorie, welche die Phänomene Leiblichkeit und Körperlichkeit nur ungenügend problematisiert, durchweg statisch konzipiert ist. Dagegen argumentiert Whitehead, dass die Welt aus der körperlichen Wirkung zur Welt zu verstehen sei, auf Basis seiner Wahrnehmungstheorie, der Relativitätstheorie und der Geometrie.
      Whiteheads Ziel in der frühen naturphilosophischen Phase ist es, durch seine eigene Theorie der Leiblichkeit die dauernde Wirklichkeit des Universums einheitlich zu erklären. In diesem Sinne schlägt Whitehead ein Konzept der »causal efficacy« vor. Er verbindet seine Wahrnehmungstheorie mit einer Kritik an der klassischen Raum-Zeit-Theorie. Wenn Raum, Zeit und subjektive Welt für sich selbst in der Absolutheit existieren könnten, wären sie nicht zugänglich für unsere jeweiligen je individuellen Raum-Zeit-Erfahrungen.
      Das Ziel dieses Aufsatzes ist es, zu zeigen, wie in Whiteheads früher Naturphilosophie und Metaphysik die wirkliche Welt aus den Funktionen und Wirkungen des jeweiligen Körpers eine klare Einheit des relativistischen Universums hervorzubringen vermag.
      번역하기

      Das Charakteristische an Alfred North Whiteheads Arbeiten liegt darin, dass sie eine besondere metaphysische Betrachtung zwischen dem Körper und der Natur anstellen. Whitehead kritisiert, dass die klassische Wahrnehmungstheorie, welche die Phänomene...

      Das Charakteristische an Alfred North Whiteheads Arbeiten liegt darin, dass sie eine besondere metaphysische Betrachtung zwischen dem Körper und der Natur anstellen. Whitehead kritisiert, dass die klassische Wahrnehmungstheorie, welche die Phänomene Leiblichkeit und Körperlichkeit nur ungenügend problematisiert, durchweg statisch konzipiert ist. Dagegen argumentiert Whitehead, dass die Welt aus der körperlichen Wirkung zur Welt zu verstehen sei, auf Basis seiner Wahrnehmungstheorie, der Relativitätstheorie und der Geometrie.
      Whiteheads Ziel in der frühen naturphilosophischen Phase ist es, durch seine eigene Theorie der Leiblichkeit die dauernde Wirklichkeit des Universums einheitlich zu erklären. In diesem Sinne schlägt Whitehead ein Konzept der »causal efficacy« vor. Er verbindet seine Wahrnehmungstheorie mit einer Kritik an der klassischen Raum-Zeit-Theorie. Wenn Raum, Zeit und subjektive Welt für sich selbst in der Absolutheit existieren könnten, wären sie nicht zugänglich für unsere jeweiligen je individuellen Raum-Zeit-Erfahrungen.
      Das Ziel dieses Aufsatzes ist es, zu zeigen, wie in Whiteheads früher Naturphilosophie und Metaphysik die wirkliche Welt aus den Funktionen und Wirkungen des jeweiligen Körpers eine klare Einheit des relativistischen Universums hervorzubringen verma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화이트헤드 사상의 특징은 신체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독특한 해명에 있다. 화이트헤드는 전통철학적 작업이 ‘신체를 가지고’라는 근본적인 조건에 대한 성찰을 도외시한 측면이 강하다고 지적한다. 이에 반하여 화이트헤드는 신체성과 감각지각의 지위를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부터 해명하려는 노력을 가하여 왔고, 이러한 관심사 속에서 인과적 효과성의 지위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다른 한 편으로 화이트헤드는 아인슈타인과 더불어 ‘동시성의 상대성’이라는 물리적 세계상, 관계론적 시공간의 성과를 자신의 자연철학적 반성과 형이상학적 구도 속에 효과적으로 결합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초기 화이트헤드시기에 나타난 신체성의 문제가 당대의 자연철학적 성과와 어떻게 결부되는지를 성찰함을 목표로 한다. 특히 동시성의 상대성, 감각지각과 순간의 문제, 그리고 측정의 문제가 화이트헤드의 신체론의 관점에서 어떠한 의미와 윤곽을 지니는지를 분석하고 검토하고자 한다. 이로 인하여 신체성의 형이상학(metaphysics of body)과 상대론적 시공간의 형이상학(metaphysics of relativity)이라는 20세기의 독특하고 개별적인 두 논지가 화이트헤드의 체계 내에서 적절하게 통합되어 구현되어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화이트헤드 사상의 특징은 신체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독특한 해명에 있다. 화이트헤드는 전통철학적 작업이 ‘신체를 가지고’라는 근본적인 조건에 대한 성찰을 도외시한 측면이 강하다...

      화이트헤드 사상의 특징은 신체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독특한 해명에 있다. 화이트헤드는 전통철학적 작업이 ‘신체를 가지고’라는 근본적인 조건에 대한 성찰을 도외시한 측면이 강하다고 지적한다. 이에 반하여 화이트헤드는 신체성과 감각지각의 지위를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부터 해명하려는 노력을 가하여 왔고, 이러한 관심사 속에서 인과적 효과성의 지위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다른 한 편으로 화이트헤드는 아인슈타인과 더불어 ‘동시성의 상대성’이라는 물리적 세계상, 관계론적 시공간의 성과를 자신의 자연철학적 반성과 형이상학적 구도 속에 효과적으로 결합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초기 화이트헤드시기에 나타난 신체성의 문제가 당대의 자연철학적 성과와 어떻게 결부되는지를 성찰함을 목표로 한다. 특히 동시성의 상대성, 감각지각과 순간의 문제, 그리고 측정의 문제가 화이트헤드의 신체론의 관점에서 어떠한 의미와 윤곽을 지니는지를 분석하고 검토하고자 한다. 이로 인하여 신체성의 형이상학(metaphysics of body)과 상대론적 시공간의 형이상학(metaphysics of relativity)이라는 20세기의 독특하고 개별적인 두 논지가 화이트헤드의 체계 내에서 적절하게 통합되어 구현되어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철, "화이트헤드의 초기 저작에 나타난 창조성과 신 개념에 관한 연구" 한신학술원 신학연구소 48 : 227-264, 2006

      2 Whitehead, Alfred North, "열린 사고와 철학" 고려원 1938

      3 Whitehead, Alfred North, "상징활동 - 그 의미와 효과" 동과서 2003

      4 Whitehead, Alfred North, "과정과 실재" 민음사 1991

      5 Einstein, Albert, "Zur Elektrodynamik bewegter Körper" 17 : 891-921, 1905

      6 Ranke, Oliver von, "Whiteheads Relativitätstheorie" Roderer Verlag 1997

      7 Whitehead, Alfred North, "The Principles of Relativity with Applications to Physical Science" Dover Publications Inc 2004

      8 Whitehead, Alfred North, "The Organisation of Thought, Educational and Scientific" Greenwood Press 134-190, 1974

      9 Whitehead, Alfred North, "The Concept of Nature" Dover Publications Inc 2004

      10 Whitehead, Alfred North, "Space, Time, and Relativity" 16 : 104-129, 1915

      1 전철, "화이트헤드의 초기 저작에 나타난 창조성과 신 개념에 관한 연구" 한신학술원 신학연구소 48 : 227-264, 2006

      2 Whitehead, Alfred North, "열린 사고와 철학" 고려원 1938

      3 Whitehead, Alfred North, "상징활동 - 그 의미와 효과" 동과서 2003

      4 Whitehead, Alfred North, "과정과 실재" 민음사 1991

      5 Einstein, Albert, "Zur Elektrodynamik bewegter Körper" 17 : 891-921, 1905

      6 Ranke, Oliver von, "Whiteheads Relativitätstheorie" Roderer Verlag 1997

      7 Whitehead, Alfred North, "The Principles of Relativity with Applications to Physical Science" Dover Publications Inc 2004

      8 Whitehead, Alfred North, "The Organisation of Thought, Educational and Scientific" Greenwood Press 134-190, 1974

      9 Whitehead, Alfred North, "The Concept of Nature" Dover Publications Inc 2004

      10 Whitehead, Alfred North, "Space, Time, and Relativity" 16 : 104-129, 1915

      11 Whitehead, Alfred North, "Science and Philosophy" Littlefield, Adams & Co 303-314, 1964

      12 Whitehead, Alfred North, "Science and Philosophy" Littlefield, Adams & Co 1964

      13 Scheuer, Hans Günter, "Die Prozessphilosophie Alfred North Whiteheads und die Physik des 20, In Jahrhunderts" Shaker Verlag 2005

      14 Whitehead, Alfred North, "An Enquiry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Natural Knowle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5

      15 Hampe, Michael, "Alfred North Whitehead" Beck 1998

      16 Emmet, Dorothy, "A. N. Whitehead: The Last Phase" 57 (57): 271-272, 194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