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출산인식 및 출산행태의 차이 = Cross-border Married Women's Fertility Attitudes and Behavior in Daegu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8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differences of cross- border married women's fertility attitudes and behavior and explore the factors impacting on the attitudes toward fertility and fertility behavior in Daegu Area. 350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finally 309 cas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ntroduc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cross-border married women living in Daegu area, respondents from Philippines have a higher tendency in number of the children wanted to have and children ever born as well compared to other responden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marital age and working outside the home increase odds ratio of the necessity of childre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origins of the respondents, such as China and Vietnam,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number of children want to have.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respondents from Vietnam(Ɓ=-0.357) and China(Ɓ=-435)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number of ever born. On the other hand, successful adaptation of the cross-border married women(Ɓ=0.313)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ever born. However, it seems that the rest independent variabl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number of ever born. Finally,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differences of cross- border married women's fertility attitudes and behavior and explore the factors impacting on the attitudes toward fertility and fertility behavior in Daegu Area. 350 face-to-fac...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differences of cross- border married women's fertility attitudes and behavior and explore the factors impacting on the attitudes toward fertility and fertility behavior in Daegu Area. 350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finally 309 cas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ntroduc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cross-border married women living in Daegu area, respondents from Philippines have a higher tendency in number of the children wanted to have and children ever born as well compared to other responden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marital age and working outside the home increase odds ratio of the necessity of childre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origins of the respondents, such as China and Vietnam,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number of children want to have.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respondents from Vietnam(Ɓ=-0.357) and China(Ɓ=-435)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number of ever born. On the other hand, successful adaptation of the cross-border married women(Ɓ=0.313)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ever born. However, it seems that the rest independent variabl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number of ever born. Finally,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출산인식 및 출산행태의 차이를 밝히고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350명에 대한 직접면담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09명이 통계처리에 사용되었으며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이 도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이주여성 중에서 필리핀 출신이 다른 국가 출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희망하는 자녀수와 실제 출산한 자녀수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결혼연령과 경제활동 등이 자녀 필요성의 대수승산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응답자들의 중국과 베트남과 같은 출신국가가 희망자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베트남(Ɓ=-0.357)과 중국(Ɓ=-435) 등은 출산자녀수에 통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성공적 적응(Ɓ=0.313)은 출산자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본 연구에 도입된 다른 독립변수들은 출산자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국제결혼이주여성들의 출산에 관한 정책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출산인식 및 출산행태의 차이를 밝히고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350명에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출산인식 및 출산행태의 차이를 밝히고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350명에 대한 직접면담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09명이 통계처리에 사용되었으며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이 도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이주여성 중에서 필리핀 출신이 다른 국가 출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희망하는 자녀수와 실제 출산한 자녀수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결혼연령과 경제활동 등이 자녀 필요성의 대수승산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응답자들의 중국과 베트남과 같은 출신국가가 희망자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베트남(Ɓ=-0.357)과 중국(Ɓ=-435) 등은 출산자녀수에 통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성공적 적응(Ɓ=0.313)은 출산자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본 연구에 도입된 다른 독립변수들은 출산자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국제결혼이주여성들의 출산에 관한 정책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 28 (28): 73-106, 2005

      2 차승은, "혼인이주 여성의 출산 및 경제활동과 우울증: 일본, 중국, 베트남 아내의 비교" 한국인구학회 31 (31): 131-158, 2008

      3 김두섭, "한국인 국제결혼의 설명틀과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의 분석" 한국인구학회 29 (29): 25-56, 2006

      4 강유진,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4 (4): 1999

      5 김숙자, "한국 남성과 중국 조선족 여성과의 섭외혼인 실태와 그 대책" 12 : 1998

      6 김애령, "충남 거주 조선족여성의 결혼과정과 적응에 관한 연구" 1998

      7 민경자, "충남 거주 외국인 주부의 정착 지원방안연구"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3

      8 이윤애, "전북지역 외국인여성 정착지원 방안" 전라북도여성발전연구원 2004

      9 "외국인 주민현황조사" 행정안전부 2011

      10 윤정숙, "성별화된 이주 방식으로서의 국제결혼과 여성에 대한 폭력: 필리핀 여성과 한국남성의 결혼을 중심으로" 2004

      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 28 (28): 73-106, 2005

      2 차승은, "혼인이주 여성의 출산 및 경제활동과 우울증: 일본, 중국, 베트남 아내의 비교" 한국인구학회 31 (31): 131-158, 2008

      3 김두섭, "한국인 국제결혼의 설명틀과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의 분석" 한국인구학회 29 (29): 25-56, 2006

      4 강유진,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4 (4): 1999

      5 김숙자, "한국 남성과 중국 조선족 여성과의 섭외혼인 실태와 그 대책" 12 : 1998

      6 김애령, "충남 거주 조선족여성의 결혼과정과 적응에 관한 연구" 1998

      7 민경자, "충남 거주 외국인 주부의 정착 지원방안연구"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3

      8 이윤애, "전북지역 외국인여성 정착지원 방안" 전라북도여성발전연구원 2004

      9 "외국인 주민현황조사" 행정안전부 2011

      10 윤정숙, "성별화된 이주 방식으로서의 국제결혼과 여성에 대한 폭력: 필리핀 여성과 한국남성의 결혼을 중심으로" 2004

      11 이삼식,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결혼출산행태와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12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13 김한곤, "국제결호이주여성의 성공적 적응과 과제-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12 : 2009

      14 김영주,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출산․양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젠더관점과 다문화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51-73, 2010

      15 Goodkind,Daniel, "The Vietnamese Double Marriage Squeeze" 31 (31): 1997

      16 Chen,Yu-Hua, "The Rise of Cross-Border Marriages and Its Impact on Fertility in Taiwan"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2-23, 2007

      17 Castles, "The Factors that make and unmake migration Policies" 3 (3): 2004

      18 Ataca,Berry,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a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s in Canada" 37 (37): 2002

      19 Piper,Nicola, "Labor Migration, Trafficking and International Marriage: male Cross-Border Movements into Japan" 5 (5): 1999

      20 Moran,Rachel, "Interacial Intimacy: The Regulation of Race and Roma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21 Menj var,Salcido, "Immigran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common xperiences in difficult countries" 16 (16): 2002

      22 Jacobs, Jerry A, "Gender Differentials in Intermarriage among Sixteen Race and Ethnic Groups" 17 : 2002

      23 Bhrolchain,Maire Ni, "Flexibility in the Marriage Market" 13 (13): 2001

      24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부 2010

      25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26 이삼식,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7 통계청, "2004년 혼인・이혼통계 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