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은 급격히 변하는 기후환경에 따라 수확량의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며 작물의 가격불안을 유발한다. 따라서 기후의 급변으로 인한 작물의 수확량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특수한 환경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208397
2016
-
500
학술저널
194-19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작물은 급격히 변하는 기후환경에 따라 수확량의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며 작물의 가격불안을 유발한다. 따라서 기후의 급변으로 인한 작물의 수확량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특수한 환경에서...
작물은 급격히 변하는 기후환경에 따라 수확량의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며 작물의 가격불안을 유발한다. 따라서 기후의 급변으로 인한 작물의 수확량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특수한 환경에서의 기상데이터 획득에서 오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로는 외기 온·습도센서, 토양 온·습도센서, 조도센서, GPS센서로 구성하였으며 데이터 수집 장치는 Arduino(Mega, Italy)를 이용하였다. 실험방법은 노지에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 한 후 환경에 따른 센서의 데이터 값을 얻어서 기상청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통한 비교 분석 방법은 모든 환경과 장소를 통일하여 오전, 오후로 나눠서 각 센서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계측한 값과 기상청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각 센서의 데이터 값이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일부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기상청의 측정 지역과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측정지역과의 거리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상청에서 약 3km 거리가 떨어진 충남대학교 부속 농장 노지에서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장소가 황량한 노지이기 때문에 햇빛에 직접적으로 노출이 많아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농장 관리자에게 유용한 생육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Drying characteristics and milling quality of Parboiled rice on Drying and Tempering conditions
농용헬기의 로터특성 분석을 위한 컬렉티브 피치각과 양력의 현장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