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6.25전쟁 기간 항공전과 북한의 항공전략 형성 = The Building of North Korea Air Strategy through the Air Campaign of the Korean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716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forming North Korea air strategy through air campaign during the Korean War. For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air strategy, national policy and strategy, air power operation, and air power were analyz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imited data on North Korea, the air strategies of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and China, the participating countries in the Korean War, were analyzed, and North Korea air strategy was extracted from them. This research process was a process of proving the claim that air power was the main military factor that determined the direction of victory in the Korean War, and it was understood that the political goals and military measures that North Korea considered while carrying out the war in the Korean War were closely related to air power.
      The Soviet Union air strategy had a great influence on North Korea’s preparations for the Korean War. After World War II, the Soviet Union strengthened its tactical offensive capabilities, focusing on ground forces and tactical air forces in the Far East, where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military victory. The United States placed importance on Western Europe due to its confidence in its strategic air force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Soviet Union, and deployed air power focused on defense in the Far East. North Korea recognized these loopholes in the United States and prepared for war with a focus on tactical air force to support ground forces.
      As the war broke out, North Korea invaded the South at a rapid pace. The North Korean Air Force deployed air power in a way that the UN forces could not have predicted. It consisted mainly of single-engine aircraft and could operate on unpaved runways, and insufficient aircraft were supplied from the Soviet Union, which was outside the operational area of ​​the UN Air Force. However, the North Korean Air Force failed to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the operations of the UN forces due to its inability to intensively use its air power. The North Korean Air Force, which was trying to achieve its goal of invading the South through a short-term war, was not prepared defensively, and when the UN Air Force entered the war in earnest, the North Korean Air Force was destroyed to the point of annihilation.
      As the Chinese military entered the war, the Korean War expanded into an international war between the communist camp and the UN camp. As the Soviet and Chinese air forces entered the war, the North Korea Air Force had the opportunity to grow into a modern air force.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North Korea, the communist air force was able to secure regional air superiority. This entire area was called the ‘Mig Alley’. The air forces of North Korea and China attempted to expand air superiority by equipping air defense systems and restoring airfields in North Korea. The UN Air Force attempted to counter the numerical superiority of the Communist Air Force by improving its quality. Although the Communist Air Force was superior in numbers, the passive war intervention policy of the Soviet Union and China and the offensive use of air power by the UN Air Force forced the North Korea Air Force to use defensive air power.
      As the ground war entered a lull due to the ceasefire negotiations, the Communist Air Force chose a policy of increasing air power while delaying the ceasefire talks. Information that communist forces were preparing for a long-term war made the U.S. government nervous. The U.S. government judged such a delayed war to be militarily disadvantageous and reviewed targets that could psychologically pressure the communist leadership. The UN Air Force took the risk of escalating the war and attempted to convey to the Communists that they intended to continue attacks. The UN Air Force demonstrated its will to continue strong military action by bombing power plants near the Yalu River and downtown Pyongyang. Moreover, the bombing of irrigation reservoirs near Pyongyang placed strong psychological pressure on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he division of the communist leadership caused by the UN Air Force's strategic bombing made it difficult for North Korea to operate its offensive air power. North Korea, which lacked skilled pilots and did not have sufficient runways, needed air defense capabilities. The latest interceptors were secured, anti-aircraft guns were intensively deployed, and an anti-aircraft strategy was pursued by operating an aircraft hunting group.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forming North Korea air strategy through air campaign during the Korean War. For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air strategy, national policy and strategy, air power operation, and air powe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forming North Korea air strategy through air campaign during the Korean War. For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air strategy, national policy and strategy, air power operation, and air power were analyz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imited data on North Korea, the air strategies of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and China, the participating countries in the Korean War, were analyzed, and North Korea air strategy was extracted from them. This research process was a process of proving the claim that air power was the main military factor that determined the direction of victory in the Korean War, and it was understood that the political goals and military measures that North Korea considered while carrying out the war in the Korean War were closely related to air power.
      The Soviet Union air strategy had a great influence on North Korea’s preparations for the Korean War. After World War II, the Soviet Union strengthened its tactical offensive capabilities, focusing on ground forces and tactical air forces in the Far East, where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military victory. The United States placed importance on Western Europe due to its confidence in its strategic air force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Soviet Union, and deployed air power focused on defense in the Far East. North Korea recognized these loopholes in the United States and prepared for war with a focus on tactical air force to support ground forces.
      As the war broke out, North Korea invaded the South at a rapid pace. The North Korean Air Force deployed air power in a way that the UN forces could not have predicted. It consisted mainly of single-engine aircraft and could operate on unpaved runways, and insufficient aircraft were supplied from the Soviet Union, which was outside the operational area of ​​the UN Air Force. However, the North Korean Air Force failed to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the operations of the UN forces due to its inability to intensively use its air power. The North Korean Air Force, which was trying to achieve its goal of invading the South through a short-term war, was not prepared defensively, and when the UN Air Force entered the war in earnest, the North Korean Air Force was destroyed to the point of annihilation.
      As the Chinese military entered the war, the Korean War expanded into an international war between the communist camp and the UN camp. As the Soviet and Chinese air forces entered the war, the North Korea Air Force had the opportunity to grow into a modern air force.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North Korea, the communist air force was able to secure regional air superiority. This entire area was called the ‘Mig Alley’. The air forces of North Korea and China attempted to expand air superiority by equipping air defense systems and restoring airfields in North Korea. The UN Air Force attempted to counter the numerical superiority of the Communist Air Force by improving its quality. Although the Communist Air Force was superior in numbers, the passive war intervention policy of the Soviet Union and China and the offensive use of air power by the UN Air Force forced the North Korea Air Force to use defensive air power.
      As the ground war entered a lull due to the ceasefire negotiations, the Communist Air Force chose a policy of increasing air power while delaying the ceasefire talks. Information that communist forces were preparing for a long-term war made the U.S. government nervous. The U.S. government judged such a delayed war to be militarily disadvantageous and reviewed targets that could psychologically pressure the communist leadership. The UN Air Force took the risk of escalating the war and attempted to convey to the Communists that they intended to continue attacks. The UN Air Force demonstrated its will to continue strong military action by bombing power plants near the Yalu River and downtown Pyongyang. Moreover, the bombing of irrigation reservoirs near Pyongyang placed strong psychological pressure on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he division of the communist leadership caused by the UN Air Force's strategic bombing made it difficult for North Korea to operate its offensive air power. North Korea, which lacked skilled pilots and did not have sufficient runways, needed air defense capabilities. The latest interceptors were secured, anti-aircraft guns were intensively deployed, and an anti-aircraft strategy was pursued by operating an aircraft hunting 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6.25전쟁 기간 항공전을 통해 북한의 항공전략 형성 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다. 항공전략의 입체적인 분석을 위해 국가 정책 및 전략, 항공력 운용, 항공력을 분석하였다. 북한에 대한 제한된 자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6.25전쟁 참가국인 미국, 소련, 중국의 항공전략을 분석하였고, 그 안에서 북한의 항공전략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은 항공력이 6.25전쟁에서 승리의 향방을 결정한 주된 군사적 요소였다는 주장을 증명하는 과정이었으며, 6.25전쟁에서 북한이 전쟁을 수행하면서 고려한 정치 목표와 군사적 방책이 항공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과정이었다.
      북한이 6.25전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소련의 항공전략이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은 군사적 승리 가능성이 높은 극동지역에서 지상군과 전술공군을 중심으로 전술 공세 능력을 강화하였다. 미국은 전략공군에 대한 자신감, 소련에 대한 정보의 부족 등으로 서유럽을 중요시하고, 극동지역에서는 방어 위주의 항공력을 배비하였다. 북한은 이러한 미국의 허점을 파악하고, 지상군 지원을 위한 전술공군 중심으로 전쟁을 준비하였다.
      전쟁이 발발하면서 북한은 빠른 속도로 남침을 진행하였다. 북한공군은 UN군이 예측하지 못한 양상으로 항공력을 투입하였다. 단발항공기 위주로 구성되어 비포장 활주로에서도 운용할 수 있었고, 부족한 항공기는 UN 공군의 작전영역 밖에 있는 소련으로부터 공급받았다. 그러나, 북한공군은 항공력을 집중적으로 운용하지 못함으로써 UN군의 작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단기전을 통해 남침의 목적을 달성하려던 북한공군은 방어적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UN 공군이 본격적으로 참전하면서 북한공군은 괴멸되는 수준으로 파괴되었다.
      중국군이 참전하면서 6.25전쟁은 공산 진영과 UN 진영의 국제전으로 확대되었다. 소련과 중국의 공군이 참전하면서, 북한공군은 현대식 공군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북한 북서부 지역에서 공산공군은 지역적 공중우세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 전역을 ‘미그 회랑’이라고 불렀다. 북한과 중국의 공군은 대공방어 체계를 갖추면서 북한지역 비행장 복구를 통해 공중우세 확장을 시도하였다. UN 공군은 질적 향상을 통해 공산공군의 수적 우세를 상대하려고 하였다. 공산공군이 수적으로는 우세하였지만, 소련과 중국의 소극적인 전쟁 개입 정책과 UN 공군의 공세적인 항공력 운용은 북한 공군에게 방어적인 항공력 운용을 강요하였다.
      휴전 협상으로 지상전이 소강상태에 들어가면서 공산공군은 휴전회담을 지연하면서 항공력을 증강하는 정책을 선택하였다. 공산군이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정보는 미국 정부를 초조하게 만들었다. 미국 정부는 이러한 지연전이 군사적으로 불리한 것으로 판단하고 공산지도부를 심리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표적을 검토하였다. UN 공군은 확전의 위험을 감수하고 지속적인 공격 의사가 있음을 공산 측에 전달하고자 하였다. UN 공군은 압록강 주변 발전소와 평양 도심을 폭격함으로써 강한 군사행동을 지속할 의지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구나 평양 인근 관개저수지에 대한 폭격은 북한 지도부에게 강한 심리적 압박을 주었다. UN 공군의 전략폭격으로 인한 공산지도부의 분열은 북한의 공세적인 항공력 운용을 어렵게 만들었다. 숙련된 조종사가 부족하고, 충분한 활주로를 구비하지 못한 북한은 대공방어능력이 필요하였다. 최신예 요격기를 확보하고, 고사포를 집중적으로 배치하였으며, 항공기사냥군조를 운용하는 반항공전략을 추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6.25전쟁 기간 항공전을 통해 북한의 항공전략 형성 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다. 항공전략의 입체적인 분석을 위해 국가 정책 및 전략, 항공력 운용, 항공력을 분석하였다. 북...

      본 연구의 목적은 6.25전쟁 기간 항공전을 통해 북한의 항공전략 형성 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다. 항공전략의 입체적인 분석을 위해 국가 정책 및 전략, 항공력 운용, 항공력을 분석하였다. 북한에 대한 제한된 자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6.25전쟁 참가국인 미국, 소련, 중국의 항공전략을 분석하였고, 그 안에서 북한의 항공전략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은 항공력이 6.25전쟁에서 승리의 향방을 결정한 주된 군사적 요소였다는 주장을 증명하는 과정이었으며, 6.25전쟁에서 북한이 전쟁을 수행하면서 고려한 정치 목표와 군사적 방책이 항공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과정이었다.
      북한이 6.25전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소련의 항공전략이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은 군사적 승리 가능성이 높은 극동지역에서 지상군과 전술공군을 중심으로 전술 공세 능력을 강화하였다. 미국은 전략공군에 대한 자신감, 소련에 대한 정보의 부족 등으로 서유럽을 중요시하고, 극동지역에서는 방어 위주의 항공력을 배비하였다. 북한은 이러한 미국의 허점을 파악하고, 지상군 지원을 위한 전술공군 중심으로 전쟁을 준비하였다.
      전쟁이 발발하면서 북한은 빠른 속도로 남침을 진행하였다. 북한공군은 UN군이 예측하지 못한 양상으로 항공력을 투입하였다. 단발항공기 위주로 구성되어 비포장 활주로에서도 운용할 수 있었고, 부족한 항공기는 UN 공군의 작전영역 밖에 있는 소련으로부터 공급받았다. 그러나, 북한공군은 항공력을 집중적으로 운용하지 못함으로써 UN군의 작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단기전을 통해 남침의 목적을 달성하려던 북한공군은 방어적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UN 공군이 본격적으로 참전하면서 북한공군은 괴멸되는 수준으로 파괴되었다.
      중국군이 참전하면서 6.25전쟁은 공산 진영과 UN 진영의 국제전으로 확대되었다. 소련과 중국의 공군이 참전하면서, 북한공군은 현대식 공군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북한 북서부 지역에서 공산공군은 지역적 공중우세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 전역을 ‘미그 회랑’이라고 불렀다. 북한과 중국의 공군은 대공방어 체계를 갖추면서 북한지역 비행장 복구를 통해 공중우세 확장을 시도하였다. UN 공군은 질적 향상을 통해 공산공군의 수적 우세를 상대하려고 하였다. 공산공군이 수적으로는 우세하였지만, 소련과 중국의 소극적인 전쟁 개입 정책과 UN 공군의 공세적인 항공력 운용은 북한 공군에게 방어적인 항공력 운용을 강요하였다.
      휴전 협상으로 지상전이 소강상태에 들어가면서 공산공군은 휴전회담을 지연하면서 항공력을 증강하는 정책을 선택하였다. 공산군이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정보는 미국 정부를 초조하게 만들었다. 미국 정부는 이러한 지연전이 군사적으로 불리한 것으로 판단하고 공산지도부를 심리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표적을 검토하였다. UN 공군은 확전의 위험을 감수하고 지속적인 공격 의사가 있음을 공산 측에 전달하고자 하였다. UN 공군은 압록강 주변 발전소와 평양 도심을 폭격함으로써 강한 군사행동을 지속할 의지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구나 평양 인근 관개저수지에 대한 폭격은 북한 지도부에게 강한 심리적 압박을 주었다. UN 공군의 전략폭격으로 인한 공산지도부의 분열은 북한의 공세적인 항공력 운용을 어렵게 만들었다. 숙련된 조종사가 부족하고, 충분한 활주로를 구비하지 못한 북한은 대공방어능력이 필요하였다. 최신예 요격기를 확보하고, 고사포를 집중적으로 배치하였으며, 항공기사냥군조를 운용하는 반항공전략을 추구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v
      • 제1장 서 론 = 1
      • 제1절 연구 목적 =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7
      •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11
      • 국문요약 = v
      • 제1장 서 론 = 1
      • 제1절 연구 목적 =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7
      •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11
      • 제2장 항공전과 항공전략의 이해 = 16
      • 제1절 항공력 탄생과 항공전략의 발전 = 16
      • 1. 항공력 탄생과 항공전 = 16
      • 2. 항공전략의 개념과 발전 = 20
      • 제2절 6.25전쟁 직전 소련과 미국의 항공전략 = 24
      • 1. 소련 항공전략과 북한공군의 6.25전쟁 준비 = 24
      • 2. 미국 항공전략과 한국공군의 항공력 건설 노력 = 37
      • 제3장 6.25전쟁 발발과 북한공군의 항공력 운용 = 44
      • 제1절 6.25전쟁 발발과 항공력의 충돌 = 44
      • 1. 북한공군 전쟁개념: 지상군 지원을 위한 전술공군 운용 = 44
      • 2. UN 공군 전쟁개념: 전략공군에 의한 전쟁 승리 = 54
      • 제2절 UN 공군 참전과 북한공군의 항공력 한계 경험 = 61
      • 1. 전세 역전을 위한 UN 공군의 역할 = 61
      • 2. 전쟁 초기 북한공군의 항공력 운용 결과 = 68
      • 제3절 소결론: 북한공군 전술 항공력의 한계 경험 = 75
      • 제4장 중국공군 참전과 북한의 대공방어능력 강화 = 82
      • 제1절 공산공군과 UN 공군의 제공권 경쟁 = 82
      • 1. 공산공군 전략: 지상군 지원을 위한 공중우세 확장 = 82
      • 2. UN 공군 전략: 제공권 유지를 위한 총체적 노력 = 88
      • 제2절 공산공군 공중우세 확장과 북한공군의 항공력 강화 = 95
      • 1. 공중우세 확장을 위한 공산공군 수적 우세 노력 = 95
      • 2. 북한공군의 비행장 복구와 대공방어능력 강화 = 103
      • 제3절 소결론: 북한군의 대공방어능력 강화 = 114
      • 제5장 UN 공군의 전략폭격과 북한의 항공전략 형성 = 121
      • 제1절 휴전협상 전개와 UN 공군의 전략폭격 = 121
      • 1. 공산공군 전략: 휴전협상 전개와 항공력 증강 노력 = 121
      • 2. UN 공군 전략: 전쟁 종결을 위한 전략폭격 = 128
      • 제2절 UN 공군 전략폭격과 북한의 반항공전략 형성 = 133
      • 1. UN 공군 전략폭격에 의한 공산지도부의 심리적 압박 = 133
      • 2. 북한의 반항공전략 형성 = 138
      • 제3절 소결론: 전략폭격에 대응하여 반항공전략 형성 = 149
      • 제6장 결론 = 154
      • 참고문헌 = 161
      • ABSTRACT = 1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