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Viscuit을 활용한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009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에서 제작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Viscuit의 장점들을 소개하고, 코딩 입문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특히 일본어에 대한 지식 없이도 본 연구에서 제작된 사용 안...

      본 연구는 일본에서 제작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Viscuit의 장점들을 소개하고, 코딩 입문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특히 일본어에 대한 지식 없이도 본 연구에서 제작된 사용 안내서와 심화학습서만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쉽게 코딩에 대해 친숙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Viscuit은 잘 알려진 Scratch나 LightBot과 같은 언어에 비해 인지도는 낮은 편이지만 아주 간단하게 그림들을 조작하여 쉽게 코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해 주어서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코딩 입문 수단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introduce advantages of Viscuit which is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developed in Japan and propose a possibility of using Viscuit to introduce coding. Specifically, we conducted experiments against students using both the...

      In this research, we introduce advantages of Viscuit which is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developed in Japan and propose a possibility of using Viscuit to introduce coding. Specifically, we conducted experiments against students using both the manual and the focused study guide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y became familiar with coding easily without the knowledge of Japanese. Even though Viscuit is less well-known than languages such as Scratch and LightBot, it is very easy to practice coding using Viscuit because all that users need to do is manipulating pictures simply and it is expected that Viscuit will serve as a useful vehicle by which students can learn how to co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Viscuit 언어의 특징
      • 3. 교구로서의 Viscuit 사용 실례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Viscuit 언어의 특징
      • 3. 교구로서의 Viscuit 사용 실례
      • 4. Scratch 및 LightBot과 비교
      • 5. 활용 및 적용
      • 6. 평가 및 분석
      • 7.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규복, "일본의 프로그래밍 교육과 정보교과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1-39, 2015

      2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실과(기술가정)_정보과 교육과정(제2015-74호)"

      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국내외 SW교육 운영현황 및 요구사항 조사" 정보통신산업 진흥원 1-178, 2014

      4 総務省, "若年層に対するプログラミング教育の普及推進( 平成2 8 年度~ )"

      5 原田康徳, "生徒児童によるプログラミング-ビスケットの挑戦" 1 : 64-, 2012

      6 Peatix, "冬のビスケットワークショップコドモ忘年会"

      7 合同会社デジタルポケット, "ビスケットであそぼう 園児・小学生からはじめるプログラミング" 翔泳社 8-19, 2017

      8 "Viscuit"

      9 "Scratch"

      10 T. Jenkins, "On The Difficulty of Learning to Program" Loughborough University 53-58, 2002

      1 조규복, "일본의 프로그래밍 교육과 정보교과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1-39, 2015

      2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실과(기술가정)_정보과 교육과정(제2015-74호)"

      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국내외 SW교육 운영현황 및 요구사항 조사" 정보통신산업 진흥원 1-178, 2014

      4 総務省, "若年層に対するプログラミング教育の普及推進( 平成2 8 年度~ )"

      5 原田康徳, "生徒児童によるプログラミング-ビスケットの挑戦" 1 : 64-, 2012

      6 Peatix, "冬のビスケットワークショップコドモ忘年会"

      7 合同会社デジタルポケット, "ビスケットであそぼう 園児・小学生からはじめるプログラミング" 翔泳社 8-19, 2017

      8 "Viscuit"

      9 "Scratch"

      10 T. Jenkins, "On The Difficulty of Learning to Program" Loughborough University 53-58, 2002

      11 "Lightbot"

      12 "Digitalpocket"

      13 Caroline Ormesher, "App Review: Lightbot" 251 : 46-, 2016

      14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안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2 2.25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