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도입부에서는 {과정과 실재}의 형성 과정과 그 사상사적 위치, 그리고 그것의 의의, 특히 오늘의 시점에서 그것이 갖는 현재적 의미를 서술하고, 나아가서 다양한 학문 분야들에 대해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6320
200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먼저 도입부에서는 {과정과 실재}의 형성 과정과 그 사상사적 위치, 그리고 그것의 의의, 특히 오늘의 시점에서 그것이 갖는 현재적 의미를 서술하고, 나아가서 다양한 학문 분야들에 대해서...
먼저 도입부에서는 {과정과 실재}의 형성 과정과 그 사상사적 위치, 그리고 그것의 의의, 특히 오늘의 시점에서 그것이 갖는 현재적 의미를 서술하고, 나아가서 다양한 학문 분야들에 대해서 이 저술이 가질 수 있는 광범위한 적용의 가능성을 간략히 서술한다.
이 주해 연구의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연구서의 각 면 상단에는 {과정과 실재}의 원문 전체를, 하단에는 주해를 나누어 싣는다. 주해에는 먼저 부(Part), 장(Chapter), 절(section)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이에 대한 개요를 간단히 제시한 뒤, 본문에 들어가서 상단에 소개된 본문 내용 속에 포함된 주요 개념어를 풀이하고, 주요 주장이나 원리에 대한 해설, 그리고 필요에 따라 2차 문헌들에 대한 비교 연구와 비판적 논의를 삽입한다. 해당 부분에 관련된 국내 또는 국외의 연구 문헌이 있을 경우 이를 망라하여 열거하고, 그 내용이 정설로 자리잡고 있는 경우나 아주 독창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 견해인 경우 이를 각기 요약하여 소개한다. 학자들 사이에 해석상 쟁점이 되고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그 전말을 소개하고 가장 설득력 있는 해결책을 선정하거나 모색한다.
{과정과 실재}는 우리말로 이미 번역되어 있기 때문에(오영환 역, 민음사, 1991) 우리말 번역은 다시 하지 않는다. 단 기존의 우리말 번역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오역으로 판단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수정, 보완하고 그 이유를 논한다.
끝으로, 상세하면서도 친절한 색인을 추가함으로써 이 주해를 완성하고자 한다. 현재 표준 텍스트가 되고 있는 The Free Press 판의 색인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 정평 있는 색인임에도 불구하고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나은 색인을 작성하는 일이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이 색인은 (The Free Press 판) 원문 - 우리말 번역 - 본 주해의 3원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