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놀이치료사들의 자기성찰적 그램책창작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Study on the Introspective Process of Play Therapists’ Creating a Picture 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65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놀이치료사가 자기성찰적 그림책 창작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에서는 내러티브탐구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경력 3년 이상의 30대 중반의 놀이치료사 2명을 목적표집 하였고,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참여자로 이중의 역할을 하며 경험에 참여하게 되었다. 치료 회기는 2022년 2월 16일부터 2022년 5월 11일까지 각 7회기로 프로그램으로 개별 진행되었다. 연구 자료수집은 그림책 창작과정에서의 면담 2회기와 창작과정 후 면담 1회기로 총 3회기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놀이치료사의 그림책창작 과정경험과 그림책창작을 통한 자기성찰 경험의 의미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놀이치료사의 그림책 창작단계와 창작과정에서 자기성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관찰하고 놀이치료사의 자기성찰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놀이치료사가 자기성찰적 그림책 창작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에서는 내러티브탐구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

      이 연구는 놀이치료사가 자기성찰적 그림책 창작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에서는 내러티브탐구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경력 3년 이상의 30대 중반의 놀이치료사 2명을 목적표집 하였고,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참여자로 이중의 역할을 하며 경험에 참여하게 되었다. 치료 회기는 2022년 2월 16일부터 2022년 5월 11일까지 각 7회기로 프로그램으로 개별 진행되었다. 연구 자료수집은 그림책 창작과정에서의 면담 2회기와 창작과정 후 면담 1회기로 총 3회기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놀이치료사의 그림책창작 과정경험과 그림책창작을 통한 자기성찰 경험의 의미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놀이치료사의 그림책 창작단계와 창작과정에서 자기성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관찰하고 놀이치료사의 자기성찰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what play therapists experienced during creating introspective picture books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This study adopt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two play therapists in their mid-thirtie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Along with the research,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played a dual role, taking part as one of the participants. The therapy conducted seven sessions for each participant from February 16, to May 11, 2022. The interview consisted of two sessions during the creation of a picture book followed by one session after the process and three sessions in tota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data analysi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he experience of play therapists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picture books along with its significations. Based on research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번역하기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what play therapists experienced during creating introspective picture books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This study adopt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two play therapists in their m...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what play therapists experienced during creating introspective picture books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This study adopt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two play therapists in their mid-thirtie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Along with the research,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played a dual role, taking part as one of the participants. The therapy conducted seven sessions for each participant from February 16, to May 11, 2022. The interview consisted of two sessions during the creation of a picture book followed by one session after the process and three sessions in tota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data analysi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he experience of play therapists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picture books along with its significations. Based on research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결 과
      • Ⅳ. 논 의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결 과
      • Ⅳ. 논 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