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미술치료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 아래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들의 내적 특성으로 자기통제력을, 외적 특성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65072
2022
-
180
KCI등재
학술저널
1663-1682(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미술치료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 아래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들의 내적 특성으로 자기통제력을, 외적 특성으...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미술치료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 아래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들의 내적 특성으로 자기통제력을, 외적 특성으로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는 변인으로서 교육훈련전이를 각각 설정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각 자기통제력, 사회적 지지, 직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내용을 기반으로 연구도구를 설정하고, 이 연구도구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현재 미술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미술치료사 250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이들 중 수집된 203명의 응답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에 의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자기통제력은 미술치료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사회적 지지는 미술치료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들 중 동료지지의 영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교육훈련전이의 매개효과는 살펴볼 수 없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of art therapy by art therapists. For this purpose, self-control a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art therapists, social support as an external characteristic, and transfer of education and t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of art therapy by art therapists. For this purpose, self-control a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art therapists, social support as an external characteristic, and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as a mediating variable were set as research questions. Research tool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review of self-control, social support, and professional self-efficacy. Also, a questionnaire of these research tools was distributed to 250 active art therapis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based on the collected response data from 203 therapists among them.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method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ists’ self-control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on the efficacy of art therapy.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art therapis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icacy of art therapy, and only the peer support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effective among them.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transfer could not be investigated.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한국미술치료학회지「미술치료연구」게재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2011~2021년 논문을 중심으로 -
성인여성의 공황증상 완화를 위한 REBT 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놀이치료사들의 자기성찰적 그램책창작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