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천 중구 개항장을 위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of Incheon Jung-gu, open 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98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나라는 공공디자인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전국적으로 도시환경이 개선되어가고 있다. 서울 자치구 도시디자인 기본계획 수립현황을 보면 현재까지 25개 자치구 중 19개 자치구가 ...

      현재 우리나라는 공공디자인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전국적으로 도시환경이 개선되어가고 있다. 서울 자치구 도시디자인 기본계획 수립현황을 보면 현재까지 25개 자치구 중 19개 자치구가 도시디자인 기본계획을 수립완료한 상황이다. 이는 자치구 별로 공공디자인계획을 세워 그 지역만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자하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보여 지는 현실은 어느 지역을 가더라도 그 지역의 개성은 찾아보기 어려운, 유사한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어 오히려 정체성에 혼란을 가중 시키고 있다.
      인천광역시 중구, 개항장은 국제적인 관광특구로서 일반 도시가 아닌 ‘관광지’라는 점에서 타 지역과 차별된, 개항장만의 느낌을 살린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적용하고자 한다.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디자인, 역사적 공간과 조화되는 디자인,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디자인, 이라는 3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가로등, 플랜터, 멘홀의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이는 지역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하며 나아가 대내적으로 지역민에게 만족감을 주고, 대외적으로 지역 경쟁력을 향상시켜 침체된 지역 경제에 활기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 our country has been after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national wide due to the high interest in public design. When we examine the basic plan establishment of the urban design for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19 Autonomous Districts among 2...

      Now our country has been after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national wide due to the high interest in public design. When we examine the basic plan establishment of the urban design for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19 Autonomous Districts among 25 have already established and finished the basic plan of city design. It means that each Autonomous District already made its own public design plan and tried to express its own regional identity. However, realistically it"s difficult to find its own individuality in any place and each region shows similar design. so this reality causes to be confused about its identity.
      I"m planning to design the public facilities in the open port in Jung-gu, Incheon, which are distinctive from other regions and have their own expressions in that it is not a general area but a "Special Tourism District". Focusing on such points as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being in harmony with a history of the region where the past and the present coexist, I suggested these particular designs of streetlights, planters and manholes. It is expected to help the region to establish its identity, further, internally provide residents with satisfaction and externally improve its regional competitiveness to reawake the depressed local econom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공공시설물의 개요
      • 3. 대상지 현황조사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공공시설물의 개요
      • 3. 대상지 현황조사
      • 4. 국내·외 사례 조사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영호, "현대도시환경디자인" 기문당 2006

      2 "전라북도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요약보고서"

      3 "인천광역시 색채디자인기본계획" 2010

      4 "인천광역시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

      5 박찬숙, "유럽의 도시 공공디자인을 입다" 2

      6 "월미관광특구 마스터플랜" 2005

      7 "문화체육관광부"

      8 안혜신, "공공디자인 행정론" 삼성출판사 2009

      9 "개항기 근대건축물 밀집지역 지구단위 계획" 2002

      10 "http://www.cyworld.com/100_AK/3596174"

      1 한영호, "현대도시환경디자인" 기문당 2006

      2 "전라북도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요약보고서"

      3 "인천광역시 색채디자인기본계획" 2010

      4 "인천광역시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

      5 박찬숙, "유럽의 도시 공공디자인을 입다" 2

      6 "월미관광특구 마스터플랜" 2005

      7 "문화체육관광부"

      8 안혜신, "공공디자인 행정론" 삼성출판사 2009

      9 "개항기 근대건축물 밀집지역 지구단위 계획" 2002

      10 "http://www.cyworld.com/100_AK/3596174"

      11 "http://timecook.tistory.com/720"

      12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orjean& logNo=1401559898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