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중등교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4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wo months(21 hours) with 41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the self-esteem questionnaires and the creativity questionnaires. Also data were collected from reflective journal. Quantitative data from survey were analysed using SPSS 18.0 and qualitative data from reflecting journals were analysed by grounded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re-post test analysis, after applying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the average of all the factors of the self-esteem and the creativity were increased. Especi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of relationships factor of the self-esteem. Second, the result of students' reflection journals analysis showed that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improve creativity through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issues and personality through cooperation. It suggested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various factors of creativity-personality, systematic structure of the program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combined with secondary school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courses should be introduced in regula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wo months(21 hours) with 41 pre-ser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wo months(21 hours) with 41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the self-esteem questionnaires and the creativity questionnaires. Also data were collected from reflective journal. Quantitative data from survey were analysed using SPSS 18.0 and qualitative data from reflecting journals were analysed by grounded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re-post test analysis, after applying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the average of all the factors of the self-esteem and the creativity were increased. Especi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of relationships factor of the self-esteem. Second, the result of students' reflection journals analysis showed that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improve creativity through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issues and personality through cooperation. It suggested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various factors of creativity-personality, systematic structure of the program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combined with secondary school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courses should be introduced in regula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들의 창의․인성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가 되기 위해 D대학교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2학년 학생 41명을 대상으로 7회기 21차시의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창의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설문조사, 성찰일지 작성을 통해 효과를 보았다. 설문조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성찰일지는 근거이론에 의한 질적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성과 자아존중감의 전․후 비교분석에서 프로그램의 적용 전보다 적용 후의 평균이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타인과의 관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찰 일지 분석 결과,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에게 창의적 문제해결과정과 교육현장문제 인식을 통한 창의성 함양과 협력학습의 중요성을 통한 인성함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첫째, 교원양성기관인 대학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의 적극적인 개발 및 적용, 둘째, 예비교사 대상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범위 및 깊이의 체계화와 단계별 프로그램의 구성, 셋째, 학교 현장과 연계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넷째, 교사의 전문성신장을 위한 창의․인성 교과목의 예비교사교육 정규교육과정 도입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들의 창의․인성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가 되기 위해 D대학교 교직과정을 이수하...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들의 창의․인성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가 되기 위해 D대학교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2학년 학생 41명을 대상으로 7회기 21차시의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창의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설문조사, 성찰일지 작성을 통해 효과를 보았다. 설문조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성찰일지는 근거이론에 의한 질적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성과 자아존중감의 전․후 비교분석에서 프로그램의 적용 전보다 적용 후의 평균이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타인과의 관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찰 일지 분석 결과,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에게 창의적 문제해결과정과 교육현장문제 인식을 통한 창의성 함양과 협력학습의 중요성을 통한 인성함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첫째, 교원양성기관인 대학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의 적극적인 개발 및 적용, 둘째, 예비교사 대상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범위 및 깊이의 체계화와 단계별 프로그램의 구성, 셋째, 학교 현장과 연계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넷째, 교사의 전문성신장을 위한 창의․인성 교과목의 예비교사교육 정규교육과정 도입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승이,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43-159, 2013

      2 조연순,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22, 2013

      3 이경희,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연구 : 사례재구성을 통한 중년여성의 학습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73-95, 2006

      4 최은열,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PBL 기반 과학영재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연구소 14 (14): 411-431, 2010

      5 김용익,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ㆍ인성 역량 요소 재구조화 및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1-18, 2014

      6 이경화, "창의・인성 모델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1 (41): 139-156, 2014

      7 조연순, "창의적, 비판적 사고력과 교과지식의 융합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PBL)고찰" 14 (14): 295-316, 2001

      8 김택호, "창의적 인성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175-186, 2009

      9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창의인성교육 기본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0

      10 김미숙,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1 도승이,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43-159, 2013

      2 조연순,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22, 2013

      3 이경희,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연구 : 사례재구성을 통한 중년여성의 학습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73-95, 2006

      4 최은열,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PBL 기반 과학영재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연구소 14 (14): 411-431, 2010

      5 김용익,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ㆍ인성 역량 요소 재구조화 및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1-18, 2014

      6 이경화, "창의・인성 모델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1 (41): 139-156, 2014

      7 조연순, "창의적, 비판적 사고력과 교과지식의 융합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PBL)고찰" 14 (14): 295-316, 2001

      8 김택호, "창의적 인성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175-186, 2009

      9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창의인성교육 기본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0

      10 김미숙,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11 조윤성, "창의성 하위 요소에 대한 교원의 교육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85-405, 2013

      12 홍미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3 서미옥, "창의성 강좌가 교육대학원생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25, 2009

      14 조동섭, "창의․인성교육정책 성과 분석 및 발전과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15 문용린,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16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성 모델학교 하반기 성과점검 사전 워크숍 자료집" 교육과학기술부 2012

      17 박찬석, "창의․인성 교육의 도덕과 적용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0) : 129-152, 2012

      18 최미정,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501-526, 2010

      19 김홍희,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의 개념도" 한국영재교육학회 10 (10): 49-72, 2011

      20 배영주, "전문가 교육에서 ‘저널쓰기’ 활용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5 (15): 151-174, 2012

      21 姜宗求, "자아개념, 진로의식성숙 및 학업성취도가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22 황성용,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이 성인학습자의 창의성과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4 (14): 71-93, 2014

      23 박병기,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155-177, 2006

      24 최준환,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9 (9): 89-112, 2009

      25 문용린, "이제는 창의․인성교육이다"

      26 황혜정, "유초등연계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와 미국의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25-51, 2009

      27 전재선,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2 (12): 149-174, 2012

      28 서혜정, "예비유아교사의 PBL 수업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35-264, 2012

      29 이경민,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73-96, 2013

      30 서경혜, "예비교사 교직 인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47-176, 2013

      31 노경이, "영성과 자아존중감 및 종교 간의 관계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2591-2606, 2009

      32 정남용, "실과교육 식생활 영역에서의 창의⋅인성교육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27-58, 2011

      33 김진숙,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 평가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71-96, 2012

      34 유정선, "수업사례분석을 통해서 본 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 한국교원교육학회 18 (18): 105-122, 2001

      35 홍배식, "사회과교육 영역 창의인성 교육의 실제 - 일반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6 (16): 31-61, 2010

      36 이경화, "범교과 창의․인성교육과정(지침)"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37 한국과학창의재단,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 총론적 고찰"

      38 손미,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225-251, 2008

      39 홍기칠, "대학수업에서의 액션러닝 적용 사례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11 (11): 63-89, 2015

      40 최정임,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3 (23): 35-65, 2007

      4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1995

      42 이진영,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적용-고등학교 기술․가정 의생활문화 내용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43 정은이, "교사창의성에 대한 암묵 이론적 접근"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57-74, 2008

      44 양정은,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의 도입을 통한 창의·인성 교육 가능성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13-128, 2012

      45 류수영, "경영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9 (29): 103-131, 2013

      46 정은이, "개별·협동학습에 따른 창의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81-297, 2003

      47 이인숙, "가정과 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과 실행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8 Dunkin, M. J., "The study of teaching" Holt, Reinhart and Winston 1974

      49 Guilford, J., "The nature of the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67

      50 Glasser, B.,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Aldine 1967

      51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Freeman 1967

      52 Torrance, E. P., "Students of the future : Their abilities, achievements, and images of the future" 1 : 76-90, 1976

      53 Moore, W. S., "Student self-evaluation: Fostering reflective learning.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56" Jossey-Bass 1993

      54 정주영, "Smart 교육환경에서의 Blended PBL 수업 모형 개발" 대한사고개발학회 10 (10): 145-162, 2014

      55 Maudsley, G.,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tutor in the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318 : 657-661, 1999

      56 서혜경, "PBL기반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183-204, 2012

      57 신민희, "PBL 수업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 능력 차이"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30-37, 2009

      58 Johnson, R. B., "Mixed methods research : A research paradigm whose time has come" 33 (33): 14-26, 2004

      59 Woods, D, "How to get the most our of PBL"

      60 Barrows, H. S., "How to design a problems-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Springer 1985

      61 김용익, "G교육대학교 예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77-96, 2014

      62 Prince, K., "General competencies of problem-based-learning(PBL)and non-PBL graduates" 8 (8): 1-8, 2005

      63 Urban, K., "Creativity-A component approach model" 1995

      64 조형숙, "Bernstein 생각의 도구를 활용한 창의성 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3 (13): 247-276, 2014

      65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1996

      66 조벽, "21세기 창의적 인재상과 창의적 역량 계발 전략" 2011

      67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교육과정고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7 1.48 2.19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