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건의 장편 역사소설 『무영탑(無影塔)』은 동아일보에 1938년 7월 20일부터 1939년 2월 7일가지 연재된 것이다. 이미 1920년대에 「불」, 「운수 좋은날」, 「사립정신병원장」등의 단편소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진건의 장편 역사소설 『무영탑(無影塔)』은 동아일보에 1938년 7월 20일부터 1939년 2월 7일가지 연재된 것이다. 이미 1920년대에 「불」, 「운수 좋은날」, 「사립정신병원장」등의 단편소설...
현진건의 장편 역사소설 『무영탑(無影塔)』은 동아일보에 1938년 7월 20일부터 1939년 2월 7일가지 연재된 것이다. 이미 1920년대에 「불」, 「운수 좋은날」, 「사립정신병원장」등의 단편소설을 통해 리얼리스트와 민족주의자 그리고 저항주의자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던 현진건이 일제통치가 절정에 달했던 1930년대 말에 그것도 역사소설을 썼던 것이니 만큼 『무영탑』은 단어 하나 문장 하나도 민족애로 반죽해 내었을 것이다. 1920년대의 발표작들은 현진건이 소설에서 정확한 묘사를 가장 중시하여 일어일물설(一語一物設)을 신봉하였음을 입증해 준다. 「빈처」, 「고향」등과 같은 1920년대의 현진건의 단편소설들은 정확한 묘사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낸 점에서 『무영탑』의 원형적 존재에 해당한다. 이런 점에서『무영탑』에서 한국적 자기동일성이 배여 있는 단어를 많이 만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