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화인류학, 방언학을 포괄하는 연구로서 문헌조사, 자료제보자에 대한 참여관찰과 면접을 통한 현지조사를 주요 방법으로 삼는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1차연도에는 주로 경북 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4963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인류학, 방언학을 포괄하는 연구로서 문헌조사, 자료제보자에 대한 참여관찰과 면접을 통한 현지조사를 주요 방법으로 삼는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1차연도에는 주로 경북 각...
본 연구는 문화인류학, 방언학을 포괄하는 연구로서 문헌조사, 자료제보자에 대한 참여관찰과 면접을 통한 현지조사를 주요 방법으로 삼는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1차연도에는 주로 경북 각 지역의 옹기에 대한 지역문화와 역사, 형태, 기능, 용어, 분류체계, 제작 및 사용관습에 대한 조사를 행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네 가지의 옹기종류 즉, 된장독, 자배기, 뚝배기, 시루를 중심으로 50여종의 문화지도를 제작한다. 각 연구자별 연차별 연구 계획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째, 문헌자료에 기초한 조선 초기 옹기점의 분포에 관한 지도를 제작하고, 옹기점의 특성을 포함한 나머지 지도제작을 준비하는 작업이 진행될 것이다. 먼저 기존 학술문헌에 표기된 시대별 옹기점, 최근 각 시·군에서 간행한 문화유적분포지도에 옹기류가 발견되는 유물산포지나 가마터 그리고 지명총람에서 옹기관련 지명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서 옹기점의 분포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경북의 옹기 제작기술에 대한 현지조사를 하여,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수집한다. 옹기 제작기술에 대한 조사는 옹기 장인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져야만 효과적인 바, 경북지역에서 지금까지 옹기를 제작하고 있는 곳을 중심으로 세 지역으로 나눠 이들 지역 가운데 1960년대까지 경북에서 옹기를 많이 생산한 곳을 표본으로 삼아 삼아서 생존하는 옹기 장인을 대상으로 조사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옹기 장인은 아니라 할지라도 옹기 제조업에 종사한 바 있는 점주(店主)와 기타 작업인부도 포함하고자 한다.
셋째, 옹기 형태의 지리적 상이성에 관해 조사한다. 특히 3D 스캐너 작업을 통해 옹기를 용도별로 분류하여 제 특징의 문화지리적 분포양상을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옹기는 저장옹기, 주방옹기, 발표 식품 옹기, 실내옹기, 운반옹기, 식기류, 제례 옹기, 문방구, 화장 용기, 약용기, 건재용품(송재선 2004: 26-27)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옹기 종류 가운데 주로 문화지도화할 대상은 저장용기로서의 된장독과 식품용기로서의 자배기, 식기류의 뚝배기, 주방용기인 시루를 대상으로 한다. 이것을 공간적으로 보면 된장독은 장독대와 같이 주거 외부의 공간에 자백이류는 부엌에서, 뚝백이류는 방안 식탁에서, 시루류는 의례시에 주로 사용된다. 전체 옹기 가운데 이러한 네 가지를 중심으로 그 형태의 변화와 상이성을 지도에 표현한다.
넷째, 가마가 위치하는 마을별로 해당지역의 주민들 즉 소비자들이 행하는 분류체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함과 아울러 지역적 특징을 파악한다. 생산자인 옹기장인들이 행하는 분류체계의 내용을 조사하며, 동시에 지역적 특징을 함께 파악한다.
다섯째, 앞에서 제시한 여러 내용들과 옹기의 종류를 연결시키고, 이를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경북의 여러 군에서 면 단위로 옹기를 구비하고 있는 대표적인 집을 선택할 것이다. 이 집을 중심으로 옹기의 기능과 옹기 형태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이것이 계층적으로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상/중/하층을 구분하고 각 계층 별로 대표적인 집을 선정한다.
여섯째, 경상북도를 3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현재 옹기장이 있는 곳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여 옹기명칭과 방언분화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할 예정이다. 조사대상 자료는 단계에 따라 추전 전략에 의거하여 조사하며, 본 조사를 통해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언어적 변화를 반영하는 새로운 경계선이 도출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조사 항목을 질문서를 통해 방언분포와 구획의 변천과정까지도 확인하도록 한다.
일곱째, 이러한 내용을 근간으로 하여 다종다양한 문화지도를 제작한다.
예컨대 옹기점의 시대별 분포와 특성에 관한 문화지도, 옹기 제작기술의 지역성과 변화에 관한 문화지도, 옹기 형태의 지역별ㆍ시대별 문화지도, ‘한굴내기’의 지역별 문화지도, 옹기 사용자와 생산자 간의 분류 체계에 따른 문화지도, 옹기 사용과 계층별 차이에 관한 문화지도, 옹기의 의례적 사용관습에 따른 문화지도, 옹기 형태와 쓰임새에 따른 명칭의 문화지도와 같은 문화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