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노인일자리사업 개선을 위한 효과성 평가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for the Improvement of Aged's Job Creation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438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효과성 평가를 통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효과성 평가 및 객관적 효과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효과성 평가로는 사업만족도, 경제적 도움, 신체적 건강증진, 정신적 건강증진, 그리고 대인관계 개선 등을 중점 분석하였다. 객관적 효과성 평가로는 의료비 절감, 노인가구 빈곤 변동율, 사업예산 대비 일자리 창출 실적, 일자리 유형별 창출 실적, 그리고 고용촉진장려금 지원 실적 등을 활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일자리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사업추진, 참여자 특성을 반영한 사업추진, 자발적 노동기회의 확대, 노인일자리사업 규정 현실화, 지방자치단체 사업예산 확보, 자립지원형 일자리 개발을 통한 시장주도형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고용촉진장려금 제도의 타당성 재검토 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효과성 평가를 통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효과성 평가 및 객...

      본 연구는 효과성 평가를 통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효과성 평가 및 객관적 효과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효과성 평가로는 사업만족도, 경제적 도움, 신체적 건강증진, 정신적 건강증진, 그리고 대인관계 개선 등을 중점 분석하였다. 객관적 효과성 평가로는 의료비 절감, 노인가구 빈곤 변동율, 사업예산 대비 일자리 창출 실적, 일자리 유형별 창출 실적, 그리고 고용촉진장려금 지원 실적 등을 활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일자리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사업추진, 참여자 특성을 반영한 사업추진, 자발적 노동기회의 확대, 노인일자리사업 규정 현실화, 지방자치단체 사업예산 확보, 자립지원형 일자리 개발을 통한 시장주도형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고용촉진장려금 제도의 타당성 재검토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고령화 사회와 노인취업
      • 2. 노인일자리사업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1. 고령화 사회와 노인취업
      • 2. 노인일자리사업
      • 3. 선행연구 및 평가지표
      • Ⅲ. 효과성 평가 및 분석결과
      • 1. 조사설계
      • 2. 노인일자리사업 효과성 평가
      • 3. 분석종합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현, "취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서울지역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143-156, 2008

      2 통계청, "추계인구"

      3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1기(2004~2007) 노인일자리사업 백서" 2008

      4 통계청, "장래인구추이"

      5 권치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427-443, 2007

      6 통계청,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7 임우석, "도시지역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371-395, 2008

      8 김옥희, "대도시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89-115, 2008

      9 조추용, "노인취업의 활성화를 위한 적합직종 개발"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323-340, 2007

      10 박재간, "노인취업관련 사업의 활성화 방안" 11 : 119-150, 2001

      1 이지현, "취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서울지역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143-156, 2008

      2 통계청, "추계인구"

      3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1기(2004~2007) 노인일자리사업 백서" 2008

      4 통계청, "장래인구추이"

      5 권치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427-443, 2007

      6 통계청,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7 임우석, "도시지역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371-395, 2008

      8 김옥희, "대도시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89-115, 2008

      9 조추용, "노인취업의 활성화를 위한 적합직종 개발"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323-340, 2007

      10 박재간, "노인취업관련 사업의 활성화 방안" 11 : 119-150, 2001

      11 권구영,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527-547, 2007

      12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 분석 연구" 2007

      13 임재영, "노인일자리사업의 의료비 절감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4 (14): 75-102, 2008

      14 이인재, "노인일자리사업 현황 및 평가. 노인일자리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 2005

      15 김소향,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309-327, 2009

      16 김진욱,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와 참여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공공분야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9 (29): 1295-1311, 2009

      17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인일자리사업 만족도 조사결과보고"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6

      18 오승환,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농촌·어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32): 119-147, 2006

      19 심정영, "노인 적합형 사회적 일자리 개발에 관한 연구: 홈헬퍼, 실버시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20 서양열,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 만족에 관한 연구 : 전라도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31-51, 2004

      21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내부자료"

      22 보건복지가족부, "내부자료"

      23 김미곤, "기초노령연금과 노인일자리사업의 경제적 효과 비교: 빈곤율 감소효과를 중심으로" 2007

      24 지광수,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정책"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1823-1836, 2005

      25 임춘식, "고령화 사회의 노인인력 활용 정책에 관한 연구" 22 : 55-77, 2005

      26 박종근, "고령화 사회와 우리나라 노인취업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7 (17): 93-122, 2005

      27 이재윤, "고령인력 활용을 위한 노인취업 활성화 방안 연구" 건양대대학원 2006

      28 U.S. Census Bureau, "U.S. Census Bureau News"

      29 UN, "The 2008 Revision" The Population Prospects 2009

      30 International Monetary Fund, "Fiscal Implications of the Global Economic and Financial Crisis" IMF Staff Position Note 2009

      31 변재관, "30만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한 추진전략" 2005

      32 대한민국정부, "1차 2006-2010 저출산고령화사회 기본계획: 새로마지플랜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12-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경북지방자치학회 -> 대한지방자치학회
      영문명 : Taegu-Kyongbuk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ocal Government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8 0.80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