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 수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말하기 영역 성취기준 비교 분석 - 국제 통용・KSL・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peaking Achievement Standards in National-level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 Focused on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KSL Curriculum, and Korean Standard Curriculu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8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speaking area for the national level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ternationally Common Korean Standard Curriculum (2017)', 'Korean (KSL) Curriculum (2017)', and 'Korean Standard Curriculum (2020)'. aim to analyze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 of this curriculum were looked at overall, and the detai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speaking area, one of the language fun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ternationally used Korean language standard curriculum presented detailed descriptions of each level for the purpose of reference standards, the KSL curriculum expanded the subject of education to the public education field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curriculum It was possible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i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with a standard character as a criterion that can be adapted appropriately for the educational field as a major basic characteristic. In terms of composition system, in the case of Internationally Common, educational contents are graded by category and cultural areas are presented independently. It was confirmed that it consists of methods, evaluations, etc. And in the comparison of general goals,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level of content and the form of description, and related issues were confirmed. In terms of detailed content,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the cont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 the layer and scope of the subject, the pattern of presentation by stage, the form of language level statements, tool expression and pronunciation Analysis contents were presented based on related matters and learner proficiency.
      번역하기

      This study compares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speaking area for the national level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ternationally Common Korean Standard Curriculum (2017)', 'Korean (KSL) Curriculum (2017)', and 'Korean Standard Curriculum (2020)'....

      This study compares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speaking area for the national level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ternationally Common Korean Standard Curriculum (2017)', 'Korean (KSL) Curriculum (2017)', and 'Korean Standard Curriculum (2020)'. aim to analyze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 of this curriculum were looked at overall, and the detai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speaking area, one of the language fun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ternationally used Korean language standard curriculum presented detailed descriptions of each level for the purpose of reference standards, the KSL curriculum expanded the subject of education to the public education field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curriculum It was possible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i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with a standard character as a criterion that can be adapted appropriately for the educational field as a major basic characteristic. In terms of composition system, in the case of Internationally Common, educational contents are graded by category and cultural areas are presented independently. It was confirmed that it consists of methods, evaluations, etc. And in the comparison of general goals,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level of content and the form of description, and related issues were confirmed. In terms of detailed content,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the cont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 the layer and scope of the subject, the pattern of presentation by stage, the form of language level statements, tool expression and pronunciation Analysis contents were presented based on related matters and learner proficien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관광체육부,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 2020-54호(2020.11,27)"

      2 이준호,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교재 인증제 운영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 2020

      3 장은미, "한국어 말하기 평가 기준 및 내용을 활용한 수업 방안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22

      4 김윤희, "한국어 말하기 성취도 평가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5 박성경 ; 송향근, "한국어 듣기 · 말하기 성취도 평가에 관한 연구 - 초급을 중심으로 -" 우리어문학회 (30) : 299-325, 2008

      6 이은진 ; 권연진, "한국어 교육과정의 읽기 내용 성취기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11-534, 2015

      7 박정아,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8 박영미, "한국어 교육과정 비교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2022

      9 구영산,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회 50 (50): 99-138, 2015

      10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5월호"

      1 문화관광체육부,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 2020-54호(2020.11,27)"

      2 이준호,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교재 인증제 운영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 2020

      3 장은미, "한국어 말하기 평가 기준 및 내용을 활용한 수업 방안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22

      4 김윤희, "한국어 말하기 성취도 평가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5 박성경 ; 송향근, "한국어 듣기 · 말하기 성취도 평가에 관한 연구 - 초급을 중심으로 -" 우리어문학회 (30) : 299-325, 2008

      6 이은진 ; 권연진, "한국어 교육과정의 읽기 내용 성취기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11-534, 2015

      7 박정아,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체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8 박영미, "한국어 교육과정 비교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2022

      9 구영산,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회 50 (50): 99-138, 2015

      10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5월호"

      11 정영근, "재외동포용 한글학교 표준 교육과정 연구개발』" 교육과정평가원 2004

      12 류재택,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과정평가원 2002

      13 허용, "세종학당 교육과정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2007

      14 김윤주, "미국 ESL 교육과정 ‘WIDA’ 고찰을 통한 KSL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국어교육학회 50 (50): 139-172, 2015

      15 김윤주, "미국 ESL 교육과정 WIDA와 KSL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화 양상 비교 분석 및 시사점" 한국어학회 91 : 171-202, 2021

      16 원진숙,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17 김정숙,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5 : 58-80, 2017

      18 국립국어원,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보고회 자료집"

      19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 [별책 5]"

      20 박정아 ; 이슬비 ; 김은혜, "국가 수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체제 연구" 이중언어학회 (78) : 27-57, 2020

      21 박현진, "국가 수준 한국어 교육과정 내 문화 구성 체계 분석" 한민족문화학회 71 (71): 351-374, 2020

      22 이성호,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학지사 2004

      23 양영희, "공교육으로서 『한국어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일 제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55-1274, 2019

      24 심상민,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KSL)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호주 EAL/D 교육과정의 듣기와 말하기 성취 기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화법학회 (47) : 169-204, 2020

      25 교육부, "개정 KSL 한국어 교육과정"

      26 박형준,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반영된 외국어로서 한국문학교육의 특징과 과제" 배달말학회 (71) : 305-335, 2022

      27 이준호 ; 안정호 ; 이인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기반한 해외 대학의 교양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59 : 35-63, 2022

      28 김윤주, "「2012 한국어 교육과정」과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 비교 분석 및 시사점" 인문사회 21 12 (12): 2469-2484, 2021

      29 이인혜 ; 이준호,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CEFR, ACTFL, WIDA의 숙달도 등급 체계 비교 연구" 민족어문학회 (93) : 415-445, 2021

      30 이선중 ; 황성은, "‘일본어(JSL) 교육과정’ 고찰을 통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학습 한국어’ 개선 방안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8 : 81-106, 2018

      31 한정근, "The Korean Language in America 제1권"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15-221, 1995

      32 교육과학기술부, "KSL 한국어 교육과정"

      3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최종안) 개발 연구" 교육부 2022

      34 김명광, ""(외국어로서의)한국어 교육과정"" 소통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