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지역의 특성 분석 및 유형화 = 충청남도 읍·면지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46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nd to classify regional types by applying the multi-variate techniques of factor and cluster analyses, with 171 Eup?Myon level data of Chungcheongnam-do in 2010. During the process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rural areas, the differences in location, socio-demographic factors, geo-politics, urbanizing and industrializing patterns in rural areas have been driving or accelerating differentiation of rural areas.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21 factors of Eup-Myon areas are categorized five princip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municipal city characteristics, typical paddy farming characteristics, urbanizing rural characteristics, aged farming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izing r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171 Eup?Myon areas of Chungcheongnam-do are classified as 6 different regional types as follows; rural service center, aging rural area, urbanizing rural area, paddy farming area, transitional rural area, and manufacturing industry area. It revealed different regional types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which hints rural areas have been experiencing diverse differentiation process depending on regional types.
      번역하기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nd to classify regional types by applying the multi-variate techniques of factor and cluster analyses, with 171 Eup?Myon level data of Chungcheongnam-do in 2010. During th...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nd to classify regional types by applying the multi-variate techniques of factor and cluster analyses, with 171 Eup?Myon level data of Chungcheongnam-do in 2010. During the process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rural areas, the differences in location, socio-demographic factors, geo-politics, urbanizing and industrializing patterns in rural areas have been driving or accelerating differentiation of rural areas.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21 factors of Eup-Myon areas are categorized five princip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municipal city characteristics, typical paddy farming characteristics, urbanizing rural characteristics, aged farming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izing r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171 Eup?Myon areas of Chungcheongnam-do are classified as 6 different regional types as follows; rural service center, aging rural area, urbanizing rural area, paddy farming area, transitional rural area, and manufacturing industry area. It revealed different regional types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which hints rural areas have been experiencing diverse differentiation process depending on regional typ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의 틀
      • 3. 충청남도 농촌지역의 구조적 특성 분석
      • 4. 충청남도 농촌지역의 유형 및 특성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의 틀
      • 3. 충청남도 농촌지역의 구조적 특성 분석
      • 4. 충청남도 농촌지역의 유형 및 특성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환, "한국 농촌 지역의 공간시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8

      2 성주인,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재단법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6 (26): 1-22, 2003

      3 이원호, "지역 맞춤형 낙후지역 정책을 위한 지역 유형구분 및 특성 분석 : 성장촉진지역 정책의 사례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96-108, 2011

      4 최양부, "정주생활권 설정 및 유형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5

      5 장우환, "산촌지역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12 (12): 121-135, 1989

      6 신영철, "면단위 농촌지역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서부 경남을 중심으로" (31) : 79-88, 1992

      7 이상학, "마을 단위 농촌지역의 유형구분" (36) : 129-143, 1995

      8 윤성수, "다변량분석법을 이용한 충청북도 읍면단위 농촌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분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11 (11): 2005

      9 정안성, "다변량분석법에 의한 지역농업의 유형화-전북 농촌지역에의 적용-" (29) : 25-42, 1988

      10 강혜정, "다변량 분석방법을 이용한 농가 유형 구분" 재단법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9 (29): 29-43, 2007

      1 이정환, "한국 농촌 지역의 공간시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8

      2 성주인,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재단법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6 (26): 1-22, 2003

      3 이원호, "지역 맞춤형 낙후지역 정책을 위한 지역 유형구분 및 특성 분석 : 성장촉진지역 정책의 사례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96-108, 2011

      4 최양부, "정주생활권 설정 및 유형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5

      5 장우환, "산촌지역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12 (12): 121-135, 1989

      6 신영철, "면단위 농촌지역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서부 경남을 중심으로" (31) : 79-88, 1992

      7 이상학, "마을 단위 농촌지역의 유형구분" (36) : 129-143, 1995

      8 윤성수, "다변량분석법을 이용한 충청북도 읍면단위 농촌계획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분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11 (11): 2005

      9 정안성, "다변량분석법에 의한 지역농업의 유형화-전북 농촌지역에의 적용-" (29) : 25-42, 1988

      10 강혜정, "다변량 분석방법을 이용한 농가 유형 구분" 재단법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9 (29): 29-43, 2007

      11 임석회, "농촌지역의 유형화와 특성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211-232, 2005

      12 송두범, "농촌지역사회의 유형구분 및 특성분석-충청남도 읍․면을 중심으로-" 13 (13): 107-120, 2001

      13 이정환, "농촌생활환경정비와 면단위 정주권 개발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0

      14 신호철, "농촌마을 및 주택에 관한 연구"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1992

      15 嚴洙元, "韓國農村地域의 類型化와 空間開發 方向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1997

      16 DEFRA, "Rural Futures Project: Scenario building for twenty year and fifty year futures" 2004

      17 OECD, "Future for Our countryside? : A Rural Development Policy" Head of Publications Service 1993

      18 양원식, "Ahp법을 이용한 농촌지역유형 구분"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3 (43): 61-7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15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