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의 수량을 표현하는 것은 모든 언어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표현 방식은 개별 언어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대상이 되는 사물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6723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물의 수량을 표현하는 것은 모든 언어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표현 방식은 개별 언어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대상이 되는 사물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사물의 수량을 표현하는 것은 모든 언어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표현 방식은 개별 언어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대상이 되는 사물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한국어에는 셀 수 없는 대상을 셀 수 있게 단위화해 주거나 셈의 대상이 되는 명사의 의미론적 특성을 명시해 주는 기능을 하는 단어가 있는데, 이를 ‘분류사’라 한다. 분류사는 명사 지시물에 대한 셈 단위로서의 기능과 명사 지시물에 대한 의미적인 부류화 기능을 한다. 한국어는 이른바 분류사-언어(classfier-language)에 속하는 반면 인구어에는 분류사 카테고리가 발달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러시아어 분류사는 언어 계통상 분류사가 발달하지 않은 어족에 속하는 선천적 한계 외에도 많은 제약이 있다. 문법서들을 살펴보면 형태론에서는 명사 파트, 통사론에서는 어결합(словосочетание)에 관한 내용으로 일부분 다루고 있을 뿐이고, 분류사적 용법으로 쓰이는 것이라 추정되는 것들 가운데에서도 어떤 것은 과연 분류사로 설정할 수 있을지 의심이 가는 형태도 있다. 결국 러시아어 분류사 연구는 수 범주에 대한 접근으로 시작을 해야 하는데, 수사와 명사 공히 굴절에 의한 어형 변화인 곡용(склонение)을 한다는 점, 이로 인해 곡용 시 명사와의 격 일치, 명사와 성 일치, 명사와 통사적 수 일치 그리고 복수로만 사용되는 명사들(pluralia tantum)의 존재 등 많은 문제들이 분류사 연구에 대한 부하(負荷)로 작용한다. 때문에 러시아어 분류사 연구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분류사 연구의 정지(整地) 단계로서 러시아어 사전에 수록된 분류사에 대한 목록화 작업을 일차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형태, 의미, 통사적 측면에서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자료는 러시아어 코퍼스(Национальный корпус русского языка)와 러시아어 사전(Большой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Пб., 2006)을 기반으로 한다. 아직 연구가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어 수집한 분류사의 양이 많지 않으나 그중 일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보편적인 분류사 - штука
■ 의생활에 관계된 분류사 - пара
■ 식생활에 관계된 분류사
① 액체 형태 - банка, бокал, бутылка, кружка, ложка, рюмка, стакан, чашка
② 덩어리 형태 - блок, долька, коробка, кусок, ломоть, мешок, пакет, упаковка
③ 분말 형태 - горсть, пачка
④ 기체 형태 - баллончик
■ 사물에 관계된 분류사 - корпус, лист
아울러 본 연구간 자칫 자의적 해석으로 흐를 수 있는 인식론적 접근을 지양하고, 언어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명사-분류사의 호응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많은 삽화들을 이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