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군사독재시대의 형법학의 자취-형법학의 정치학 = Criminal Jurisprudence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dictator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70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survey Korean Criminal Law and its theories during the military sovereignty before pro-democracy movement of 1987. Necessary reviews on General Theories on Criminal Law and several particular theories supported the dictatorship would be included, with the issues and the grounds briefly accounted.
      Our criminal jurisprudence has not changed or challenged materially for sixty years. The original legislation of Criminal Law was largely imitated for Japanese Criminal Law Draft of 1930s and Criminal Jurisprudence had to follow japanese theories. For this background theories have been deprived of those political contexts. especially at act theory or human reason or liberty on criminal activities.
      As a result, the military dictatorship could be unrestricted by criminal jurisprudence.
      There were theories which had given positive aids to the dictatorship. I would review theories of ‘joint principal offender by mere ploting’, ‘social regular rules justifying acts subsidiarily’. Then separate accounts would be followed on the theory of ‘successful coup ridding of rebellion’, the crime of ‘business obstruction’suppressing labor movements, the crimes on National Security Act and Security Observation Act.
      Eventually I am suggesting the important job to expose the political backgrounds and motives hided behind main-stream criminal theories and go further to expose the agglutination of Law and the political violence.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survey Korean Criminal Law and its theories during the military sovereignty before pro-democracy movement of 1987. Necessary reviews on General Theories on Criminal Law and several particular theories supported the dictatorship wo...

      This article aims to survey Korean Criminal Law and its theories during the military sovereignty before pro-democracy movement of 1987. Necessary reviews on General Theories on Criminal Law and several particular theories supported the dictatorship would be included, with the issues and the grounds briefly accounted.
      Our criminal jurisprudence has not changed or challenged materially for sixty years. The original legislation of Criminal Law was largely imitated for Japanese Criminal Law Draft of 1930s and Criminal Jurisprudence had to follow japanese theories. For this background theories have been deprived of those political contexts. especially at act theory or human reason or liberty on criminal activities.
      As a result, the military dictatorship could be unrestricted by criminal jurisprudence.
      There were theories which had given positive aids to the dictatorship. I would review theories of ‘joint principal offender by mere ploting’, ‘social regular rules justifying acts subsidiarily’. Then separate accounts would be followed on the theory of ‘successful coup ridding of rebellion’, the crime of ‘business obstruction’suppressing labor movements, the crimes on National Security Act and Security Observation Act.
      Eventually I am suggesting the important job to expose the political backgrounds and motives hided behind main-stream criminal theories and go further to expose the agglutination of Law and the political viol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1987년 민주화운동을 기점으로 종지부를 찍었다고 볼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독재 시대, 특히 군사독재 시대의 형법과 형법학을 한 단위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필요한 범위에서 형법 일반이론에 관한 검토를 포함하고 있고, 특히 적극적으로 독재 비호이론이 된 개별 이론들을 항목을 달리하며 서술한다. 역사를 서술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하지만 이론들의 쟁점과 논거에 관한 간략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 형법학은 특별한 큰 이론적 전기나 지형의 변화 없이 수십년간 유지되었다. 제정 형법안이 전란 중에 일본의 개정형법가안을 참고하여 작성된 이래 형법학 역시 일본의 형법학에 의존하면서 수입하고 소개하는 일이 중심이 되면서 이론의 실천적 의미나 사회정치적 맥락을 상실한 채 중립화된 외양을 띠게 되었다. 행위론은 정치적 색깔이 탈락되어 전개되었고 인간의 이성 또는 자유에 관한 근본 입장을 담은 학파논쟁 역시 역사의 유물처럼 취급되어 왔다. 그러한 상황에서 군사독재 정권은 형법학의 규제를 피하면서 법학의 침묵 속에서 통치와 통제를 수십년 이어나갔다.
      형법 개별 이론들의 적극적인 지원도 받았다. 대표적으로 공모공동정범이론의 도입과 확대 적용, 사회상규(기본권적 행위 등을 포함한 정당행위)의 보충규범화 등에서 반민주적 형법이론의 전형을 볼 수 있었다. 내란죄를 정당화하려한 성공한 쿠데타 이론에 시달렸던 경험도 있다. 노동운동 탄압 수단인 업무방해죄, 양심과 사상을 그 자체로 처벌의 대상으로 하는 국가보안법 및 보안관찰법, 그외 일부 보안처분법들이 군사독재 정권의 비호하에 형법학의 묵인하에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주류 형법학 이론과 판결에 숨겨진 정치적 배경과 동기를 드러내고 논의의 장에 이끌어내고 법과 정치적 폭력의 유합을 폭로하는 것이 이론의 실천적 성격을 담보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이글은 1987년 민주화운동을 기점으로 종지부를 찍었다고 볼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독재 시대, 특히 군사독재 시대의 형법과 형법학을 한 단위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필요한 범위에서 형...

      이글은 1987년 민주화운동을 기점으로 종지부를 찍었다고 볼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독재 시대, 특히 군사독재 시대의 형법과 형법학을 한 단위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필요한 범위에서 형법 일반이론에 관한 검토를 포함하고 있고, 특히 적극적으로 독재 비호이론이 된 개별 이론들을 항목을 달리하며 서술한다. 역사를 서술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하지만 이론들의 쟁점과 논거에 관한 간략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 형법학은 특별한 큰 이론적 전기나 지형의 변화 없이 수십년간 유지되었다. 제정 형법안이 전란 중에 일본의 개정형법가안을 참고하여 작성된 이래 형법학 역시 일본의 형법학에 의존하면서 수입하고 소개하는 일이 중심이 되면서 이론의 실천적 의미나 사회정치적 맥락을 상실한 채 중립화된 외양을 띠게 되었다. 행위론은 정치적 색깔이 탈락되어 전개되었고 인간의 이성 또는 자유에 관한 근본 입장을 담은 학파논쟁 역시 역사의 유물처럼 취급되어 왔다. 그러한 상황에서 군사독재 정권은 형법학의 규제를 피하면서 법학의 침묵 속에서 통치와 통제를 수십년 이어나갔다.
      형법 개별 이론들의 적극적인 지원도 받았다. 대표적으로 공모공동정범이론의 도입과 확대 적용, 사회상규(기본권적 행위 등을 포함한 정당행위)의 보충규범화 등에서 반민주적 형법이론의 전형을 볼 수 있었다. 내란죄를 정당화하려한 성공한 쿠데타 이론에 시달렸던 경험도 있다. 노동운동 탄압 수단인 업무방해죄, 양심과 사상을 그 자체로 처벌의 대상으로 하는 국가보안법 및 보안관찰법, 그외 일부 보안처분법들이 군사독재 정권의 비호하에 형법학의 묵인하에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주류 형법학 이론과 판결에 숨겨진 정치적 배경과 동기를 드러내고 논의의 장에 이끌어내고 법과 정치적 폭력의 유합을 폭로하는 것이 이론의 실천적 성격을 담보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동운, "효당 엄상섭 형법논집"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2 정영석, "형사정책" 법문사 1989

      3 배종대, "형법총론" 홍문사 2009

      4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08

      5 오영근, "형법총론" 박영사 2009

      6 신동운, "형법 제20조 사회상규 규정의 성립경위" 법학연구소 47 (47): 189-219, 2006

      7 신양균, "형벌과 보안처분-국가보안법과 보안관찰법을 생각한다-, In 사상과 정책" 경향신문사 1989

      8 오영근, "한국 형법이론의 발전동향" 한국비교형사법학회 8 (8): 121-142, 2006

      9 김순태, "파업에 대한 업무방해죄적용불가론 및 업무방해죄의 위헌성: 업무방해죄의 연혁 및적용사례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관악사 (12) : 90-120, 1997

      10 서주실, "집회의 자유와 그 제한상의 문제" 11 : 73-130, 1969

      1 신동운, "효당 엄상섭 형법논집"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2 정영석, "형사정책" 법문사 1989

      3 배종대, "형법총론" 홍문사 2009

      4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08

      5 오영근, "형법총론" 박영사 2009

      6 신동운, "형법 제20조 사회상규 규정의 성립경위" 법학연구소 47 (47): 189-219, 2006

      7 신양균, "형벌과 보안처분-국가보안법과 보안관찰법을 생각한다-, In 사상과 정책" 경향신문사 1989

      8 오영근, "한국 형법이론의 발전동향" 한국비교형사법학회 8 (8): 121-142, 2006

      9 김순태, "파업에 대한 업무방해죄적용불가론 및 업무방해죄의 위헌성: 업무방해죄의 연혁 및적용사례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관악사 (12) : 90-120, 1997

      10 서주실, "집회의 자유와 그 제한상의 문제" 11 : 73-130, 1969

      11 서명희, "집회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한계" 11 : 30-45, 1968

      12 한인섭, "정치군부의 범죄행위와 ‘성공한’ 쿠데타론의 실상" 역사문제연구소 (30) : 16-35, 1995

      13 박지현,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죄와 광고주 불매운동"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0) : 79-124, 2009

      14 배종대, "우리 법학의 나아갈 길-형법학을 중심으로" 1 (1): 220-250, 1989

      15 허일태, "엄상섭의 형법사상" 34 : 193-210, 2004

      16 심재우, "보안처분제도에 관한 고찰" 22 : 145-192, 1984

      17 김상호, "보안처분의 법적 성격에 관한 연구" 10 : 381-406, 1982

      18 진계호, "보안처분에 관한 연구" 10 : 323-341, 1981

      19 이수성, "보안처분에 관한 약간의 고찰" 8 (8): 107-138, 1966

      20 김순태, "보안관찰법에 관한 연구 : 제6조 1항 및 제27조 2항에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32 : 153-166, 2001

      21 송문호, "보안관찰법 폐지론" (341) : 174-189, 2001

      22 이승호, "보안관찰법 폐지론" 1992

      23 염정철, "범죄의 증가현상과 보안처분의 필요성 범죄의 증가현상과 보안처분의 필요성" 11 (11): 6-7, 1970

      24 조국, "반인권적 국가범죄의 공소시효의 정지 배제와 소급효금지의 원칙" 한국형사법학회 (17) : 1-18, 2002

      25 이호중, "반인권적 국가범죄의 공소시효배제와 소급효" 민주주의법학연구회 (30) : 107-131, 2006

      26 이호중, "노동쟁의와 형법 - 쟁의행의에 대한 형법의 판단구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8 (8): 649-664, 2006

      27 이원경,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의 정범성" 한국형사법학회 22 (22): 59-86, 2010

      28 최호진,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 법학연구원 (32) : 631-655, 2010

      29 허일태, "권위주의시대의 반인륜적 범죄행위와 소급효금지원칙" (31) : 99-113, 2001

      30 하태영, "공소시효제도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4 (4): 519-551, 2002

      31 이창섭, "공모공동정범이론 유감(遺憾)" 한국비교형사법학회 9 (9): 337-364, 2007

      32 정성근, "공모공동정범론 소고"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1968

      33 남상문, "공모공동정범" 8 : 103-112, 1971

      34 유기천, "개고 형법학(총론 강의)" 48 (48): 2007

      35 大塚仁, "刑法各論 下" 靑林書院 1970

      36 Hans Welzel, "Das Deutsche Strafrecht, 11. Aufl" 1969

      37 노기호, "518 특별법의 위헌여부" 한양법학회 7 : 229-246,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3-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5 0.80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