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생활권습지 기반 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지표(RAWES) 개선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the‘Rapid Assessment Index of Ecosystem Services (RAWES)’based on Living Area Wetlan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6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apid Assessment Method of Wetland Ecosystem Services so that local residents can evaluate the ecosystem services of small wetlands in their living area after receiving a certain education. The evaluation method was verified through expert FGI verification and questionnaires, and the final evaluation method was proposed.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 was established and a total of 20 service items were set, 5 for each ecosystem service. For each of the 20 proposed service items, descriptions of service items along with evaluation indicators, matters to be considered in the field, and methods, procedures, and usage plans for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and values ​​were presented. The five core services for each ecosystem service are as follows. In the provisioning services, freshwater use, food supply, fuel and raw material supply, biological resource supply, energy production, etc. were found, and in the Regulating services, water resources and flood control, water purification, biological control, regional microclimate control, disaster erosion control, etc. were found. Cultural services include landscape and aesthetic values, recreation and tourism, eco-educational research, local communities and communities, and cultural heritage, and supporting services include soil formation, primary production, nutrient circulation, water circulation, and habitat provision. The evaluation scale is a 5-point scale, with ‘very positive benefit (++: 5 points), positive benefit (+: 4 points), moderate (0: 3 points), marginal profit (—: 2 points), profit None or sometimes disadvantage (——: 1 point), evaluation difficulty (?: 0 point)’, etc. were set. A pilot evaluation was conducted on Du-ung Wetland, one of Ramsar Sites, to verify and evaluate its applicability as an indicator. Culture service > Supporting service > Control service > Provisioning service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of previous studies. Although it was more simpl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were maintain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apid Assessment Method of Wetland Ecosystem Services so that local residents can evaluate the ecosystem services of small wetlands in their living area after receiving a certain education. The evaluation method w...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apid Assessment Method of Wetland Ecosystem Services so that local residents can evaluate the ecosystem services of small wetlands in their living area after receiving a certain education. The evaluation method was verified through expert FGI verification and questionnaires, and the final evaluation method was proposed.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 was established and a total of 20 service items were set, 5 for each ecosystem service. For each of the 20 proposed service items, descriptions of service items along with evaluation indicators, matters to be considered in the field, and methods, procedures, and usage plans for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and values ​​were presented. The five core services for each ecosystem service are as follows. In the provisioning services, freshwater use, food supply, fuel and raw material supply, biological resource supply, energy production, etc. were found, and in the Regulating services, water resources and flood control, water purification, biological control, regional microclimate control, disaster erosion control, etc. were found. Cultural services include landscape and aesthetic values, recreation and tourism, eco-educational research, local communities and communities, and cultural heritage, and supporting services include soil formation, primary production, nutrient circulation, water circulation, and habitat provision. The evaluation scale is a 5-point scale, with ‘very positive benefit (++: 5 points), positive benefit (+: 4 points), moderate (0: 3 points), marginal profit (—: 2 points), profit None or sometimes disadvantage (——: 1 point), evaluation difficulty (?: 0 point)’, etc. were set. A pilot evaluation was conducted on Du-ung Wetland, one of Ramsar Sites, to verify and evaluate its applicability as an indicator. Culture service > Supporting service > Control service > Provisioning service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of previous studies. Although it was more simpl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were maintain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이 생활권 소규모 습지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도록 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가 FGI 검증 및 설문을 통해 검증하고 최종 평가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생태계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 생태계서비스의 서비스 항목을 5개씩 총 20개 서비스항목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20개 서비스항목별로 평가지표와 함께 서비스항목 해설,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생태계서비스와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과 절차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생태계서비스별 5개 핵심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공급서비스에서는 담수이용, 음식식량공급, 연료 및 원료공급, 생물자원공급, 에너지생산 등이며, 조절서비스에서는 수자원 및 홍수조절, 수질정화, 생물학적조절, 지역미기후조절, 재해침식조절 등으로 나타났다. 문화서비스로는 경관 및 심미적 가치, 레크레이션 및 관광, 생태교육연구, 지역사회 및 공동체, 문화유산 등이며, 지원서비스는 토양형성, 1차 생산량, 영양물질 순환, 물순환, 서식처 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평가 척도는 5점 척도로서, ‘매우 긍정적 이익(++: 5점), 긍정적 이익(+: 4점), 보통(0: 3점), 이익이 미미함(—: 2점), 이익이 없거나 때로 불이익(——: 1점), 평가 어려움(?: 0점)’ 등으로 설정하였다. 람사르습지로 등록된 두웅습지를 대상으로 시범평가를 수행하여 지표로서의 적용가능성을 검증 평가한 바, 문화서비스 > 지원서비스 > 조절서비스 > 공급서비스의 순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기존의 평가지표에 비해 더욱 간편하면서도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유지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이 생활권 소규모 습지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도록 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가 FGI 검증 및 설문을 통해 검증하고 최종 평...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이 생활권 소규모 습지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도록 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가 FGI 검증 및 설문을 통해 검증하고 최종 평가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생태계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 생태계서비스의 서비스 항목을 5개씩 총 20개 서비스항목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20개 서비스항목별로 평가지표와 함께 서비스항목 해설,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생태계서비스와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과 절차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생태계서비스별 5개 핵심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공급서비스에서는 담수이용, 음식식량공급, 연료 및 원료공급, 생물자원공급, 에너지생산 등이며, 조절서비스에서는 수자원 및 홍수조절, 수질정화, 생물학적조절, 지역미기후조절, 재해침식조절 등으로 나타났다. 문화서비스로는 경관 및 심미적 가치, 레크레이션 및 관광, 생태교육연구, 지역사회 및 공동체, 문화유산 등이며, 지원서비스는 토양형성, 1차 생산량, 영양물질 순환, 물순환, 서식처 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평가 척도는 5점 척도로서, ‘매우 긍정적 이익(++: 5점), 긍정적 이익(+: 4점), 보통(0: 3점), 이익이 미미함(—: 2점), 이익이 없거나 때로 불이익(——: 1점), 평가 어려움(?: 0점)’ 등으로 설정하였다. 람사르습지로 등록된 두웅습지를 대상으로 시범평가를 수행하여 지표로서의 적용가능성을 검증 평가한 바, 문화서비스 > 지원서비스 > 조절서비스 > 공급서비스의 순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기존의 평가지표에 비해 더욱 간편하면서도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유지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생태원, "핵심 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및 보전방안 연구" 2018

      2 구본학, "표준습지 분석을 통한 대체습지의 생태 성능 기준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11-22, 2011

      3 박미옥, "충청남도 내륙습지 특성 및 기능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92-100, 2009

      4 김벼리, "지역 이해당사자 참여 생태계서비스 간이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22): 1-11, 2019

      5 국립생태원, "전국 단위 생태계서비스 평가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2017

      6 국립생태원, "습지보호지역 생태자산‧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가이드라인"

      7 홍문기, "습지 기능 평가의 동향 분석 및 제언" 한국습지학회 19 (19): 1-15, 2017

      8 박미옥, "생활권 마을습지 정원문화 연구 - 한산팔경을 사례로 -"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5 (5): 35-41, 2019

      9 박미옥,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습지 기능평가 연구-충남 서해안을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70-80, 2007

      10 손진관, "농업경관 내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능 설정 연구" 한국습지학회 16 (16): 319-325, 2014

      1 국립생태원, "핵심 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및 보전방안 연구" 2018

      2 구본학, "표준습지 분석을 통한 대체습지의 생태 성능 기준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11-22, 2011

      3 박미옥, "충청남도 내륙습지 특성 및 기능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92-100, 2009

      4 김벼리, "지역 이해당사자 참여 생태계서비스 간이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22): 1-11, 2019

      5 국립생태원, "전국 단위 생태계서비스 평가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2017

      6 국립생태원, "습지보호지역 생태자산‧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가이드라인"

      7 홍문기, "습지 기능 평가의 동향 분석 및 제언" 한국습지학회 19 (19): 1-15, 2017

      8 박미옥, "생활권 마을습지 정원문화 연구 - 한산팔경을 사례로 -"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5 (5): 35-41, 2019

      9 박미옥,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습지 기능평가 연구-충남 서해안을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70-80, 2007

      10 손진관, "농업경관 내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능 설정 연구" 한국습지학회 16 (16): 319-325, 2014

      11 박미옥, "기능평가를 이용한 마을습지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 기초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1 (21): 119-132, 2018

      12 박미옥, "금산군 생활권 마을습지 기능평가 및 현명한 이용 전략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4 (24): 15-24, 2021

      13 박미옥, "간이평가법(RAWES)을 이용한 습지 생태계서비스 평가 연구 - 충청남도 내 습지를 중심으로 -"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7 (7): 131-143, 2021

      14 杨青, "湿地生态系统服务价值能值评估-以珠江三角洲城市群为例" 38 (38): 4527-4538, 2018

      15 杨青, "湿地生态系统服务价值能值评估" 38 (38): 4527-4538, 2018

      16 宁潇, "杭州湾国家湿地公园湿地生态系统服务价值评估" 14 (14): 677-686, 2016

      17 "LY/T 2899-2017. 湿地生态系统服务评估规范. ICS 65.020 B60/79"

      18 JIN YIHUA, "HGM을 이용한 질날늪 기능평가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13-22, 2013

      19 문상균, "AHP를 이용한 산지습지 가능지역 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27-4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