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립생태원, "핵심 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및 보전방안 연구" 2018
2 구본학, "표준습지 분석을 통한 대체습지의 생태 성능 기준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11-22, 2011
3 박미옥, "충청남도 내륙습지 특성 및 기능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92-100, 2009
4 김벼리, "지역 이해당사자 참여 생태계서비스 간이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22): 1-11, 2019
5 국립생태원, "전국 단위 생태계서비스 평가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2017
6 국립생태원, "습지보호지역 생태자산‧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가이드라인"
7 홍문기, "습지 기능 평가의 동향 분석 및 제언" 한국습지학회 19 (19): 1-15, 2017
8 박미옥, "생활권 마을습지 정원문화 연구 - 한산팔경을 사례로 -"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5 (5): 35-41, 2019
9 박미옥,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습지 기능평가 연구-충남 서해안을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70-80, 2007
10 손진관, "농업경관 내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능 설정 연구" 한국습지학회 16 (16): 319-325, 2014
1 국립생태원, "핵심 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및 보전방안 연구" 2018
2 구본학, "표준습지 분석을 통한 대체습지의 생태 성능 기준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11-22, 2011
3 박미옥, "충청남도 내륙습지 특성 및 기능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92-100, 2009
4 김벼리, "지역 이해당사자 참여 생태계서비스 간이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22): 1-11, 2019
5 국립생태원, "전국 단위 생태계서비스 평가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2017
6 국립생태원, "습지보호지역 생태자산‧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가이드라인"
7 홍문기, "습지 기능 평가의 동향 분석 및 제언" 한국습지학회 19 (19): 1-15, 2017
8 박미옥, "생활권 마을습지 정원문화 연구 - 한산팔경을 사례로 -"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5 (5): 35-41, 2019
9 박미옥,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습지 기능평가 연구-충남 서해안을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70-80, 2007
10 손진관, "농업경관 내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능 설정 연구" 한국습지학회 16 (16): 319-325, 2014
11 박미옥, "기능평가를 이용한 마을습지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 기초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1 (21): 119-132, 2018
12 박미옥, "금산군 생활권 마을습지 기능평가 및 현명한 이용 전략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4 (24): 15-24, 2021
13 박미옥, "간이평가법(RAWES)을 이용한 습지 생태계서비스 평가 연구 - 충청남도 내 습지를 중심으로 -"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7 (7): 131-143, 2021
14 杨青, "湿地生态系统服务价值能值评估-以珠江三角洲城市群为例" 38 (38): 4527-4538, 2018
15 杨青, "湿地生态系统服务价值能值评估" 38 (38): 4527-4538, 2018
16 宁潇, "杭州湾国家湿地公园湿地生态系统服务价值评估" 14 (14): 677-686, 2016
17 "LY/T 2899-2017. 湿地生态系统服务评估规范. ICS 65.020 B60/79"
18 JIN YIHUA, "HGM을 이용한 질날늪 기능평가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13-22, 2013
19 문상균, "AHP를 이용한 산지습지 가능지역 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27-43,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