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Methylation Specific PCR-RFLP 방법을 이용한 Beckwith Wiedemann Syndrome의 진단 = Genetic Diagnosis of Beckwith Wiedemann Syndrome using Methylation Specific PCR-RFLP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7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Beckwith-Wiedemann 증후군(BWS)은 11p15 부위의 메칠화 양상의 이상으로 인한 overgrowth malformation symdrome이다. 11p15 부위에는 두 가지 imprinting center, 즉 BWSIC1 (IGF2, H19)와 BWSIC2 (LIT1, KvDMR)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methylation-specific (MS) PCR RFLP 방법을 이용한 BWS의 유전적 진단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임상 소견을 바탕으로 12명의 BWS 환자가 포함되었다. 환자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염색체 핵형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DNA에 bisulfite를 처리한 후, LIT1, H19, IGF2 DMR부위는 각각의 MS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적절한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절단 여부를 PAGE로 확인함으로써 각각의 DMR 부위에 대한 메칠화 이상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 12명의 환자는 모두 정상 핵형을 보였다. MS-PCR RFLP 상 총 7명(53.8%)의 환자가 이상 소견을 보였으며, 모두 BWSIC2 (LIT1)에 비정상적 메칠화를 보였고 모두 부계 유래의 비메칠화된 allele만이 발견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MS-PCR RFLP 검사로 BWS 환자의 약 50-60% 정도에서 유전적 진단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BWSIC2 부위의 메칠화 이상을 발견하는데 손쉽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BWSIC1 부위의 메칠화 이상은 발견이 어려우며, 이 부위의 이상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메칠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목적 : Beckwith-Wiedemann 증후군(BWS)은 11p15 부위의 메칠화 양상의 이상으로 인한 overgrowth malformation symdrome이다. 11p15 부위에는 두 가지 imprinting center, 즉 BWSIC1 (IGF2, H19)와 BWSIC2 (LIT1, KvDMR)가 ...

      목적 : Beckwith-Wiedemann 증후군(BWS)은 11p15 부위의 메칠화 양상의 이상으로 인한 overgrowth malformation symdrome이다. 11p15 부위에는 두 가지 imprinting center, 즉 BWSIC1 (IGF2, H19)와 BWSIC2 (LIT1, KvDMR)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methylation-specific (MS) PCR RFLP 방법을 이용한 BWS의 유전적 진단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임상 소견을 바탕으로 12명의 BWS 환자가 포함되었다. 환자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염색체 핵형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DNA에 bisulfite를 처리한 후, LIT1, H19, IGF2 DMR부위는 각각의 MS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적절한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절단 여부를 PAGE로 확인함으로써 각각의 DMR 부위에 대한 메칠화 이상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 12명의 환자는 모두 정상 핵형을 보였다. MS-PCR RFLP 상 총 7명(53.8%)의 환자가 이상 소견을 보였으며, 모두 BWSIC2 (LIT1)에 비정상적 메칠화를 보였고 모두 부계 유래의 비메칠화된 allele만이 발견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MS-PCR RFLP 검사로 BWS 환자의 약 50-60% 정도에서 유전적 진단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BWSIC2 부위의 메칠화 이상을 발견하는데 손쉽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BWSIC1 부위의 메칠화 이상은 발견이 어려우며, 이 부위의 이상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메칠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Beckwith-Wiedemann syndrome (BWS) is an overgrowth malformation syndrome caused by a methylation abnormality at chromosome 11p15, consisting of two imprinting centers, BWSIC1 (IGF2, H19) and BWSIC2 (LIT1, KvDMR).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a methylation-specific(MS) PCR RFLP method for the genetic diagnosis of BW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 patients were recruited based on clinical findings. Karyotyping was performed using peripheral blood leukocytes, and genomic DNA was treated with bisulfate and amplified using methylation-specific primers. RFLP was conducted with restriction enzymes in differentially methylated regions of LIT1, H19, and IGF2.
      Results: The 12 BWS patients had normal karyotypes. Abnormal methylation patterns in the BWSIC2 (LIT1) region were identified in seven patients (58.3%) using the MS-PCR RFLP method.
      Conclusions: The MS-PCR RFLP method is a simple, economical genetic test. It detected genetic abnormalities in 50-60% of BWS patients, suggesting that it can be used as a screening test. A more precise method is required, however, to enhance the detection rate of genetic abnormalities, especially in BWSIC1 region.
      번역하기

      Purpose: Beckwith-Wiedemann syndrome (BWS) is an overgrowth malformation syndrome caused by a methylation abnormality at chromosome 11p15, consisting of two imprinting centers, BWSIC1 (IGF2, H19) and BWSIC2 (LIT1, KvDMR).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

      Purpose: Beckwith-Wiedemann syndrome (BWS) is an overgrowth malformation syndrome caused by a methylation abnormality at chromosome 11p15, consisting of two imprinting centers, BWSIC1 (IGF2, H19) and BWSIC2 (LIT1, KvDMR).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a methylation-specific(MS) PCR RFLP method for the genetic diagnosis of BW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 patients were recruited based on clinical findings. Karyotyping was performed using peripheral blood leukocytes, and genomic DNA was treated with bisulfate and amplified using methylation-specific primers. RFLP was conducted with restriction enzymes in differentially methylated regions of LIT1, H19, and IGF2.
      Results: The 12 BWS patients had normal karyotypes. Abnormal methylation patterns in the BWSIC2 (LIT1) region were identified in seven patients (58.3%) using the MS-PCR RFLP method.
      Conclusions: The MS-PCR RFLP method is a simple, economical genetic test. It detected genetic abnormalities in 50-60% of BWS patients, suggesting that it can be used as a screening test. A more precise method is required, however, to enhance the detection rate of genetic abnormalities, especially in BWSIC1 reg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감사의 글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감사의 글
      • 국문초록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cott RH, "Methylation-specific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S-MLPA) robustly detects and distinguishes 11p15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overgrowth and growth retardation" 45 : 106-113, 2008

      2 Kim GH, "MLPA applications in genetic testing" 6 : 146-154, 2009

      3 Ulaner GA, "Loss of imprinting of IGF2 and H19 in oseteosarcoma is accompanied by reciprocal methylation changes of CTCF-binding site" 12 : 535-549, 2003

      4 Bliek J, "Increased tumour risk for BWS patients correlates with aberrant H19 and not KCNQ1OT1 methylation: occurrence of KCNQ1OT1 hypomethylation in familial cases of BWS" 10 : 467-476, 2001

      5 Li M, "Imprinting status of 11p15 genes in Beckwith-Wiedemann syndrome patients with CDKN1C mutations" 74 : 370-376, 2001

      6 Reik W, "Imprinting in clusters: lessons from Beckwith-Wiedemann syndrome" 13 : 330-334, 1997

      7 Wiedemann HR, "Familial malformation complex with umbilical hernia and macroglossia: “A new syndrome?”" 13 : 223-232, 1964

      8 Weksberg R, "Beckwith-Wiedemann syndrome" 137 : 12-23, 2005

      9 Shuman C, "Beckwith-Wiedemann syndrome"

      10 Frommer M, "A genomic sequencing protocol that yields a positive display of 5-methylcytosine residues in individual DNA strands" 89 : 1827-1831, 1992

      1 Scott RH, "Methylation-specific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S-MLPA) robustly detects and distinguishes 11p15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overgrowth and growth retardation" 45 : 106-113, 2008

      2 Kim GH, "MLPA applications in genetic testing" 6 : 146-154, 2009

      3 Ulaner GA, "Loss of imprinting of IGF2 and H19 in oseteosarcoma is accompanied by reciprocal methylation changes of CTCF-binding site" 12 : 535-549, 2003

      4 Bliek J, "Increased tumour risk for BWS patients correlates with aberrant H19 and not KCNQ1OT1 methylation: occurrence of KCNQ1OT1 hypomethylation in familial cases of BWS" 10 : 467-476, 2001

      5 Li M, "Imprinting status of 11p15 genes in Beckwith-Wiedemann syndrome patients with CDKN1C mutations" 74 : 370-376, 2001

      6 Reik W, "Imprinting in clusters: lessons from Beckwith-Wiedemann syndrome" 13 : 330-334, 1997

      7 Wiedemann HR, "Familial malformation complex with umbilical hernia and macroglossia: “A new syndrome?”" 13 : 223-232, 1964

      8 Weksberg R, "Beckwith-Wiedemann syndrome" 137 : 12-23, 2005

      9 Shuman C, "Beckwith-Wiedemann syndrome"

      10 Frommer M, "A genomic sequencing protocol that yields a positive display of 5-methylcytosine residues in individual DNA strands" 89 : 1827-1831,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의학유전학회지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7-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3 0.05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