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병원기반의 뇌졸중 환자 정보관리 등록체계를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 4월부터 6월까지 G광역시 상급종합병원에 입원 및 응급실 내원 뇌졸중 환자 390명을 대상으로 질병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449959
2017
Korean
뇌졸중 ; 등록체계 ; 병원기반 ; Stroke ; Registration System ; Hospital-Based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7-43(1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병원기반의 뇌졸중 환자 정보관리 등록체계를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 4월부터 6월까지 G광역시 상급종합병원에 입원 및 응급실 내원 뇌졸중 환자 390명을 대상으로 질병관...
본 연구는 병원기반의 뇌졸중 환자 정보관리 등록체계를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 4월부터 6월까지 G광역시 상급종합병원에 입원 및 응급실 내원 뇌졸중 환자 390명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뇌졸중학회 등에서 적용하는 지표를 활용하였다. 등록변수의 등록률을 확인 1차 변수로 선정, 문헌재검토와 전문가 의견조회를 통한 추가변수 확인 후 등록변수를 확정하였다. 분석결과, 30% 미만의 등록률은 총 10개의 변수로 전체 변수의 12.3%, 30~69%의 등록률의 경우는 총 15개 변수로 전체변수의 18.5%, 70% 이상의 등록률의 경우는 총 56개로 전체 변수의 69.1%를 차지하였다. 의무기록 자료를 조사한 결과 총 81개 변수 중 10개 변수를 제외한 71개 변수를 의무기록실에서 등록 가능한 변수로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등록률, 진료과에서 입력한 KSR과 의무기록사 입력 자료의 일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진의 의무기록 작성에 대한 정확도와 충실도가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hospital-based manual for registration system,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relevant information of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Data collected from 390 stroke patients who presented to emergency room and were admit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hospital-based manual for registration system,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relevant information of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Data collected from 390 stroke patients who presented to emergency room and were admitted to G Hospital April 2011 through May 2011 were evaluated by 3 sets of criteria: Stroke investigation form,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ute stroke investigation form,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Korean Stroke Registry (KSR), Korean Stroke Society. Based on analysis of two-month registration data, the number of parameters with 30% or less registration rate was 10 (12.3% of all parameters). 15 parameters (18.5% of all) showed 30~69% registration rate. Over 70% of registration rate was observed for each of 56 parameters, which accounts for 69.1% of all parameters. A hospital-based manual was developed for stroke patient registration after reviewing medical records, which excluded 10 parameters with lowest concordance, thereby establishing 71 registry parameters out of 81 parameters. accuracy and fidelity in recording are essential to ensure higher registration rate and concordance.
참고문헌 (Reference)
1 金炳彩, "전남지역에서 발생한 뇌졸중의 임상적 고찰"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4
2 고영채, "일개 병원기반 코호트에서 관찰한 장기간의 뇌졸중 재발률" 대한신경과학회 27 (27): 110-115, 2009
3 심용철,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의 재활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4 보건복지부, "대구광역시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등록관리"
5 국민건강보험공단, "뇌졸증 환자의 5명 중 4명은 60세 이상"
6 장미경, "노인의 뇌졸중의 지식 및 교육요구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7 조민우, "급성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의 1년 후 임상 지표와 건강 관련 삶의 질 비교: 일개 병원 기반의 뇌졸중 등록 체계에 등록된 환자를 중심으로" 대한신경과학회 27 (27): 28-35, 2009
8 이병철, "국내 뇌졸중의 역학" 45 (45): 1415-1421, 2002
9 Sulter, G., "Use of the barthel Index and modified rankin scale in acute stroke trials" 30 (30): 1538-1541, 1999
10 Foulkes, M. A., "The stroke data bank: design, methods,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19 (19): 547-554, 1988
1 金炳彩, "전남지역에서 발생한 뇌졸중의 임상적 고찰"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4
2 고영채, "일개 병원기반 코호트에서 관찰한 장기간의 뇌졸중 재발률" 대한신경과학회 27 (27): 110-115, 2009
3 심용철,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의 재활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4 보건복지부, "대구광역시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등록관리"
5 국민건강보험공단, "뇌졸증 환자의 5명 중 4명은 60세 이상"
6 장미경, "노인의 뇌졸중의 지식 및 교육요구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7 조민우, "급성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의 1년 후 임상 지표와 건강 관련 삶의 질 비교: 일개 병원 기반의 뇌졸중 등록 체계에 등록된 환자를 중심으로" 대한신경과학회 27 (27): 28-35, 2009
8 이병철, "국내 뇌졸중의 역학" 45 (45): 1415-1421, 2002
9 Sulter, G., "Use of the barthel Index and modified rankin scale in acute stroke trials" 30 (30): 1538-1541, 1999
10 Foulkes, M. A., "The stroke data bank: design, methods,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19 (19): 547-554, 1988
11 Kunitz, S. C., "The pilot stroke data bank: definition, design, and data" 15 (15): 740-746, 1984
12 Petty, G. W., "Survival and recurrence after first cerebral infarction" 50 (50): 208-216, 1998
13 Goldstein, L. B., "Primary prevention of ischemic stroke a guideline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council: cosponsored by the atherosclerotic peripheral vascular disease interdisciplinary working group; cardiovascular nursing council; clinical cardiology council;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council; and the quality of care and outcomes research interdisciplinary working group: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ffirms the value of this guideline" 37 (37): 1583-1633, 2006
14 Sacco, R. L., "Predictors of mortality and recurrence after hospitalized cerebral infarction in an urban community: The Northern Mangattan stroke study" 44 (44): 626-634, 1994
15 Burn, J., "Long-term risk of recurrent stroke after a first-ever stroke. The Oxfordshire Community Stroke Project" 25 : 333-337, 1994
16 Hankey, G. J., "Long-term risk of first recurrent stroke in the perth community stroke study" 29 (29): 2491-2500, 1998
17 Hillen, T., "Cause of stroke recurrence is multifactorial: patterns, risk factors, and outcomes of stroke recurrence in the South London Stroke Register" 34 : 1457-1463, 2003
18 Gent, M., "A secondary prevention, randomized trial of suloctidil In patients with a recent history of thromboembolic stroke" 16 (16): 416-424, 1995
19 Adams, H. P., "3d. Classification of subtype of acute ischemic stroke. Definitions for use in a multicenter clinical trial. TOAST.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 24 : 35-41, 1993
20 통계청, "2016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2017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의과와 한의학 의료기관 중복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근골격계 질병 중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 종단적 관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