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지역 다문화가족 부부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가족요인의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77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부부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가족요인을 분석하여 그들의 문화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부부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가족요인을 분석하여 그들의 문화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부부 205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부부의 문화적응정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남편의 경우는 직업과 경제적 수준에 따라, 부인은 연령, 학력, 가정경제, 직업유무, 출신국가에 따라 집단 간의 문화적응정도에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둘째,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부부를 대상으로 가족요인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편의 문화적응에는 의사소통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인의 문화적응에는 가족 결속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가족 의사소통과 결속력은 농촌지역 다문화가족 부부의 문화적응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함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를 기초로 그들의 문화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the basis to social welfare practice for improving the cultural adaptation of couples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rural areas. The study subjects were 205 individuals living in the Gyeongsangbuk-do. Firstly...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the basis to social welfare practice for improving the cultural adaptation of couples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rural areas. The study subjects were 205 individuals living in the Gyeongsangbuk-do. Firstly,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cultural adaptation of couple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In contrast, age, occupation, economic status, and nationality affected the cultural adaptation. Secondly, to validate the effects of these familial factors on the cultural adaptation of couple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communication affected men`s adaptation and social cohesion affected women`s adaptation. Therefore, familial factors are likely to improve the cultural adaptation of couple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n interventional approach for social welfare pract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금혜,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6

      2 최선희, "한국가족의 건강성영역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1999

      3 금명자, "탈북 청소년의 문화 적응 과정 이해"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295-308, 2004

      4 옥선화, "청소년자녀기 가족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척도개발 연구: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4 (44): 59-73, 2006

      5 최태일, "주한 외국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6 최혜지,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63-194, 2009

      7 문은희, "여성결혼 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여가참여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8 보건복지부, "여성 결혼이민자 생활실태 조사결과 및 보건복지부 대책방안" 2005

      9 이승종,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1996

      10 김이선, "다문화가정의 해체문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1 최금혜,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6

      2 최선희, "한국가족의 건강성영역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1999

      3 금명자, "탈북 청소년의 문화 적응 과정 이해"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295-308, 2004

      4 옥선화, "청소년자녀기 가족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척도개발 연구: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4 (44): 59-73, 2006

      5 최태일, "주한 외국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6 최혜지,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63-194, 2009

      7 문은희, "여성결혼 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여가참여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8 보건복지부, "여성 결혼이민자 생활실태 조사결과 및 보건복지부 대책방안" 2005

      9 이승종,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1996

      10 김이선, "다문화가정의 해체문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11 장덕희,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실태와 지원방안" 2007

      12 권복순,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09-134, 2006

      13 이동필, "농어촌 지역복지분야 지원체계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4 심선진, "국제결혼과 여성폭력: 국제결혼한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전라남도 여성정책과 2004

      15 정일선, "경상북도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분석"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10

      16 이경은, "경북지역 예비사회복지사의 문화역량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사회복지협의회 2010

      17 유영은,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문화적응에 관한 사례연구와 지원방안: 경기도 북부지역 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18 장온정, "결혼이민자가정 한국인 남편의 가족관련 가치관 및 문화적응태도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21 (21): 1-27, 2009

      19 장덕희, "결혼이민여성을 위한 공식적 지지가 정신건강과 문화적응에 가지는 효과" 여성학연구소 3 (3): 67-97, 2010

      20 이경은, "가족자원봉사경험과 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63-87, 2003

      21 김정옥, "가족스트레스. 가족체제유형, 가족복지와의 관계 분석" 33 (33): 1995

      22 Sykes, I. J., "Transitional stres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train" 6 : 293-298, 1987

      23 Curran, D., "Traits of a Healthy Family" Winston Press, Inc 1983

      24 Bennett M, J., "Toward ethno-relativism: A 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Education for the intercultural experience" Intercultural Press 21-71, 1993

      25 Walsh, F., "The timing of symptoms and critical events in the family life cycle, in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family life cycle" Aspen 1983

      26 Satir, V., "The new people making" Science & Behavior Book 1988

      27 Skinner, H., "The family assessment measure" 2 : 91-105, 1983

      28 Suinn, R. M., "The Suinn-Lew Asian Self-Identify Acculturation Scale: Concurrent and factorial validation" 52 : 1041-1046, 1992

      29 Gudykunst, W. B., "Strangers and hosts: An uncertainty reduction based theory of intercultural adaptation, in Cross-cultural Adaptation: Current Approaches" Sage 106-139, 1988

      30 Camilleri, C., "Socialization and identity strategies, in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2. basic processes and human development" Allyn & Bacon 41-67, 1997

      31 Poyrazil, S.,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Correlates of Acculturative Stress in International Students" 7 : 73-82, 2004

      32 Cderblad, M., "Sense of coherence: A concept influenc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a Swedish psychiatric at risk group" 32 : 194-199, 1996

      33 Stinnett, N., "Secrets of strong families" Little, Brown & Co 1985

      34 Rutter, M., "Resilience in the face adversity: Protect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57 : 316-331, 1985

      35 Beavers, W. R., "Psychotherapy and growth" 28 : 1997

      36 Berry, J. W., "Psychology of acculturation: Understanding individuals moving between culture, in Applied cross-cultural psychology" sage 232-253, 1990

      37 Forgatch, M. S., "Patterns and outcome in family problem solving; the disrup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51 : 1989

      38 Patterson, J. M., "Integrating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stress theory" 64 (64): 349-360, 2002

      39 Berry, J. W.,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46 (46): 5-68, 1997

      40 Minde, T., "Foreign student adaptation at Queen's Univ" Queen's University 1985

      41 Antonosky, A., "Family sense of coherence and family adaptation" 50 : 79-82, 1988

      42 Marin, G., "Development of a short acculturation scale for Hispanics" 9 : 183-205, 1987

      43 Atikinson, D. R., "Counseling American Minorities" McGraw-Hill 1998

      44 Montgomery, G, T., "Comfort with acculturation status among students from South Texas" 14 : 201-223, 1992

      45 Markman, H. J., "Coding marital and family interaction; Current status, in Family Interaction and Psychology; Theories, methods, and finding" Plenum Press 1987

      46 Lambert, W. E., "Assimilation versus multiculturalism: Views from a community in France" 5 : 387-411, 1990

      47 Nwadiora, E., "Acculturative Stress Among American Refugees: Gender and Racial Differences" 31 (31): 477-487, 1996

      48 Naidoo, J., "A cultural perspective on the adjustment of south Asian women in Canada, i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studies of behavior across cultures" 76-92,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17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