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 민족은 3세기부터 발칸지역으로 이주를 시작하고, 7세기 대규모 민족이동을 통해 현재 거주지에 정착을 한다. 크로아티아 민족이 이동한 지역은고대 로마의 발칸 일리리쿰 지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867600
2017
-
크로아티아인 ; 일리리아인 ; 일리리쿰 ; 슬라브 민족이동 ; 정체성 변동 illyria ; illyricum ; slav ; croatia ; identity-change ; identity-shift16
920
KCI등재
학술저널
79-101(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크로아티아 민족은 3세기부터 발칸지역으로 이주를 시작하고, 7세기 대규모 민족이동을 통해 현재 거주지에 정착을 한다. 크로아티아 민족이 이동한 지역은고대 로마의 발칸 일리리쿰 지역...
크로아티아 민족은 3세기부터 발칸지역으로 이주를 시작하고, 7세기 대규모 민족이동을 통해 현재 거주지에 정착을 한다. 크로아티아 민족이 이동한 지역은고대 로마의 발칸 일리리쿰 지역이었고 이 지역 원주민은 다양한 민족기원에도불구하고 하나의 일리리아인으로 살아가고 있었다. 다양한 사회․정치적 원인으로 7세기 이후 발칸지역의 일리리아 정체성은 새로운 슬라브 정체성으로 변화했고. 9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크로아티아 정체성이 등장한다. 크로아티아 지역에서 나타났던 정체성 변동을 단순히 대규모 민족이동으로 인한 인구교체나 문화교체로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남는다. 발칸지역 원주민과 슬라브인이 융합하면서 발생한 인종 및 지역 정체성의 문제는 다양한 주변적 환경 분석을 통해 명확해 질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대규모 슬라브 민족이동이 시작되는 중세 시대의 발칸 일리리쿰의 상황과 정체성 형성과정을 다양한 가설을
비교하여 분석해보았다. 9세기에 등장하는 크로아티아 정체성은 로마제국의 발칸 일리리쿰 지역에서 발생하였던 단계적인 정체성 전환을 통해 만들어진 최종결과물이 아닌 새로운 정체성의 출현이었다. 크로아티아 정체성이 확립된 이후
에도 일리리쿰과 일리리아 개념은 남슬라브주의, 유고슬라비아주의로 그 이름을 바꾸어 가며 오랫동안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핵심 이데올로기로 재탄생한다.
그리고 현대 크로아티아인에게도 일리리아라는 개념은 크로아티아인이 가졌던 가장 우월한 문명에 대한 동경으로, 자랑스러운 민족의 뿌리로 지속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3rd century, Croatian people had started to move to Balkans and settled down in the current area through mass migration in the 7th century. The area Croatian people migrated was the Balkan Illyricum of ancient Roman and the indigenous people...
From the 3rd century, Croatian people had started to move to Balkans and settled down in the current area through mass migration in the 7th century. The area Croatian people migrated was the Balkan Illyricum of ancient Roman and
the indigenous people of this area had lived as a single Illyrian despite their diverse ethnic origins. Due to the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reasons, Illyrian identity in Balkans changed to new Slavic identity after the 7th century, and
shifted to Croatian identity since the 9th century. It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identity-shift taken place in Croatian area with simple population or cultural changes caused by the mass migration. The racial and regional identity issues
occurred with the blend of the natives of Balkans and Slavs can be clarified through analyzing the various surrounding environments.
In this study,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circumstances and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the Balkan Illyricum of the middle ages when the mass migration of Slavs started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ng various hypotheses.
The appearance of the Croatian identity in the 9th century was the final result of the gradual identity-shift taken place in the Balkan Illyricum area after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But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roatian identity,
Illyricum and Illyrian identity had been reborn for a long time as the key ideology of the nationalist movement changing its name to South Slavism and Yogoslavism. And until now, the Illyrian identity still remains in the heart of
modern Croatian as the adoration for the western cul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재, "민족적 기원의 역사를 통해본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차이" 7 (7): 135-156, 2003
2 "네이버 백과사전" 2017
3 Fine, John V. A. Jr, "When ethnicity did not matter in the Balkans: a study of identity in pre-nationalist Croatia, Dalmatia, and Slavonia in the medieval and early-modern period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6
4 Katičić, Radoslav, "Uz početke hrvatskih početaka" Književni Krug 1993
5 Curta, Florin, "The making of the slavs :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Lower Danube Region, ca. 500-7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6 Čače, Slobodan, "The civitates Damatiae in the cosmographia of the Anonymous Geographer of Ravenna" 15 : 347-439, 1993
7 Sakač, Stijepan, "The Croatian Nation in its struggle for freedom and independence" Croatia Cultural Publ. Center 40-46, 1955
8 Pohl, Walter, "Strategies of Distinction: The Constrtuction of Ethnic Communities 300-800" Brill Academic Pub 17-70, 1998
9 Pavličević, Dragutin, "Povijest Hrvatske. 4" Naklada Pavičić 2007
10 Klaić, Nada, "Povijest Hrvata u srednjem vijeku" Globus 1990
1 권혁재, "민족적 기원의 역사를 통해본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차이" 7 (7): 135-156, 2003
2 "네이버 백과사전" 2017
3 Fine, John V. A. Jr, "When ethnicity did not matter in the Balkans: a study of identity in pre-nationalist Croatia, Dalmatia, and Slavonia in the medieval and early-modern period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6
4 Katičić, Radoslav, "Uz početke hrvatskih početaka" Književni Krug 1993
5 Curta, Florin, "The making of the slavs :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Lower Danube Region, ca. 500-7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6 Čače, Slobodan, "The civitates Damatiae in the cosmographia of the Anonymous Geographer of Ravenna" 15 : 347-439, 1993
7 Sakač, Stijepan, "The Croatian Nation in its struggle for freedom and independence" Croatia Cultural Publ. Center 40-46, 1955
8 Pohl, Walter, "Strategies of Distinction: The Constrtuction of Ethnic Communities 300-800" Brill Academic Pub 17-70, 1998
9 Pavličević, Dragutin, "Povijest Hrvatske. 4" Naklada Pavičić 2007
10 Klaić, Nada, "Povijest Hrvata u srednjem vijeku" Globus 1990
11 Matasović, Ranko, "Poredbenopovijesna gramatika hrvatskoga jezika" Matica hrvatska 2008
12 Gluhak, Alemko, "Podrijetlo imena Hrvat" Jezik 128-135, 1990
13 Mandić, Dominikus, "Kroaten und Serben - zwei alte verschiedene Völker" Funk-Druck 1989
14 Ančić, Mladen, "Hrvatska u karolinško doba" Muzej hrvatskih arheoloških spomenika 2001
15 Mužić, Ivo, "Hrvatska povijest devetoga stoljeća" Naklada Bošković 2007
16 Milošević, Ante, "Hrvati i karolinzi" Muzej hrvatskih arheoloških spomenika 2000
17 Budak, Neven, "Frank, Northmen and Slavs: Identities and State Formation in Early Medieval Europe" Brepols 223-241, 2008
18 Mužić, Ivo, "Emergence of Croatian People in the Balkans" 35 : 19-41, 2008
19 Pilar, Ivo, "Eine Geschichte Kroatiens, Serbiens und Bosniens" Heiligenhof 1995
20 Margetić, Lujo, "Dolazak Hrvata" Književni Krug 2001
21 Šimunović, Pero, "Croatia in the Early Middle Ages: A Cultural Survey" Wilson, Zagreb: AGM 401-414, 1999
22 DAI, "Constantine Porphyrogenitus, De Administrando Imperio" Dumbarton Oaks Center for Byzantine Studies 2002
23 Moravsik, Gyula, "Byzantinoturcica. 2" Akad. Verl 1958
24 Dazino, Danijel, "Become Slav, Becoming Croat: identity transformation in post-Roman and early medieval Dalmatia" Brill Academic Pub 2010
Serbia’s delayed transformation
Syntactic Conditions of the Non-projective Constructions in Czech
시(詩)의 혁명: 커샥 러이오쉬(Kassák Lajos)의 아방가르드 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