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 교육은 의미 파악에서 출발해서 형태에 대한 올바른 파악과 그것의 정확한 사용에까지 이르러야 한다. 그리고 의미들 간의 다양한 관계나 형태를 통해 어휘의 양을 스스로 늘려 나갈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28147
2016
Korean
710
KCI등재
학술저널
97-137(4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어휘 교육은 의미 파악에서 출발해서 형태에 대한 올바른 파악과 그것의 정확한 사용에까지 이르러야 한다. 그리고 의미들 간의 다양한 관계나 형태를 통해 어휘의 양을 스스로 늘려 나갈 ...
어휘 교육은 의미 파악에서 출발해서 형태에 대한 올바른 파악과 그것의 정확한 사용에까지 이르러야 한다. 그리고 의미들 간의 다양한 관계나 형태를 통해 어휘의 양을 스스로 늘려 나갈 수 있는 학습 능력을 길러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직접적 학습은 짧은 시간 안에 학습자의 어휘량을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고 새 어휘를 이해하거나 어휘의 사용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는 더욱 필요하다.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어휘 교육이 의미 부분에 치중되어 있었으므로 앞으로 어휘 교육은 형태 교육과 의미 교육의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의미 교육에서는 지나친 사고 확장을 목적으로 하는 방법 대신 앞으로 지속되고 강화되어야 하는 부분을 기술하였다. 형태 교육에서는 어휘의 사용이나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파생가지와 풀이씨의 꼴바뀜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법을 수립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ocabulary education basically begins with learning its meaning and having knowledge for the form and usage. In addition it has to increase students vocabulary skills. For this reason, Vocabulary education should be used both as direct method of teach...
Vocabulary education basically begins with learning its meaning and having knowledge for the form and usage. In addition it has to increase students vocabulary skills. For this reason, Vocabulary education should be used both as direct method of teaching for the vocabularys more information and learning through context of the passage for the acquiring and extension of Vocabulary.
Teaching for the form can help increase of vocabulary amount rapidly, understand new word easily and use in the sentence because student pay more attention through activities focused on vocabulary by planed education, so it is useful in foreign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iciency teaching method step by step for affix and conjugation as impotance roles for the usage and increasing amount of vocabulary skills based on vocabulary education should have balance of form and mean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I also suggested that we should focus more on extending the meaning from basic concept to surrounding concept of the word, meaning relations, degree of meaning information and when the word has different cultural meaning and usage, rather than using method to extend thinking too muc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 계곤, "현대국어의 조어법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31-227, 1996
2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2003
3 김형복,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의 교수-학습 순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3-41, 2004
4 강 현화,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방법론의 이론과 실제" 25-, 2013
5 김지영, "한국어 어휘 교육 항목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93-114, 2004
6 이유경,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를 위한 이론의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135-160, 2009
7 조 현용,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39-143, 2000
8 임지아, "한국어 교육용 어휘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6
9 강명희, "의미 범주화를 통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 :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10 양순임, "음절 말 자음과 관련된 변동규칙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21-144, 2004
1 김 계곤, "현대국어의 조어법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31-227, 1996
2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2003
3 김형복,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의 교수-학습 순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3-41, 2004
4 강 현화,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방법론의 이론과 실제" 25-, 2013
5 김지영, "한국어 어휘 교육 항목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93-114, 2004
6 이유경,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를 위한 이론의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135-160, 2009
7 조 현용,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39-143, 2000
8 임지아, "한국어 교육용 어휘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6
9 강명희, "의미 범주화를 통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 :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10 양순임, "음절 말 자음과 관련된 변동규칙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21-144, 2004
11 하 치근, "우리말 파생형태론" 도서출판 경진 484-499, 2010
12 이 대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불규칙 동사의 교육 방법" 이중언어학회 (17) : 260-261, 2000
13 이유경,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 지식 평가를 통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질적 지식의 평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161-182, 2012
14 신형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어휘 교수·학습 방안 제안 -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97-224, 2010
15 Paul Nation,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방법" 소통 52-, 2001
16 한송화,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93-316, 2004
17 김은혜, "연상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의미 교육 연구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18 David Singleton, "언어의 중심 어휘" 삼경문화사 216-, 2005
19 이 영숙, "어휘력과 어휘지도: 어휘력의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5 (25): 15-, 1997
20 김 광해, "어휘 현상과 교육" 도서출판 박이정 265-267, 2003
21 이 영희, "어휘 지도의 필요성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28) : 224-, 2007
22 신명선, "어휘 교육의 목표로서의 어휘 능력(lexical competence)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13) : 263-296, 2004
23 국립국어원,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프로그램"
24 주세형, "국어과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한국독서학회 (14) : 373-400, 2005
25 김 한샘, "국어 파생어 교육 연구" 102-104, 2013
26 구본관, "교육 내용으로서의 어휘사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1) : 77-127, 2008
27 孫英愛, "國語 語彙 指導 方法의 比較 硏究 : 漢字 利用 與否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28 곽재용, "‘한국어 교육과정’ 부록에 제시된 어휘 목록 분석" 배달말학회 (51) : 305-328, 2012
29 "http: //www.korea.go.kr"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3 | 1.332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