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훈민정음 초성의 배열과 음양오행 원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28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훈민정음 초성자의 배열 순서에 내재된 오행 원리와 초성자의 제자에 내재된 음양오행 원리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제자해」를 보면 초성자는 두 가지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초성 기본자의 자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아설순치후’의 순서로 초성자가 배열되었고, ‘오행, 오방’ 등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후아설치순’의 순서로 배열되었다. 본고에서는 ‘후아설치순’의 배열 순서에 주목하였는데, ‘후아설치순’의 배열이 오행의 처음 생하는 초생의 순서에 부합함을 새롭게 밝혔다.
      「제자해」[정음해례3ㄱ]에는 ‘是則初聲之中, 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라고 하여 오행의 원리와 더불어 음양의 원리가 적용됨을 강조하였지만, 실제 설명에서 초성의 음양 원리는 문장 액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초성의 음양 원리가 오성, 오행, 오시, 오방 등의 배열 항목에 내재되어 있고, 초성 23자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태극을 이루면서 오음마다 작은 차원의 태극을 이룬다는 사실을 밝혔다.
      번역하기

      본고는 훈민정음 초성자의 배열 순서에 내재된 오행 원리와 초성자의 제자에 내재된 음양오행 원리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제자해」를 보면 초성자는 두 가지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고는 훈민정음 초성자의 배열 순서에 내재된 오행 원리와 초성자의 제자에 내재된 음양오행 원리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제자해」를 보면 초성자는 두 가지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초성 기본자의 자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아설순치후’의 순서로 초성자가 배열되었고, ‘오행, 오방’ 등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후아설치순’의 순서로 배열되었다. 본고에서는 ‘후아설치순’의 배열 순서에 주목하였는데, ‘후아설치순’의 배열이 오행의 처음 생하는 초생의 순서에 부합함을 새롭게 밝혔다.
      「제자해」[정음해례3ㄱ]에는 ‘是則初聲之中, 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라고 하여 오행의 원리와 더불어 음양의 원리가 적용됨을 강조하였지만, 실제 설명에서 초성의 음양 원리는 문장 액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초성의 음양 원리가 오성, 오행, 오시, 오방 등의 배열 항목에 내재되어 있고, 초성 23자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태극을 이루면서 오음마다 작은 차원의 태극을 이룬다는 사실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ystematic Yin-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of choseongs assignment and assignments order in Hunminjeongeum. There is two different assignment of choseong in 『Jejahae』(制字解). The assignment of ‘喉牙舌齒脣’ fits up the very beginning order of the Five Elements. In Hunminjeongeum, choseong was assigned at the five Elements(五行), the Direction(五方), the season(五時), the O-eum(五音) and the O-seong(五聲). It fit up philosophical principle of the Five Elements(五行).
      Although the philosophical of Yin-Yang(陰陽) didnt appear in Hunminjeongeum. But the every consonant of Hangeul all has the principle of Yin-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In 「Jejahae」(制字解), won-hyeong-i-jeong(元亨利貞) and the four season start from Jeong(貞) and winter respectively. Jeong(貞) and winter are the beginning of all the creation as well as the en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ystematic Yin-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of choseongs assignment and assignments order in Hunminjeongeum. There is two different assignment of choseong in 『Jejahae』(制字解). The assi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ystematic Yin-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of choseongs assignment and assignments order in Hunminjeongeum. There is two different assignment of choseong in 『Jejahae』(制字解). The assignment of ‘喉牙舌齒脣’ fits up the very beginning order of the Five Elements. In Hunminjeongeum, choseong was assigned at the five Elements(五行), the Direction(五方), the season(五時), the O-eum(五音) and the O-seong(五聲). It fit up philosophical principle of the Five Elements(五行).
      Although the philosophical of Yin-Yang(陰陽) didnt appear in Hunminjeongeum. But the every consonant of Hangeul all has the principle of Yin-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In 「Jejahae」(制字解), won-hyeong-i-jeong(元亨利貞) and the four season start from Jeong(貞) and winter respectively. Jeong(貞) and winter are the beginning of all the creation as well as the e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벼리〉
      • 1. 머리말
      • 2. 초성의 배열에 내재된 오행 원리
      • 3. 초성 23자에 내재된 음양 원리
      • 4. 맺음말
      • 〈벼리〉
      • 1. 머리말
      • 2. 초성의 배열에 내재된 오행 원리
      • 3. 초성 23자에 내재된 음양 원리
      • 4. 맺음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