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암호통신감청 및 온라인수색에서 부수처분의 허용과 한계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암호통신감청과 온라인수색에 관한 독일의 관련 규정들
      • Ⅲ. 감시소프트웨어의 설치 방법
      • Ⅵ. 부수처분의 허용 기준과 그 한계
      • 국문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암호통신감청과 온라인수색에 관한 독일의 관련 규정들
      • Ⅲ. 감시소프트웨어의 설치 방법
      • Ⅵ. 부수처분의 허용 기준과 그 한계
      • V.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선기, "테러방지법상 국정원 정보수집권한에 대한 개정논의 - 최근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판결과의 비교검토 -" 한국법정책학회 17 (17): 439-464, 2017

      2 이상학, "테러방지 수권규정과 기본권침해의 한계 - 독일연방수사청법의 테러방지권한에 대한 연방헌법재판소의 판결(2016.4.20.)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109-134, 2016

      3 정문식, "테러방지 감시조치에 대한 위헌심사기준" 한국법정책학회 18 (18): 3-43, 2018

      4 허황, "최근 개정된 독일 형사소송법 제100조b의 온라인 수색(Online-Durchsuchung)과 제100조a의 소스통신감청(Quellen-Telekommunikationsüberwachung)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58) : 94-141, 2018

      5 박희영, "예방 및 수사목적의 온라인 비밀 수색의 허용과 한계" 법학연구소 28 (28): 153-186, 2012

      6 박희영, "수사 목적의 암호통신감청(Quellen TKÜ)의 허용과 한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9 (29): 25-60, 2018

      7 이상학, "사이버 정보활동의 기본원칙과 한계" 부설법학연구소 41 : 399-424, 2014

      8 김성룡, "독일 형사소송법 최근 개정의 형사정책적 시사 - 수사절차를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29 (29): 247-275, 2017

      9 박희영,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정보기술 시스템의 기밀성 및 무결성 보장에 관한 기본권'" 법무부 (45) : 92-123, 2009

      10 박희영, "국가의 합법적인 해킹행위로서 온라인 수색에 관한 독일 법제 동향" 한국법제연구원 (1) : 55-73, 2019

      1 홍선기, "테러방지법상 국정원 정보수집권한에 대한 개정논의 - 최근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판결과의 비교검토 -" 한국법정책학회 17 (17): 439-464, 2017

      2 이상학, "테러방지 수권규정과 기본권침해의 한계 - 독일연방수사청법의 테러방지권한에 대한 연방헌법재판소의 판결(2016.4.20.)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109-134, 2016

      3 정문식, "테러방지 감시조치에 대한 위헌심사기준" 한국법정책학회 18 (18): 3-43, 2018

      4 허황, "최근 개정된 독일 형사소송법 제100조b의 온라인 수색(Online-Durchsuchung)과 제100조a의 소스통신감청(Quellen-Telekommunikationsüberwachung)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58) : 94-141, 2018

      5 박희영, "예방 및 수사목적의 온라인 비밀 수색의 허용과 한계" 법학연구소 28 (28): 153-186, 2012

      6 박희영, "수사 목적의 암호통신감청(Quellen TKÜ)의 허용과 한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9 (29): 25-60, 2018

      7 이상학, "사이버 정보활동의 기본원칙과 한계" 부설법학연구소 41 : 399-424, 2014

      8 김성룡, "독일 형사소송법 최근 개정의 형사정책적 시사 - 수사절차를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29 (29): 247-275, 2017

      9 박희영,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정보기술 시스템의 기밀성 및 무결성 보장에 관한 기본권'" 법무부 (45) : 92-123, 2009

      10 박희영, "국가의 합법적인 해킹행위로서 온라인 수색에 관한 독일 법제 동향" 한국법제연구원 (1) : 55-73, 2019

      11 Gercke, Björn, "Überwachung der Telekommunikation von der Ausnahme zur Regel, Heim, Maximilian, Staatstrojaner im Einsatz" 120-, 2018

      12 Sankol, Barry, "Überwachung der Internet-Telefonie: Ein Schatten im Lichte der §§100a ff. StPO" 13-18, 2008

      13 Schneider, Hartmut, "Zur Zulässigkeit strafprozessualer Begleitmaßnahmen im Zusammenhang mit dem Abhören des nicht öffentlich gesprochenen Wortes" 388-391, 1999

      14 Buermeyer, Ulf, "Zum Begriff der "laufenden Kommunikation" bei der Quellen-Telekommunikationsuberwachung ("Quellen-TKU")" S. 470-, 2013

      15 Hoffmann-Riem, "Wolfgang, Der grundrechtliche Schutz der Vertraulichkeit und Integrität eigengenutzter informationstechnischer Systeme" 1009-1022, 2008

      16 Schmalenbach, Kirsten, "Wenn der Staat lügt: Desinformation im demokratischen Rechtsstaat" (12) : 1357-1361, 2005

      17 Hiéramente, Mayeul, "Telekommunikationsüberwachung und Cloud Computing" S. 365-S. 374, 2015

      18 Roggan, Frederik Die, "Technikoffenheit“ von strafprozessualen Ermittlungsbefugnissen und ihre Grenzen. Die Problematik der Auslegung von Gesetzen über ihren Wortlaut oder Wortsinn hinaus" 1995-1999, 2015

      19 Blechschmitt, Lisa, "Strafverfolgung im digitalen Zeitalter, Auswirkungen des stetigen Datenaustauschs auf das strafrechtliche Ermittlungsverfahren" 361-366, 2018

      20 Pohlmann, Norbert, "Strafverfolgung darf die IT-Sicherheit im Internet nicht schwächen" 37-44, 2018

      21 Freiling, Felix, "Quellen-TKÜ und Online-Durchsuchung als neue Maßnahmen für die Strafverfolgung:Rechtliche und technische Herausforderungen" 9-22, 2018

      22 홍영기, "Nemo tenetur-원칙" 법학연구원 (66) : 305-338, 2012

      23 Singelnstein, Tobias, "Möglichkeiten und Grenzen neuerer strafprozessualer Ermittlungsmaßnahmen - Telekommunikation, Web 2.0., Datenbeschlagnahme, polizeiliche Datenverarbeitung & Co" 593-606, 2012

      24 Kutscha, Martin, "Mehr Schutz von Computerdaten durch ein neues Grundrecht?" 1042-1044, 2008

      25 Müller, Wolfgang, "Legendierte Kontrollen - Die gezielte Suche nach dem Zufallsfund" 543-547, 2012

      26 Soiné, Michael, "Kriminalistische List im Ermittlungsverfahren" (11) : 596-602, 2010

      27 Becker, Florian, "Grundrechtliche Grenzen staatlicher Überwachung zur Gefahrenabwehr" 1335-1340, 2015

      28 Soiné, Michael, "Eingriffe in informationstechnische Systeme nach dem Polizeirecht des Bundes und der Länder" 1585-1589, 2012

      29 Roggan, Frederik, "Die strafprozessuale Quellen-TKÜ und Online-Durchsuchung:Elektronische Überwachungsmaßnahmen mit Risiken für Beschuldigte und die Allgemeinheit" 821-829, 2017

      30 Soiné, Michael, "Die strafprozessuale Online-Durchsuchung" (9) : 497-504, 2018

      31 Tinnefeld, "Die "Staatstrojaner" aus verfassungsrechtlicher Sicht - Gedanken zum ... Landesbeauftragten für den Datenschutz" 451-454, 2012

      32 Derin, Benjamin, "Der Staat als Manipulant und Saboteur der IT-Sicherheit?, Die Zulässigkeit von Begleitmaßnahmen zu "Online-Durchsuchung" und Quellen-TKÜ" 1111-1116, 2019

      33 Kutscha, Martin, "Das „Computer-Grundrecht“ eine Erfolgsgeschichte?" 391-394, 2012

      34 Roggan, Fredrik, "Das neue BKA-Gesetz Zur weiteren Zentralisierung der deutschen Sicherheitsarchitektur" 257-262, 2009

      35 Sachs, Michael, "Das neue "Grundrecht auf Gewährleistung der Vertraulichkeit und Integrität informationstechnischer Systeme"" 481-486, 2008

      36 Roßnagel, Alexander, "Das Grundrecht auf Gewährleistung der Vertraulichkeit und Integrität informationstechnischer Systeme und sein Einfluss auf das Privatrecht" 3534-3538, 2008

      37 Singelnstein, Tobias, "Das Gesetz zur effektiveren und praxistauglicheren Ausgestaltung des Strafverfahrens. Was aus der StPO-Reform geworden ist" 2646-2652, 2017

      38 Nowrousian, Bijan, "Darf der Beschuldigte im Ermittlungsverfahren getäuscht werden?- Zur grundsätzlichen Zulässigkeit aktiver Täuschung im Ermittlungsverfahren" (11) : 625-628, 2015

      39 Bär, Wolfgang, "Anmerkung zu AG Bayreuth" 266-26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Criminal Justice Policy ->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 Korean Institute of Criminal Justice Policy KCI등재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yiyuyr of Criminology ->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KCI등재
      2005-05-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Criminalogy -> Korean Insyiyuyr of Criminology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형사정책연구
      외국어명 :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8 1.68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5 1.66 1.737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