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탈북 박사부부가 본 북한 : 딜레마와 몸부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315497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매봉, 2013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01.09519 판사항(22)

      • ISBN

        9788992799089 93340 : ₩20000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탈북 박사부부가 본 북한 : 딜레마와 몸부림 / 김병욱, 김영희 공저

      • 형태사항

        438 p. : 삽화, 도표, 서식 ; 23 cm

      • 총서사항

        매봉통일연구소총서 ; 11

      • 일반주기명

        부록: 1. 북한의 간부 이력서, 2.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
        참고문헌 및 서지적 각주 수록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목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추천사
      • 필자들의 이야기
      • 제1장 선군시대 북한주민들의 사회적 신분변화 = 1
      • Ⅰ. 서론 = 3
      • 목차
      • 추천사
      • 필자들의 이야기
      • 제1장 선군시대 북한주민들의 사회적 신분변화 = 1
      • Ⅰ. 서론 = 3
      • 1. 연구배경 및 목적 = 3
      • 2. 연구의 제문제 = 5
      • Ⅱ. 북한주민들의 사회적 신분 = 8
      • 1. 사회적 신분의 일반적 개념 = 8
      • 2. 북한의 사회적 신분에 대한 이해 = 11
      • 3. 사회적 신분의 발생구조 = 18
      • Ⅲ. 계층을 단위로 한 사회적 신분변화 = 23
      • 1. 사회적 신분변화 배경 = 23
      • 2. 사회적 신분변화의 심리적 동기: 미래형 경제신분 욕구 증가 = 33
      • Ⅳ.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한 사회적 신분변화 = 35
      • 1. 사회적 신분변화 배경 = 35
      • 2. 사회적 집단을 단위로 한 사회적 신분변화 원인 = 40
      • 3. 선군시대 사회적 신분변화에서 주목되는 점 = 43
      • Ⅴ. 결론 = 45
      • 제2장 북한의 경제난: 발생 및 지속의 동학 = 51
      • Ⅰ. 들어가며: 북한 경제난의 원인에 대한 접근 = 53
      • Ⅱ. 90년대 초 경제난 촉발원인과 실태 = 55
      • 1. 계획경제운영의 침체 = 55
      • 2. 비생산적 투자 확대 = 62
      • 3. 사회주의 시장의 붕괴 = 65
      • 4. 90년대 초 강타한 자연재해 = 69
      • Ⅲ. 경제난 지속원인과 실태 = 70
      • 1. 개혁이 없는 경제개선 = 70
      • 2. 체제수호를 위한 비생산적 축적강화 = 74
      • 3. 자립경제에 토대한 경제난 해소 = 79
      • Ⅳ. 나오며: 경제난 해소의 필수조건 = 82
      • 제3장 사회적 신분에 따른 북한관료들의 사경제활동 = 89
      • Ⅰ. 서론 = 91
      • Ⅱ. 북한사회의 관료와 관계자본의 축적개념 = 94
      • 1. 사회적 신분에서 본 북한의 관료 = 94
      • 2. 관계자본의 축적개념과 북한 = 99
      • 3. 분석틀 = 106
      • Ⅲ. 관계자본의 축적 = 110
      • 1. 정치자본의 축적 = 110
      • 2. 경제자본의 축적 = 113
      • 3. 문화자본의 축적 = 116
      • 4. 사회자본의 축적 = 119
      • Ⅳ. 사경제활동과 관계자본 축적의 연계 = 122
      • 1. 정치관료의 관계자본 축적의 영향 = 121
      • 2. 시장기능의 작동 = 126
      • Ⅴ. 결론 = 129
      • 제4장 북한사회 소비결핍에 대한 임상사회학적 접근 = 135
      • Ⅰ. 문제제기 = 137
      • 1. 연구배경과 목적 = 137
      • 2. 선행연구 분석 및 연구방법 = 139
      • Ⅱ. 소비결핍증후군에 대한 이해 = 141
      • 1. 소비결핍증후군의 정의 = 141
      • 2. 소비결핍증후군의 구분과 특징 = 143
      • 3. 분석틀: 소비결핍증후군 발병요인 = 144
      • Ⅲ. 북한주민 소비결핍증후군의 외적 및 내적소견 = 146
      • 1. 소비결핍증후군의 외적소견: 의식주 생활 = 146
      • 2. 소비결핍증후군의 소비심리적 내적소견: 소비욕구의 왜곡 = 150
      • Ⅳ. 소비결핍증후군 발병요인 = 153
      • 1. 소비결핍증후군 발병의 정책적 요인 = 153
      • 2. 소비결핍증후군 발병의 구조적 요인 = 157
      • Ⅴ. 결론 = 170
      • 제5장 북한 전시동원공장들의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과정 = 175
      • Ⅰ. 문제제기 = 177
      • Ⅱ. 개념적 고찰과 분석틀 = 181
      • 1. 산업동원준비와 북한의 전시군수생산준비에 대한 개념 = 181
      • 2. 분석틀: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과정에 대한 설명 = 186
      • Ⅲ.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과정 = 188
      • 1. 군수공장의 간부화와 전시군수생산 반자립화 = 188
      • 2. 상설적 병진공장 운영과 전시군수생산 반자립화 = 194
      • 3. 비상설적 전시동원공장의 운영과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 203
      • Ⅳ. 전시동원공장들의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변화 = 211
      • 1. 전시동원공장들의 전시군수생산 자립화와 환경적 요인과의 관계 = 212
      • 2. 전시동원공장들의 전시군수생산 자립화의 한계와 전망 = 213
      • Ⅴ. 결론 = 216
      • 제6장 선군경제운영과 민수산업 군수화 = 223
      • Ⅰ. 서론 = 225
      • Ⅱ. 민수산업 군수화에 대한 이해 = 226
      • 2. 민수산업의 생산구조상 군수화와 운영구조상 군수화 = 228
      • 3. 북한의 민수산업 군수화 역사 = 229
      • Ⅲ. 90년대 이후 민수산업 군수화 양상 = 231
      • 1. 인민무력부의 활동과 민수산업 군수화 = 231
      • 2. 2경제위원회의 운영과 민수산업 군수화 = 233
      • Ⅳ. 민수산업 군수화의 원인 = 236
      • 1. 선군경제 구조에 대한 북한의 인식 = 236
      • 2. 군 종사자들에 대한 공급능력 약화와 수요증가 = 238
      • 3. 지역자체 방위체계 운영 = 241
      • Ⅴ. 민수산업 군수화의 영향과 전망 = 242
      • 1. 민수산업 군수화가 북한사회에 미치는 영향 = 242
      • 2. 민수산업 군수화의 전망 = 249
      • Ⅵ. 결론 = 250
      • 제7장 남한과 북한의 지역방위체계 비교 = 255
      • Ⅰ. 서론 = 257
      • Ⅱ. 지역방위체계에 대한 이해 = 258
      • 1. 지역방위체계 정의와 구분 = 258
      • 2. 지역방위체계 운영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체제에 따른 특성 = 260
      • Ⅲ. 남한과 북한의 지역방위체계 운영실태 = 262
      • 1. 남한의 향토방위 = 262
      • 2. 북한의 지역방위 = 269
      • Ⅳ. 남한과 북한 지역방위체계 비교 및 시사점 = 275
      • 1. 지역방위체계 비교 = 275
      • 2. 남한과 북한의 지역방위체계 운영의 차이에 대한 이해 = 281
      • 3. 남한의 향토방위 능력강화 시사점 = 283
      • Ⅴ. 결론 = 287
      • 제8장 일상의 정치화ㆍ군사화ㆍ신분화와 북한주민 일상 = 291
      • Ⅰ. 서론 = 293
      • 1. 연구배경과 목적 = 293
      • 2. 선행연구 현황 및 평가 = 296
      • 3. 연구의 제문제 = 299
      • Ⅱ. 북한의 일상관련 체제작동기제 = 308
      • 1. 주민들의 일상과 체제작동 = 308
      • 2. 일상의 정치화ㆍ군사화ㆍ신분화의 정의 및 상호관계 = 310
      • 3. 북한사회에서 일상의 정치화ㆍ군사화ㆍ신분화 기능의 용이성 = 312
      • Ⅲ. 일상의 정치화ㆍ군사화ㆍ신분화에 따른 일상 = 314
      • 1. 일상의 정치화와 주민들의 일상 = 314
      • 2. 일상의 군사화와 주민들의 일상 = 317
      • 3. 일상의 신분화와 주민들의 일상 = 321
      • Ⅳ. 90년대 이후 주민들의 일상변화 특징 = 324
      • 1. 일상의 정치화ㆍ군사화ㆍ신분화의 기능약화 = 324
      • 2. 시공간에 대한 통제약화 = 328
      • 3. 북한주민 하루일상변화 실증분석 = 330
      • Ⅴ. 북한주민 일상 변화전망 = 340
      • 1. 일상의 정치화ㆍ군사화ㆍ신분화의 기능변화와 원인 = 340
      • 2. 주민들의 일상변화에서 본 아래로부터의 체제변화 한계 = 341
      • 3. 일상의 정치화ㆍ군사화ㆍ신분화의 기능변화 전망 = 342
      • Ⅵ. 결론 = 345
      • 제9장 북한사회 '수령교'와 타종교권 선교에 따른 북한선교 = 351
      • Ⅰ. 서론 = 353
      • 1. 연구배경과 목적 = 353
      • 2. 연구의 제문제: 북한선교에 대한 접근 = 355
      • Ⅱ. 수령교에 대한 이해 = 361
      • 1. 수령교의 정의 = 361
      • 2. 수령교의 탄생 = 363
      • 3. 수령교의 특징 = 365
      • Ⅲ. 북한선교의 현황과 문제점 = 369
      • 1. 북한선교 현황 = 369
      • 2. 타종교권 선교에서 본 북한선교 문제점 = 371
      • 3. 북한 지하교회에 관한 논의 = 375
      • Ⅳ. 타종교권 선교에 따른 북한선교 = 377
      • 1. 북한선교의 기본방향: 선교의 초기조건 = 377
      • 2. 북한주민의 특성에 따른 선교방법 = 378
      • 3. 북한주민을 대상으로 한 비공식 선교 활성화 = 380
      • 4. 북한종교단체를 통한 공식적 선교활성화 = 382
      • 5. 북한이탈주민에 의한 북한선교: 선교활동의 용이성과 선교자 육성 = 383
      • Ⅴ. 결론 = 386
      • 제10장 남북한과 통독 전 동서독의 이산가족 교류 비교연구 = 391
      • Ⅰ. 서론 = 393
      • Ⅱ. 이산가족 교류에 대한 이해 = 395
      • 1. 이산가족 교류의 내용 = 395
      • 2. 이산가족 교류와 당국의 윤리적 책임 = 399
      • 3. 이산가족 교류에 영향을 주는 요인 = 401
      • Ⅲ. 남북한과 통독 전 동서독의 이산가족 교류 = 404
      • 1. 남북한 이산가족 교류 현황 = 404
      • 2. 통독 전 동서독의 이산가족 교류 = 411
      • Ⅳ. 남북한과 통독 전 동서독의 이산가족 교류비교 = 416
      • 1. 이산가족 상봉대상의 선정 = 416
      • 2. 이산가족 교류의 중심과 형식 = 418
      • 3. 이산가족 교류의 차이 원인 = 420
      • Ⅴ. 결론 = 427
      • 부록 = 433
      • [부록 1] 북한의 간부 이력서 = 435
      • [부록 2]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 = 4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