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인 복막투석 환자에서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및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이동맥경화성 혈관 질환 발생에 미치는영향 = Associ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ß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gene polymorphism with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in Korean peitoneal dialysis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7349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내과학전공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1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대구

      • 형태사항

        28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9-22) 수록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ß1)은 염증반응과 섬유화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혈관 내피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cytokine으로 동맥경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

      목적: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ß1)은 염증반응과 섬유화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혈관 내피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cytokine으로 동맥경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복막투석 환자에서 TGF-β1 및 VEGF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 (SNP)과 동맥 경화성 혈관 질환 발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 복막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TGF-ß1 및 VEGF 유전자 SNP이 동맥경화성 혈관 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추적관찰 중인 복막투석 환자 중 유전자 분석에 동의한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심부전, 허혈성 심질환, 말초 혈관 질환, 뇌경색과 같은 동맥경화성 혈관 질환 유무에 따라 질환군 (n=25)과 비질환군 (n=76)으로 분류하였다. 각 환자들의 혈액으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한 뒤 LightCycler480을 이용하여 TGF-ß1 (C-509T, T869C) 및 VEGF (C-2578A, C-460T, C405G) 유전자 SNP을 조사하여 두 군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 두 군에서 확인된 유전자형의 빈도는 Hardy-Weinberg equilibrium에 따른 기대빈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GF-β1 (D′=0.98) 및 VEGF (D′=0.95-1.0) 유전자 SNP은 모두 강한 유전적 상관 관계를 보였다. 2) TGF-ß1 (C-509T [CC형:CT형:TT형, 20.0%:52.0%:28.0% vs 26.3%:46.1%:27.6%, χ 2=0.444, p=0.801], T869C [TT형:TC형:CC형, 20.0%:52.0%:28.0% vs 26.3%:44.7%:28.9%, χ2=0.522, p=0.770]) 및 VEGF (C-2578A [CC형:CA 형:AA형, 64.0%:36.0%:0.0% vs 53.9%:38.2%:7.9%, χ2=1.890, p=0.421], C-460T [CC형:CT형:TT형, 0.0%:44.0%:56.0% vs 7.9%:38.2%:53.9%, χ2=1.746, p=0.486], C405G [CC형:CG형:GG형, 8.0%:48.0%:44.0% vs 15.8%:43.4%:40.8%, x2=0.836, p=0.698]) 유전자 SNP 모두에서 유전자형 분포는 질환군과 비질환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TGF-ß1 및 VEGF 유전자 SNP 모두에서 대립유전자 빈도 및 대립유전자의 유무에 따라 나눈 유전자형의 분포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일배체 분석에서도 두 군간 각각의 일배체형 간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결론: TGF-ß1 및 VEGF 유전자 SNP은 한국인 복막투석 환자에서 동맥경화성혈관 질환의 발생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AVD) is a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ESRD).Transforming growth factor-ß1(TGF-ß1) is multifunctional cytokine that associated with endothelial inflammat...

      Purpose :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AVD) is a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ESRD).Transforming growth factor-ß1(TGF-ß1) is multifunctional cytokine that associated with endothelial inflammation and fibrosi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has been shown to contribute to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The author investigated the gene polymorphism of TGF-ß1 and VEGF as genetic susceptibility factor for AVD in Korean PD patients.
      Methods : Genotyping was carried out using the a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hich was performed on the LightCycler 480.Prevalent vascular disease was defined by presence of ischemic heart disease(IHD), cerebrovascular disease(CVD), or congestive heart failure(CHF). The patients were separated into the AVD(n=70) and the no AVD(n=25) groups.
      Results : The genotype frequencies of the SNPs were in Hardy-Weinberg equilibrium. The distributions of genotypes and alleles did not differ between recipients and contro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genotype distributions and Allele frequencies between the AVD and the no AVD groups. The frequencies of haplotyp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either.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TGF-ß1 and VEGF gene polymorphism on presence of any vascular disease.
      Conclusion : This study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selected SNPs of the TGF-ß1 and VEGF gene polymorphisms on presence of AVD in Korean PD Pat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3
      • 대상과 방법 = 5
      • 1. 동맥경화성 혈관질환의 정의 = 5
      • 2. 방법 = 6
      • 1) Genome DNA 추출 = 6
      • 서론 = 3
      • 대상과 방법 = 5
      • 1. 동맥경화성 혈관질환의 정의 = 5
      • 2. 방법 = 6
      • 1) Genome DNA 추출 = 6
      • 2) TGF-ß1 유전자 다형성 분석 = 7
      • 3) VEGF 유전자 다형성 분석 = 8
      • 4) 통계분석 = 9
      • 결과 = 10
      • 1. 연구등록 시 환자들의 동맥경화성 혈관질환의 특징 = 10
      • 2. TGF-ß1 유전자 다형성과 혈관질환 발생과의 관계분석 = 10
      • 3. VEGF 유전자 다형성과 혈관질환 발생과의 관계분석 = 11
      • 4. Haplotype distribution과 혈관질환 발생과의 관계분석 = 12
      • 고찰 = 13
      • 요약 = 16
      • 참고문헌 = 18
      • (Abstract) = 2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