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고교 유형별 진학에 대한 가정배경 및 개인특성의 영향 =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s and Student’s Characteristics on Admission to High School according to Types of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76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admission to the various types of high schools(general, foreign language, science, international, autonomous private, and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and compare them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used the data of the 11th graders in the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ies of School Education" of 2012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conduct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tudents entering a general high school set as the reference group. The analysis results show differences in the kinds and influences of variables having significant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 schools. The study compared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effect size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and found that the middle school grades recorded a big effect size across all the types of high schools except for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ivate education for science(-) recorded a big effect size for admission to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gender, private education for Korean(-), private education for science, and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 recorded a huge effect size for admission to a science high school. The location of middle school(big city) from which the student graduated had big effects on admission to an international and autonomous high school. Gender and household income recorded a big effect size for admission to 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family background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have different patterns of effect on admission to high school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and suggest a need to take policy considerations so that students' inferior background characteristics will not have unfavorable effects on their admission to the type of high school they want.
      번역하기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admission to the various types of high schools(general, foreign language, science, international, autonomous private, and autonomous publ...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admission to the various types of high schools(general, foreign language, science, international, autonomous private, and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and compare them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used the data of the 11th graders in the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ies of School Education" of 2012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conduct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tudents entering a general high school set as the reference group. The analysis results show differences in the kinds and influences of variables having significant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 schools. The study compared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effect size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and found that the middle school grades recorded a big effect size across all the types of high schools except for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ivate education for science(-) recorded a big effect size for admission to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gender, private education for Korean(-), private education for science, and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 recorded a huge effect size for admission to a science high school. The location of middle school(big city) from which the student graduated had big effects on admission to an international and autonomous high school. Gender and household income recorded a big effect size for admission to 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family background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have different patterns of effect on admission to high school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and suggest a need to take policy considerations so that students' inferior background characteristics will not have unfavorable effects on their admission to the type of high school they wa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고등학교 유형(일반고, 외고, 과학고, 국제고, 자사고, 자공고)에 진학하는 데 가정배경과 학생의 개인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고교유형별로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에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된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일반고 진학을 기준집단으로 설정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진학하는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종류와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 중에서 부모학력이 자공고를 제외한 나머지 유형의 고등학교 진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구소득(외고, 과학고, 자사고)과 맞벌이 여부(자사고) 역시 일부 유형의 고교 진학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이들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부모특성 변수의 투입으로 영향력이 감소되었으며, 부모-자녀 활동(과학고), 교육적 지원(외고, 과학고, 자사고), 교육기대수준(외고, 과학고, 국제고, 자공고)이 특정 유형의 고교 진학에 영향을 주었다. 학생의 개인적 특성인 성별, 중학교 성적, 교육포부 및 교과별 사교육 여부를 추가한 결과, 중학교 성적이 고교 진학에 비교적 큰 영향력이 있었으며, 앞서 투입되었던 가정 및 부모특성의 영향은 감소하였다. 고교 유형별로 각 독립변수들의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자공고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고교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인 변수는 중학교 성적이었다. 이외에 외고 진학에는 어머니학력, 성별, 과학사교육여부(-) 변수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과학고 진학에는 부모의 교육기대, 성별, 국어사교육여부(-), 과학사교육여부, 학생교육포부의 효과가 컸다. 국제고와 자율고 진학에는 졸업한 중학교 소재지(대도시)의 효과가 컸으며, 자사고 진학에는 성별, 가구소득도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고교 유형별 진학에 가정배경과 개인특성이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생의 열악한 배경적 특성이 희망하는 유형의 고등학교 진학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책적 배려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양한 고등학교 유형(일반고, 외고, 과학고, 국제고, 자사고, 자공고)에 진학하는 데 가정배경과 학생의 개인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고교유형별로 비교하고자 시행...

      본 연구는 다양한 고등학교 유형(일반고, 외고, 과학고, 국제고, 자사고, 자공고)에 진학하는 데 가정배경과 학생의 개인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고교유형별로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에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된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일반고 진학을 기준집단으로 설정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진학하는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종류와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 중에서 부모학력이 자공고를 제외한 나머지 유형의 고등학교 진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구소득(외고, 과학고, 자사고)과 맞벌이 여부(자사고) 역시 일부 유형의 고교 진학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이들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부모특성 변수의 투입으로 영향력이 감소되었으며, 부모-자녀 활동(과학고), 교육적 지원(외고, 과학고, 자사고), 교육기대수준(외고, 과학고, 국제고, 자공고)이 특정 유형의 고교 진학에 영향을 주었다. 학생의 개인적 특성인 성별, 중학교 성적, 교육포부 및 교과별 사교육 여부를 추가한 결과, 중학교 성적이 고교 진학에 비교적 큰 영향력이 있었으며, 앞서 투입되었던 가정 및 부모특성의 영향은 감소하였다. 고교 유형별로 각 독립변수들의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자공고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고교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인 변수는 중학교 성적이었다. 이외에 외고 진학에는 어머니학력, 성별, 과학사교육여부(-) 변수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과학고 진학에는 부모의 교육기대, 성별, 국어사교육여부(-), 과학사교육여부, 학생교육포부의 효과가 컸다. 국제고와 자율고 진학에는 졸업한 중학교 소재지(대도시)의 효과가 컸으며, 자사고 진학에는 성별, 가구소득도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고교 유형별 진학에 가정배경과 개인특성이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생의 열악한 배경적 특성이 희망하는 유형의 고등학교 진학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책적 배려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궁지영,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Ⅳ): 고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2 이광현, "특목고ㆍ자사고 진학계획이 초등학생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55-178, 2012

      3 강영혜, "통계로 본 한국과 세계교육(13): 한국의 고등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13

      4 오석영, "중학생 진학진로 인식 분석- 서울지역 중학생 희망 고교계열별 비교 -" 교육연구소 13 (13): 275-296, 2012

      5 김태연,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학교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131-152, 2013

      6 홍창남,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225-251, 2011

      7 김위정, "자율형 공·사립 고등학교의 성과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491-511, 2014

      8 주영주, "자율고교생과 특성화고교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잠재평균 분석" 교육연구소 15 (15): 223-245, 2014

      9 임현정,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의 결정변인 탐색: 학교의 진로교육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0 (40): 25-48, 2013

      10 중앙일보, "수능 상위 100곳 중 평준화 지역 일반고는 딱 2곳"

      1 남궁지영,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Ⅳ): 고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2 이광현, "특목고ㆍ자사고 진학계획이 초등학생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55-178, 2012

      3 강영혜, "통계로 본 한국과 세계교육(13): 한국의 고등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13

      4 오석영, "중학생 진학진로 인식 분석- 서울지역 중학생 희망 고교계열별 비교 -" 교육연구소 13 (13): 275-296, 2012

      5 김태연,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학교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131-152, 2013

      6 홍창남,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225-251, 2011

      7 김위정, "자율형 공·사립 고등학교의 성과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491-511, 2014

      8 주영주, "자율고교생과 특성화고교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잠재평균 분석" 교육연구소 15 (15): 223-245, 2014

      9 임현정,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의 결정변인 탐색: 학교의 진로교육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0 (40): 25-48, 2013

      10 중앙일보, "수능 상위 100곳 중 평준화 지역 일반고는 딱 2곳"

      11 김정민, "선행학습 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학교교육 개선 방향 탐색" 안암교육학회 20 (20): 135-166, 2014

      12 이수정, "목적사업학교 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53-74, 2014

      13 김도진, "마이스터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 재학생들의 입학동기 및 개인배경 비교연구" 교육연구소 32 (32): 55-80, 2011

      14 정철영, "도·농간 교육격차에 관한 가정 및 학교배경의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27-49, 2011

      15 김위정, "대학진학에 대한 가정배경의 누적적 매개 효과 분석" 한국사회학회 47 (47): 263-302, 2013

      16 김성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지역간 학력 차이에 따른 초·중·고 학교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51-72, 2011

      17 신애경, "과학반 활동이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505-512, 2011

      18 김준엽, "고교유형에 따른 성취도 격차의 양상과 발생요인"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555-577, 2013

      19 정진후, "고교 유형별 학비 현황 비교・분석. 정책보고서"

      20 양국희, "고교 다양화 정책에 관한 쟁점 검토 및 발전 방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1 유백산, "가정배경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양식이 학생-교사 관계 및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51-78, 2012

      22 Park, H.,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 cognitive outcomes in Korea: Focusing on private tutoring" 84 (84): 3-22, 2011

      23 Horn, Daniel, "Age of Selection Counts: A Cross-country Analysis of Education Institutions" 15 (15): 343-366, 2009

      24 Van de Werfhorst, Herman, G., "Achievement Inequality and the Institutional Structure of Education Systems: A Comparative Perspective" 36 : 407-42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