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해체적 경향으로서의 시퀀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quence of Kinetic Typography as Deconstructive Tend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4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eld of typography that communicate information by the types which is the elements of visual communication has been rapidly changed. In a broad sense typography as an environments of multi media field is expressed by 'kinetic typography' because it is given by the concept of the space and the time with the three dimensions movements. Kinetic typography express the types by the concept of time. The time as a medium accelerate the aspect of typography expression. An interpretation of de-constructive typography has the strong character of visual signification in distinctively kinetic typography with the sense of that typography has the lingual and the visual signification at the same time. Kinetic typography expression as the visual signification shows up the sequence as the result with the de-constructive shapes and typography by the dynamic movement and also present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looping which practices the order repeatedly and de-constructive expression of the variety vision. The study interpret kinetic typography as the substance of visual signification with the aspect of de-constructivism and the phenomenon of sequence. And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two aspects which confront each other. One is that the typography with the de-constructive structure and movement is the looping and the other is that with the simple structure express the variety vision.
      번역하기

      The field of typography that communicate information by the types which is the elements of visual communication has been rapidly changed. In a broad sense typography as an environments of multi media field is expressed by 'kinetic typography' because ...

      The field of typography that communicate information by the types which is the elements of visual communication has been rapidly changed. In a broad sense typography as an environments of multi media field is expressed by 'kinetic typography' because it is given by the concept of the space and the time with the three dimensions movements. Kinetic typography express the types by the concept of time. The time as a medium accelerate the aspect of typography expression. An interpretation of de-constructive typography has the strong character of visual signification in distinctively kinetic typography with the sense of that typography has the lingual and the visual signification at the same time. Kinetic typography expression as the visual signification shows up the sequence as the result with the de-constructive shapes and typography by the dynamic movement and also present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looping which practices the order repeatedly and de-constructive expression of the variety vision. The study interpret kinetic typography as the substance of visual signification with the aspect of de-constructivism and the phenomenon of sequence. And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two aspects which confront each other. One is that the typography with the de-constructive structure and movement is the looping and the other is that with the simple structure express the variety vi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활자미디어 시대에서 멀티미디어 시대로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가장 기초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 요소인 글자를 통해 정보의 전달역할을 담당하는 타이포그래피의 영역은 정적인 형태에서 역동적인 형태로 빠르게 전이되고 있다. 광의의 개념으로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타이포그래피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개념이 접목되어 3차원적 운동감이 부여되므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라는 양식으로 표현 된다.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시간’이라는 차원을 통해 활자를 표현 한다. 매체로서의 ‘시간’의 개념이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양상을 가속화 시켰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타이포그래피가 언어적 기호와 시각적 기호라는 두 가지 기호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을 감안 할 때, 규칙의 해체와 글자의 다양한 변형을 표현하는 실험적이면서도 해체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의 해석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이미지로서의 시각적 기호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기호로서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은 형태의 해체와 동적인 움직임에 의한 활자의 해체와 더불어 시퀀스라는 결과로 나타나며, 이것은 일련의 명령을 반복 실행하는 루핑의 개념과 다양한 비전의 해체적 표현이라는 대립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 관계에 대한 연구 제시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시각적 기호로서의 실체로 해체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시퀀스라는 현상을 결과로 규정지었을 때, 시간에 의해 보여주는 타이포그래피의 해체적인 구조와 움직임이 단순한 명령에 의한 반복 실행 이라는 측면과 그 단순함 안에서도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제시해준다는 양 측면의 대립을 위한 이론적 제시를 하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활자미디어 시대에서 멀티미디어 시대로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가장 기초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 요소인 글자를 통해 정보의 전달역할을 담당하는 타이포그래피의 영역은 정적인 형태에서...

      활자미디어 시대에서 멀티미디어 시대로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가장 기초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 요소인 글자를 통해 정보의 전달역할을 담당하는 타이포그래피의 영역은 정적인 형태에서 역동적인 형태로 빠르게 전이되고 있다. 광의의 개념으로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타이포그래피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개념이 접목되어 3차원적 운동감이 부여되므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라는 양식으로 표현 된다.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시간’이라는 차원을 통해 활자를 표현 한다. 매체로서의 ‘시간’의 개념이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양상을 가속화 시켰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타이포그래피가 언어적 기호와 시각적 기호라는 두 가지 기호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을 감안 할 때, 규칙의 해체와 글자의 다양한 변형을 표현하는 실험적이면서도 해체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의 해석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이미지로서의 시각적 기호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기호로서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은 형태의 해체와 동적인 움직임에 의한 활자의 해체와 더불어 시퀀스라는 결과로 나타나며, 이것은 일련의 명령을 반복 실행하는 루핑의 개념과 다양한 비전의 해체적 표현이라는 대립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 관계에 대한 연구 제시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시각적 기호로서의 실체로 해체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시퀀스라는 현상을 결과로 규정지었을 때, 시간에 의해 보여주는 타이포그래피의 해체적인 구조와 움직임이 단순한 명령에 의한 반복 실행 이라는 측면과 그 단순함 안에서도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제시해준다는 양 측면의 대립을 위한 이론적 제시를 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래, "해체주의란무엇인가" 교보문고 1989

      2 한국어 사전 편찬회, "한국어 대사전" 삼성문화사

      3 김성곤, "탈구조주의의 이해" 민음사 1988

      4 최성민, "타이포그래피의 미래에 대한 비판적 주석, In 디자인텍스트" 홍디자인 2001

      5 전승규, "타이포그래피의 동영상에 관하여" 18 : 1999

      6 원유홍, "타이포그래피 천일 야화" 안그라픽스 2004

      7 제임스 크레이그, "타이포그래피 교과서" 안그라픽스 2002

      8 김지현, "타이포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창지사 1999

      9 김효일, "키네틱타이포그래피 강좌(정직한 글자)" 2002

      10 김효일, "키네틱타이포그래피 강좌(움직이는 글자의 구조)" 2002

      1 이광래, "해체주의란무엇인가" 교보문고 1989

      2 한국어 사전 편찬회, "한국어 대사전" 삼성문화사

      3 김성곤, "탈구조주의의 이해" 민음사 1988

      4 최성민, "타이포그래피의 미래에 대한 비판적 주석, In 디자인텍스트" 홍디자인 2001

      5 전승규, "타이포그래피의 동영상에 관하여" 18 : 1999

      6 원유홍, "타이포그래피 천일 야화" 안그라픽스 2004

      7 제임스 크레이그, "타이포그래피 교과서" 안그라픽스 2002

      8 김지현, "타이포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창지사 1999

      9 김효일, "키네틱타이포그래피 강좌(정직한 글자)" 2002

      10 김효일, "키네틱타이포그래피 강좌(움직이는 글자의 구조)" 2002

      11 홍승완,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에 관한 연구" 11 (11): 2004

      12 장현주,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서 속도감의 극대화를 위한 효과적 타입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4 (4): 2-11, 2003

      13 장원근,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오페라의 시각화 연구" 상명대학교 2000

      14 장원근,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오페라의 시각화 연구" 상명대학교 2000

      15 조지 릭키, "키네틱 아트" 열화당 1988

      16 Ricky, George Warren, "키네틱 아트" 열화당 1996

      17 황미영, "전시공간의 Sequence 분석 방법론 모색"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8) : 67-77, 2002

      18 B. 클라인, "인간의 시각조형의 발견" 미진사 1994

      19 그레마스, "의미에 관하여" 인간사랑 1997

      20 곽진, "움직임의 시간성을 적용한 도심 공간으로서의 Architectural Landscape 계획안" 경기대학교 2000

      21 Carter.R, "실험타이포그래피" 안그라픽스 1999

      22 "실험 타이포그래피 관점에서의 부적의 조형성" (41) : 2001

      23 롭 카터, "실험 타이포그래피" 안그라픽스 1997

      24 Carter, Rob, "실험 타이포그래피" 안그라픽스 2000

      25 김진숙, "시지각 현상으로서 타이포그라픽 디자인의 시각계층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 1996

      26 Robert L. Sols, "시각심리학" 시그마그래프 2000

      27 루돌프 아른하임,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1996

      28 "문자의 동적 표시와 유저의 생체부담 평가 방법" (41) : 2001

      29 "문자와 동적표시와 유저의 생체부담 평가방법" (41) : 2001

      30 전수진, "문자는 광섬유를 타고(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적 문맥)" 안그라픽스 2001

      31 매트 울먼, "무빙타입" 안그라픽스 2001

      32 매트울먼, "무빙 타입 시각+공간 디자인" 안그라픽스 2001

      33 윤명호, "모션그래픽의 시퀀스에 나타난 시청각적 계층구조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2005

      34 김민수, "모던디자인 비평" 안그라픽스 1994

      35 유현정, "매체의 발달과 시간에 관한 연구" 7 (7): 2006

      36 신항식,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 인간사랑 2001

      37 신쳥우, "디지털 타이포그래피" 임프레스 1997

      38 김민수, "디자인문화비평 04-디자인과 테크놀로지" 안그라픽스 2001

      39 존 레웰린, "데리다의 해체주의" 문학과 지성사 1998

      40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1997

      41 박효신, "Visual Storytelling으로서의 Type in Motion에 관한 연구" 13 (13): 2000

      42 Ruder.E, "Typography" 안그라픽스 2001

      43 Rob Carter, "Typographic Design" Van Npstrand Reinhold 1985

      44 Philip Meggs, "Type & Image" Van Nostrand Reinhold 1989

      45 Lewis Blackwell, "The End of Print: The Grafik Design of David Carson" Chronicle Books 1996

      46 Lewis Blackwell, "David Carson: 2nd sight" St. Martin Press 2000

      47 Jacques Derrida, "'differance', Margins of Philosophy" Chicago Univ. Press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