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육사회학 : 학교 사회-문화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446346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7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0.19 판사항(15)

      • ISBN

        9788999711466 93370: ₩20,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교육사회학 : 학교 사회-문화 분석 / 김병성 저.

      • 기타서명

        (A) sociology of education

      • 판사항

        3판

      • 형태사항

        477 p. : 삽화 ; 25 cm.

      • 일반주기명

        이전판서명: 교육과 사회
        참고문헌(p. 449-466)과 색인수록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강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인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보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원주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나사렛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목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배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경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결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한대학교 중앙도서관(제1캠퍼스-의정부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소장기관정보
        • 한국항공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3판 머리말 = 3
      • 1판 머리말 = 7
      • 제1부 교육과 사회문화
      • 교육산책 1 학교사회공동체 = 20
      • 목차
      • 3판 머리말 = 3
      • 1판 머리말 = 7
      • 제1부 교육과 사회문화
      • 교육산책 1 학교사회공동체 = 20
      • 제1장 교육사회학의 발달 = 21
      • 1. 사회-교육-문화의 관계 = 23
      • 2. 교육사회학의 발달 = 27
      • 교육사회학의 태동 = 27
      • 교육사회학의 발달 = 28
      • 3. 교육사회학의 성격 = 31
      • 실천지향적 교육사회학 = 32
      • 학문지향적 교육사회학 = 35
      • 학교사회학 = 37
      • 4.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과 방법 = 39
      • 양적 연구방법 = 39
      • 질적 연구방법 = 40
      • 5. 한국교육사회학 = 41
      • 제2장 교육사회학 접근이론 = 47
      • 1. 교육사회학 접근의 틀: 거시-미시적 접근이론 = 49
      • 2. 기능이론과 갈등이론 = 53
      • 기능이론의 관점 = 53
      • 갈등이론의 관점 = 55
      • 3. 기능이론과 학교교육 = 58
      • 기능이론 = 58
      • 기술기능주의 = 61
      • 인간자본론 = 62
      • 4. 갈등이론과 학교교육 = 64
      • 갈등이론 = 64
      • 경제적 재생산이론 = 67
      • 문화적 재생산이론 = 69
      • 저항이론 = 71
      • 5. 해석학적 이론과 학교교육 = 73
      • 미시적 접근방법 = 75
      • 상징적 상호작용론 = 77
      • 민속방법론 = 81
      • 6. 신교육사회학 = 83
      • 제3장 사회변동과 정보사회 = 91
      • 1. 사회변동의 의미 = 93
      • 사회변동의 개념 = 93
      • 사회변동의 관련 개념 = 94
      • 2. 사회변동이론 = 97
      • 제 이론의 개관 = 97
      • 사회변동의 원인과 저해 요인 = 99
      • 사회변동의 과정과 양상 = 103
      • 3. 교육과 근대화 = 105
      • 근대화의 과정 = 105
      • 근대화의 현상 = 107
      • 교육과 근대화의 가치 = 112
      • 4. 정보사회 = 114
      • 정보사회의 개념과 관점 = 115
      • 정보사회의 특성 = 128
      • 제4장 사회계층과 사회이동 = 133
      • 1. 사회계층의 개념 = 135
      • 사회계층 = 135
      • 사회계급 = 137
      • 2. 사회계층의 본질 = 139
      • 3. 사회계층의 결정요인과 문화특성 = 142
      • 사회계층의 결정요인 = 142
      • 사회계층의 측정방법 = 144
      • 사회계층의 문화특징 = 145
      • 4. 사회이동 = 147
      • 사회이동의 의미 = 148
      • 사회이동에 관한 두 관점 = 155
      • 한국의 사회이동의 실제 = 162
      • 제2부 교육불평등과 교육격차
      • 교육산책 2 상대적 결핍의식 = 174
      • 제5장 교육불평등 문제와 접근 = 175
      • 1. 교육불평등의 문제 = 177
      • 2. 교육기회균등의 의미 = 179
      • 교육기회균등의 개념 = 179
      • 교육기회균등관의 변천 = 182
      • 3. 교육평등관의 유형 = 185
      • 접근기회의 평등 = 186
      • 과정의 평등 = 189
      • 결과의 평등 = 190
      • 4. 학교교육과 불평등 = 192
      • 5. 교육불평등의 접근모형 = 196
      • 사회적 지배구조 모형 = 196
      • 사회적 체제접근 모형 = 200
      • 교육 균형발전 모형 = 202
      • 6. 교육평등화의 과제 = 209
      • 제6장 교육격차와 학력격차 = 213
      • 1. 교육격차의 문제 = 214
      • 2. 교육격차의 인과론 = 216
      • 지능결핍론 = 217
      • 환경결핍론 = 218
      • 교사결핍론 = 220
      • 3. 학력격차의 접근모형 = 222
      • 거시적 접근모형 = 222
      • 미시적 접근모형 = 224
      • 교육 균형발전 모형 = 224
      • 4. 학력격차의 결정요인 = 225
      • 제3부 사회문제와 청소년
      • 교육산책 3 교사의 교육권 = 236
      • 제7장 한국 사회와 교육갈등 = 237
      • 1. 사회문제 = 238
      • 2. 교육갈등 = 242
      • 3. 한국 사회 갈등의 배경 = 244
      • 4. 교육갈등의 파생문제 = 248
      • 5. 교육갈등의 사회적 함의 = 250
      • 제8장 청소년 문제와 접근 = 253
      • 1. 청소년 문제의 개념 및 특성 = 255
      • 청소년 문제의 개념 = 255
      • 청소년의 특성 = 257
      • 2. 청소년 문화 = 259
      • 청소년 문화의 의미와 성격 = 259
      • 청소년 문화의 특징 = 261
      • 3. 청소년 문제의 접근 이론 = 263
      • 생물학적 견해 = 264
      • 심리학적 요인 = 264
      • 사회학적 접근 = 265
      • 4. 청소년 문제의 교육 방안 = 268
      • 청소년 문제의 발생 원인 = 268
      • 교육 방안 = 269
      • 제9장 학교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 273
      • 1. 학교교육의 기능론적 관점 = 274
      • 2. 기능론의 문제점 = 277
      • 3. 학교교육의 급진론적 관점 = 279
      • 프레이리 : 의식화론 = 280
      • 일리치 : 탈(脫)학교론 = 285
      • 라이머 : 학교사망론 = 287
      • 실버만 : 학급 위기론 = 289
      • 신마르크스주의론 = 292
      • 제4부 학교문화와 학급사회
      • 교육산책 4 학교효과 = 296
      • 제10장 학교문화 = 297
      • 1. 문화와 교육 = 298
      • 2. 학교문화 = 302
      • 문화와 학교문화 = 302
      • 학교문화 연구의 접근모형 : 상호작용 모형 = 303
      • 게젤과 테렌 모형 = 304
      • 3. 학생문화 = 307
      • 청소년 문화의 형태 = 307
      • 청소년 문화의 특징 = 308
      • 4. 학교의 사회심리학적 특성 = 310
      • 5. 학급의 사회심리학적 과정 = 313
      • 제11장 학급사회와 집단역동성 = 317
      • 1. 집단역동성 = 318
      • 집단역동성의 개념 = 318
      • 집단역동성의 학문적 성격과 그 특징 = 319
      • 집단역동성의 연구과제 = 321
      • 2. 집단역동성의 배경 = 321
      • 학급 집단연구 = 321
      • 집단역동성의 배경 이론 = 324
      • 3. 집단역동성의 연구방법 = 327
      • 관찰법 = 327
      • 사회성 측정법 = 330
      • 현장실험 = 331
      • 실천연구 = 332
      • 4. 학급집단과 집단역동성 = 333
      • 학급집단의 형성 = 333
      • 학급집단의 사회적 구조 = 335
      • 학급에서의 집단과정 = 336
      • 학급편성에 따른 논쟁 = 342
      • 5. 소집단 협동학습 = 343
      • 제12장 교사기대와 학습효과 = 349
      • 1. 교사의 학습기대 = 350
      • 교사의 기대와 학습풍토 = 352
      • 2. 교사기대의 사회심리학적 근거 = 354
      • 자기충족예언 = 354
      • 교사기대의 근거 = 360
      • 기대의 전달방식 = 363
      • 3. 교사의 기대효과 = 365
      • 교사의 학습기대효과 = 365
      • 교사기대의 지향점 = 368
      • 4. 교사기대와 학교학습풍토의 개선 = 371
      • 제13장 효과적인 학교 = 373
      • 1. 효과적인 학교의 의미 = 374
      • 효과성에 대한 함의 = 376
      • 조직이론적 관점 = 377
      • 학교효과 관련 요인 = 378
      • 2. 효과적인 학교연구 = 380
      • 3. 효과적인 학교연구의 유형 = 382
      • 4. 효과적인 학교연구의 예 = 385
      • 브루코버(Brookover) 연구 = 385
      • 루터(Rutter) 연구 = 388
      • 5.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과 제언 = 391
      • 제5부 한국 사회와 글로벌 교육
      • 교육산책 5 부모 인내와 교육의 질 = 398
      • 제14장 평생교육발전 = 399
      • 1. 평생교육의 발달 = 401
      • 평생교육의 필요성 = 401
      • 2. 평생교육의 의미 = 404
      • 3. 평생교육체제의 특성 = 410
      • 4. 평생교육체제의 발전방향 = 413
      • 제15장 다문화교육 = 419
      • 1.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 420
      • 2. 다문화교육의 관점 = 422
      • 3. 다문화교육의 과정 = 423
      • 4. 다문화교육의 과제 = 426
      • 제16장 북한교육 = 429
      • 1. 북한교육학의 배경과 교육이념 = 430
      • 북한교육학의 성립 배경 = 430
      • 2. 북한의 교육제도 = 432
      • 3. 교원양성제도 = 441
      • 4. 남북한 교육통합을 위한 과제 = 445
      • 남북한 교육의 비교 = 445
      • 남북한 교육의 통합을 위한 과제 = 447
      • 참고문헌 = 449
      • 찾아보기 = 467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알라딘

      교육사회학 - 학교 사회 - 문화 분석, 제3판

      판매중 20,000원 19,400원 (3%)

      종이책 구매

      0포인트
      예스24.com

      교육사회학

      판매중 20,000원 20,000원 (0%)

      종이책 구매

      0포인트 (0%)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교육사회학 (학교 사회-문화 분석)

      『교육사회학』의 구성은 ‘교육사회학이론 → 학교사회문화 → 교육실천 과정’이라는 전체 구조를 중심으로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부에서는 교육과 사회관계를 교육사회학의 발달 과정, 거시·미시적 관련 이론, 학문적 성격과 연구 영역으로 제시하였고, 제2부에서는 교육불평등과 교육격차·학력격차의 문제를 그 접근 모형과 실천 과정을 구체적 자료에 더하여 제시하였으며, 제3부에서는 청소년 문제와 교육갈등과 사회갈등의 현안을 중심으로 현실교육의 문제, 한국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을 살펴보고, 제4부에서는 사회체제로서 학교문화, 학급사회 역동성, 학교학습풍토, 교사기대와 교육효과, 학교효과의 실증연구, 학급의 사회심리학적 과정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으며, 제5부 한국 사회와 글로벌 교육에서는 평생교육,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발전과제 그리고 북한 사회의 교육이념, 제도, 과정 등을 제시하였다.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